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과 함께 회복력 있는 사회 혁신 도모하는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 주간 행사 개막
5월 13일(화) 서울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 B3 콘퍼런스홀에서 주한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대사관 주최로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 개막 세션 진행
북유럽 4개국 대사, 북유럽 각료이사회 등 나라별 주요 기업 및 연구 기관 참석해 한-북유럽 협력 필요성 강조
△보건 △안보 △평등 △번영 △행복 등 총 5개 분야 내 회복탄력성과 혁신에 대한 한-북유럽 대화 촉진 의도
북유럽 주간 행사는 5월 18일(일)까지 주제별 세미나 및 서울야외도서관 북유럽 부스로 이어져

왼쪽부터 유리 예르비아호 주한핀란드대사, 안네 카리 한센 오빈 주한노르웨이대사, 칼-울르프 안데르손 주한스웨덴대사, 필립 알렉산더 할크비스트 주한덴마크대사대리가 지난 13일(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한국고등교육재단 B3 콘퍼런스홀에서 열린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 주간 행사 개막 세션에서 공동 환영사를 전하고 있다. 주간 행사는 13일(화)부터 18일(일)까지 다양한 세미나와 서울야외도서관 ‘행복으로 가득한 북유럽 놀이터’ 부스로 이어진다

지난 13일(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한국고등교육재단 B3 콘퍼런스홀에서 열린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 주간 행사 개막 세션에서 북유럽 4개국(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대사가 행사에 참가한 연사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 주간 행사는 보건, 안보, 평등, 번영, 행복 등 총 5개 분야 내 회복탄력성과 혁신에 대한 한-북유럽 대화를 촉진하고자 기획됐다

지난 13일(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한국고등교육재단 B3 콘퍼런스홀에서 열린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 주간 행사 개막 세션에서 디테 바이써 주한덴마크대사관 이노베이션센터장이 이번 북유럽 주간 행사를 소개하고 있다.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 주간 행사는 13일(화)부터 18일(일)까지 다양한 세미나와 서울야외도서관 북유럽 부스로 이어진다

왼쪽부터 최병일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안야 보이센(Anja Boisen) 덴마크공과대학교 보건기술학과장, 베라 파르코(Veera Parko) 핀란드 내무부 사무차관 전략고문, 알만 하산푸어(Arman Hassanpoor) 히타치에너지코리아 동북아 HVDC 본부장, 재클린 버튼(Jaquelyn Burton) WISTA 노르웨이 회장, 이충섭 행복나래 SV커머스 본부장이 지난 13일(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한국고등교육재단 B3 콘퍼런스홀에서 열린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 주간 행사 개막 세션에서 회복탄력성을 위한 혁신에 대한 패널 디스커션에 참여하고 있다.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 주간 행사는 보건, 안보, 평등, 번영, 행복 등 총 5개 분야 내 회복탄력성과 혁신에 대한 한-북유럽 대화를 촉진하고자 기획됐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북유럽 4개국 대사가 참석해 각국의 비전을 공유하고 한국과의 협력 의사를 강조했다. 이와 더불어 북유럽과 한국의 혁신 생태계 리더가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보건 △안보 △평등 △번영 △행복 등 다섯 가지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회복탄력성 증대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됐다.
이날 4개국 대사는 함께 무대에 올라 환영사를 전했다.
유리 예르비아호(Jyri Järviaho) 주한핀란드대사는 “회복탄력성 있는 사회는 기술 혁신뿐만 아니라 사회적 연대와 신뢰가 필수”라며 “핀란드는 모두가 포용 되는 사회를 지향하며, 이를 위해 한국과 지속적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행사는 양국 간 혁신적 연대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밝혔다.
안네 카리 한센 오빈(Anne Kari Hansen Ovind) 주한노르웨이대사는 “기후변화와 글로벌 위기가 일상이 된 시대에 우리는 회복탄력성과 포용력 있는 사회를 함께 만들어야 한다”며 “노르웨이는 친환경 해양 산업, 에너지 전환, 교육, 연구, 혁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칼-울르프 안데르손(Karl-Olof Andersson) 주한스웨덴대사는 “스웨덴과 한국은 야심찬 기후 목표를 갖고 있는 동시에 전력 수요 증가에 직면해 있다. 녹색 전환은 필수고,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과 북유럽이 혁신에 앞서고 있는 점을 언급하며 “함께 가능성에 도전하자. 협력을 통해 보다 친환경적이고 풍요로운 사회로 빠르게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필립 알렉산더 할크비스트(Philip Alexander Hallqvist) 주한덴마크대사대리는 “덴마크는 사회의 지속 가능성과 삶의 질 향상의 핵심을 혁신으로 보고 있다”며 “한국과 의료, 디지털 보건, 복지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협력하며 함께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해 나갈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개막식의 기조연설을 맡은 카렌 엘르만(Karen Ellemann) 북유럽 각료이사회(Nordic Council of Ministers) 사무총장은 화상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2030 노르딕 비전’ 전략을 소개하고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엘르만 사무총장은 “회복탄력성 있는 사회란 지속 가능하며 경쟁력 있는 녹색 사회”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세상은 어느 한 국가가 홀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국제사회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혁신, 포용, 민주적 회복탄력성이라는 공동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국과 협력하는 것이 자랑스럽다”면서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 주간 행사와 같은 활동은 2030 노르딕 비전 실현을 위한 국가 간 지식 교류와 다자간 협력 기반 구축에 필수”라고 말했다.
이어 스톡홀름 회복력 센터의 마그누스 뉘스트룀(Magnus Nyström) 박사와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지영 박사가 각각 북유럽과 한국의 관점에서 회복탄력성에 대한 학제간 분석을 발표했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보건 △안보 △평등 △번영 분야에서의 혁신을 주제로 활발한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최병일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이 좌장을 맡고 안야 보이센(Anja Boisen) 덴마크공과대학교 보건기술학과장, 베라 파르코(Veera Parko) 핀란드 내무부 사무차관 전략고문, 알만 하산푸어(Arman Hassanpoor) 히타치에너지코리아 동북아 HVDC 본부장, 재클린 버튼(Jaquelyn Burton) WISTA 노르웨이 회장, 이충섭 행복나래 SV커머스 본부장 등이 참여해 국가별 실질 혁신 사례를 소개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주간 행사는 한국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지식 교류와 네트워킹을 활성화하고자 북유럽 각료이사회에서 지원하고, 북유럽 4개국 주한 대사관과 최종현학술원, 한국고등교육재단, 고려대학교 장 모네 EU센터, 서울도서관과의 공동 주최로 기획됐다. 오는 18일(일)까지 다양한 주제의 세미나 및 문화 활동이 이어질 예정이다.
5월 14일(수)에는 덴마크의 ‘의료기술 혁신의 가속화: 진단 및 치료의 발전 방향’ 세미나 및 핀란드의 ‘국가적 대비태세의 전망: 위기관리부터 디지털 보안까지’ 세미나가 열린다.
5월 15일(목)에는 노르웨이의 ‘해양 산업의 미래를 여는 혁신: 다양성과 포용을 통한 양성 평등 실현’ 세미나 및 스웨덴의 ‘혁신적 전기화: 녹색성장의 미래를 밝히다’ 세미나가 열린다.
5월 17일(토)과 18일(일)에는 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리는 서울야외도서관에 ‘행복으로 가득한 북유럽 놀이터’ 부스가 마련돼 ‘무민’, ‘말괄량이 삐삐’ 등 북유럽을 대표하는 인기 캐릭터 포토존과 그림책 전시, 문화 체험 등이 진행된다.
한편 이번 주간 행사는 2019년 북유럽 대사관들이 공동 론칭한 ‘노르딕 토크 코리아(Nordic Talks Korea)’의 연장선으로, 노르딕 토크 코리아는 세계가 직면한 공동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 사례와 지속 가능한 사회적 실천을 독려하는 소통의 자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행사별 정보는 노르딕 토크 코리아 공식 홈페이지(www.NordicTalksKorea.com)에서 확인 가능하며, 현장 등록도 가능하다.
※행사 문의: 주한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대사관 및 nordtalks@gmail.com
주한덴마크대사관 소개
주한덴마크대사관은 한국에 주재하는 덴마크 외교사절단의 공관이다. 양국은 1959년 3월 11일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며, 대사관의 주요 업무로는 △한국 정부와의 외교·교섭 △수출·통상 진흥 △덴마크 외교 정책 및 문화 홍보 △한국 거주 덴마크 국민의 보호·여권 발급 △덴마크 기업의 한국 진출 지원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s://sydkorea.um.dk/ko
연락처
주한덴마크대사관
공보과
이성아 선임 공보관
02-6363-4810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