씬 스틸러 인 판소리 W: 조연에서 주연으로, 전통 판소리 속 여성 캐릭터의 귀환

4월 25일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에서 개최

조연에서 주연으로, 전통 판소리 속 여성 인물을 중심에 세우다

젠더 시선으로 다시 읽는 고전, 오늘날의 여성성을 무대에 올리다

전통을 품고 새롭게 말하다: 노민아의 구성과 방지원의 북

서울--(뉴스와이어)--아트플랫폼 유연이 주관한 노민아의 ‘씬 스틸러 인 판소리 W’가 지난 4월 25일 서울 돈화문국악당에서 성황리에 공연을 마쳤다. 전통 판소리 속 조연 여성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재조명한 이번 무대는 소리꾼 노민아가 각색과 소리를 맡고, 고수 방지원이 함께하며 판소리 다섯 바탕 속 개성 넘치는 여성 조연들의 극적 서사를 새롭게 조명했다.

이번 공연은 전통 판소리 안에서 흔히 부각되지 않았던 조연 여성 캐릭터들을 중심에 세움으로써 익숙한 고전 속 인물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안했다. ‘심청가’의 곽씨부인과 뺑덕어멈, ‘흥보가’의 흥보마누라, ‘적벽가’의 미부인, ‘춘향가’의 월매와 향단 등 여섯 명의 여성 인물들이 무대 위에서 주체적인 시선으로 다시 쓰였다.

판소리 속 여성 조연 캐릭터의 재조명

‘씬 스틸러 인 판소리 W’는 기존 판소리의 서사 구조를 모음곡처럼 재배열하고 재담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각 인물은 짧은 등장에도 불구하고 시대적 정서와 인간미, 웃음과 감동을 모두 아우르며 공연 전체를 이끄는 주체로 부각된다. 특히 그동안 부차적이고 주변적인 인물로 간주됐던 여성 캐릭터들이 이번 무대에서 감정의 중심을 차지하며, 전통 판소리 속 여성 서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전통과 젠더 시선의 접목

공연의 구성은 단순한 인물 소개에 그치지 않고, 젠더적 시선을 바탕으로 여성 인물들이 지닌 현실적 고민과 감정을 극적으로 펼쳐냈다. ‘팜므파탈’로 해석된 뺑덕어멈, 당당한 흥보마누라, 자식을 향한 절절한 모성애를 지닌 미부인 등 각 인물의 성격은 오늘날의 젠더 담론과 연결되며 관객의 공감대를 자극했다. 극적 장치와 유쾌한 재담, 생생한 북 연주가 더해져 공연의 몰입도는 더욱 높아졌다.

소리꾼 노민아의 재구성과 방지원의 북

노민아는 기존 작품에서도 ‘주제에 따른 전통 판소리의 재구성’ 작업을 지속해왔다. 이번 공연 역시 그러한 작업의 연장선으로, 전통 대목을 여구(如舊)하게 살리면서도 인물의 매력을 돋보이게 구성한 시퀀스가 특징이다. 타악 연주자 방지원은 북과 여러 타악기를 활용한 효과음으로 공연의 호흡과 리듬을 살리며 이야기의 극적 전개에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관객들은 ‘판소리에서 조연이 이렇게 재미있을 줄 몰랐다’,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풀어낸 구성에 몰입했다’, ‘재미와 메시지를 모두 갖춘 무대였다’ 등의 호평을 전했다.

출연자 소개

- 노민아(작창/소리)
서울대학교 음악박사(D.M.A.),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적벽가’ 이수자, 광주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가’ 이수자, 제22회 판소리학술상 수상. 주요 공연으로 ‘백미’, ‘씬 스틸러 인 판소리’, ‘연가’ 등이 있으며, 2018년 동명의 음반을 발표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용인대학교 출강 중.

- 방지원(고수)
서울대학교 국악과 졸업 및 동대학원 재학,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고법 전수자, 2024 KBS국악대상 연희상 수상, 제2회 서울예술상 전통부문 포르쉐 프런티어상 수상.

아트플랫폼 유연 소개

아트플랫폼 유연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예술가와 함께 전통 예술의 가치를 탐색하고 현대적인 도전으로 창의적 예술을 선보이는 유기적 음악 네트워크다.​ 공연 기획, 음반 제작, 악보집 출판, 공동 연구 등 음악 전반에 걸친 다양한 프로젝트를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웹사이트: https://artyy.co.kr/

연락처

아트플랫폼 유연
기획팀
박진형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