GSMA, 전세계 모바일 인터넷 연결 능력 측정 위한 새로운 툴 도입

GSMA 모바일 연결 지수(GSMA Mobile Connectivity Index), 보편적인 인터넷 접속 실현을 위한 업계 노력 지원

뉴스 제공
GSMA
2016-07-14 13:30
런던--(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전세계 130여 개 국가를 대상으로 모바일 인터넷 연결 능력을 측정하는 새로운 온라인 툴을 도입했다. GSMA 모바일 연결 지수(GSMA Mobile Connectivity Index)는 인프라(Infrastructure), 지불능력(Affordability), 소비자 수용성(Consumer readiness), 콘텐츠(Content)의 4가지 요소에 중점을 두고 각 국가의 모바일 인터넷 연결 능력을 측정한다. 이 툴은 많은 협력 기구[1]에서 제공한 자료 중 가장 높은 점수를 합산하는 방식이며 보편적 인터넷 연결이라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는 국제사회 및 모바일 업계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매츠 그랜리드(Mats Granryd) GSMA 사무총장은 “이미 전세계 30억 명 이상이 모바일로 인터넷에 연결하고 있지만 여전히 40억 명 이상이 모바일 인터넷이 제공하는 사회경제 발전의 강력한 기회에서 소외돼 있다”며 “전용선 네트워크 설치 비용이 높아 인터넷 보급이 낮은 개발도상국 시장에서 인터넷 연결을 위한 가장 우선적인 도구가 모바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모바일 인터넷 연결은 유엔의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2]가 목표 실현을 위해 의존하는 중요한 기반이며 빈곤 감축과 보건, 교육, 상거래, 정보공유, 고용, 혁신을 개선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며 “GSMA의 모바일 연결 지수 도입은 야심찬 보편적 인터넷 연결 사업을 후원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소중한 통찰력을 제공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GSMA 인텔리전스(GSMA Intelligence)에 따르면 2015년 말 현재 모바일 인터넷 사용 인구는 약 32억 명으로 전세계 인구의 약 44%에 해당한다. 이 중 약 1/3은 2G 네트워크로 인터넷에 접속하며 2/3는 모바일 광대역(3G/4G)을 이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계 인구의 56%인 약 41억 6000만 명이 아직 모바일 인터넷 혜택에서 소외돼 있다. 이 중 약 25억 명(세계 인구의 34%)은 모바일 광대역 네트워크 서비스 권역 내에 살고 있지만 서비스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으며 약 16억 명(22%)은 모바일 광대역 네트워크 서비스 권역에서도 소외돼 있다.

GSMA 모바일 연결 지수를 이용한 연결 능력 측정

GSMA 모바일 연결 지수는 세계 인구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134개국의 연결 능력을 측정하는 분석도구로서 모바일 인터넷 연결에 본질적인 4가지 핵심 요소를 평가한다.

· 인프라(Infrastructure) - 고성능 모바일 인터넷 네트워크의 가용성과 품질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기반이 없으면 온라인에 접속할 수 없고 또한 고성능 네트워크가 아니면 인터넷의 가능성을 충분히 활용하기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 지불능력(Affordability) - 국민의 소득 수준이 반영된 가격대의 모바일 서비스와 디바이스의 구입 여력을 의미한다. 지불능력은 가격과 소득 외에도 과세 수준과 분배 불균형의 영향도 받는다. 소득 분배가 소수의 인구에만 집중돼 있다면 많은 사람이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의 대가를 지불할 여력이 없게 된다.

· 소비자 수용성(Consumer Readiness) - 인터넷 사용과 평가에 필요한 시민 의식과 기술을 의미한다. 문화적 환경에 대한 이해와 필요한 기술이 없으면 모바일 인터넷 이용 방법을 이해하지 못하고 모바일 인터넷이 어떤 혜택을 주는지에 대한 이해도 어렵게 된다. 특히 여성의 경우 일부 국가에서는 모바일 인터넷 접속 자체가 막혀 있다.

· 콘텐츠(Content) - 지역 주민과 연관되고 이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 및 서비스의 가용성을 의미한다. 소비자는 자신과 관련되고 혜택이 있는 온라인 콘텐츠와 서비스가 아니면 모바일 인터넷에 잘 연결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단순하게 자국어로 된 콘텐츠일 수도 있고 SNS나 금융서비스 또는 교육 같은 특정 앱이나 서비스가 될 수도 있다.

이 4가지 핵심 요소 각각에 대해 각 국가의 점수가 매겨지고 합산돼 모바일 인터넷의 확산을 지원하는 강력한 기반을 의미하는 해당 국가의 단일의 복합 측정치(single composite measure)를 산출하게 된다. 이 점수는 매년 업데이트 된다.

모바일 연결 지수는 웹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개별 국가의 자세한 연결 능력을 알아보고 국가별 비교도 가능하며 각 핵심 요소에 반영되는 다른 기준과 지표를 조사해 볼 수도 있다. 자세한 정보는 atwww.mobileconnectivityindex.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툴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담긴 보고서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gsmaintelligence.com/research/2016/06/mobile-connectivity-index/561/

모바일 연결 지수는 GSMA의 커넥티드 소사이어티(Connected Society)에서 설계했다. 커넥티드 소사이어티는 디지털 정보 참여(digital inclusion)를 개선하기 위해 GSMA 연구기관인 GSMA 인텔리전스(GSMA Intelligence)와 모바일 산업 및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한다.

GSMA 개요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세계 모바일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한다. GSMA는 광의의 모바일 생태계에 속한 250여개 업체를 포함해 800개에 육박하는 모바일 사업자를 하나로 묶고 있다. 단말기 및 기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기업, 장비 공급사, 인터넷 기업은 물론 인접 산업 분야 기관들이 GSMA와 함께 하고 있다.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모바일 360 시리즈 컨퍼런스 등 업계 선도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상세 정보는 GSMA 웹사이트(www.gsma.com)와 트위터: @GSMA에서 볼 수 있다.

[1] 모바일 연결 지수 구축을 위해 데이터를 제공한 협력 기구들은 다음과 같다.
· 앱 애니(App Annie)
· CIA 월드 팩트북(CIA World Factbook)
· 에스놀로그(Ethnologue)
· 페이스북(오디언스 인사이트(Audience Insights))
· GSMA 인텔리전스(GSMA Intelligence)
·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 M-랩(Measurement Lab)
· 오픈시그널(OpenSignal)
· TLDLogic/ZookNIC
· 유엔(United Nations)
· W3Techs.com
· 위키피디아 스테티스틱스(Wikipedia Statistics)
· 세계은행(World Bank)

[2] 2015년 9월 유엔은 2030 지속 가능한 개발의제(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의 일부로서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도입했다. 17개 목표는 빈곤퇴치, 기후변화 대응, 불의 및 불평등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GSMA는 #betterfuture campaign(http://www.gsma.com/betterfuture/)의 일부로서 SDGs를 지원한다.

비즈니스 와이어(businesswire.com)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60713005091/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gsma.com

연락처

GSMA 홍보대행
찰리 메레디스-하디(Charlie Meredith-Hardy)
+44 7917 298428
CMeredith-Hardy@webershandwick.com

GSMA 홍보실
pressoffice@gsma.com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