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를 넘어 ‘AI 에이전트의 시대’가 시작됐다

스마트북스 ‘AI 에이전트 트렌드&활용백과’ 출간

AI, 이제는 ‘비서’가 아니라 ‘업무 파트너’다

서울--(뉴스와이어)--김덕진 IT커뮤니케이션연구소 소장과 김아람 전략기획 컨설턴트가 함께 펴낸 ‘AI 에이전트 트렌드&활용백과’(스마트북스)가 출간됐다.

생성형 AI를 넘어서, ‘AI 에이전트의 시대’가 시작됐다. 이제 AI는 단순히 질문에 답하거나 글을 써주는 수준을 넘어, 사용자의 업무를 ‘스스로 판단해 대신 처리하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이 같은 AI 도구를 ‘AI 에이전트’라고 하는데, ‘AI 에이전트 트렌드&활용백과’는 AI 에이전트의 관련 기술과 활용법을 폭넓고 구체적으로 정리한 실용서다.

생성형 AI를 넘어, ‘AI 에이전트’가 온다

이 책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오픈AI의 오퍼레이터, 앤트로픽의 컴퓨터 유즈, 그리고 딥 리서치뿐만 아니라 퍼플렉시티, 젠스파크, 펠로AI, 구글의 스트림 리얼타임과 노트북 LM, 마누스, 갤럭시 AI와 애플 인텔리전스까지 다양한 최신 AI 사례를 중심으로, 생성형 AI에서 AI 에이전트로의 전환을 집중 조명한다.

기존 생성형 AI는 인간의 명령을 받아 출력을 생성하는 데 그쳤다면, AI 에이전트는 스스로 목표를 이해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조정, 문서 작성, 정보 검색, 툴 실행 등 다양한 작업을 자동으로 연계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AI를 도구가 아닌 ‘업무 파트너’로 쓰는 법

저자들은 이 책에서 단순한 기술 설명을 넘어, AI 에이전트를 어떻게 나의 실무에 직접 연결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반복되는 리서치, 문서요약, 일정정리, 회의록 작성 등의 작업을 AI에게 ‘맡기고’ 사람이 전략과 판단에 집중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특히 중요한 메시지는 ‘우리는 AI를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시대에 들어섰다’다. 이는 곧 일의 주도권이 AI로 일부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더 창의적이고 본질적인 일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는 의미다.

새로운 업무 공식, AI 에이전트를 갖춘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격차

이 책은 단순히 ‘신기한 기술 소개서’가 아니다. AI 에이전트가 바꿔놓을 일과 문화, 사회의 구조, 그리고 그것이 개인의 생산성과 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지금은 AI 에이전트를 알고 쓰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의 격차가 막 시작된 시점이다. 업무 자동화와 창의성을 동시에 확장케 하는 AI 에이전트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에 따라, 앞으로의 커리어와 조직의 생산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AI를 제대로 쓰고 싶은 실무자를 위한 필독서

‘AI 에이전트 트렌드&활용백과’는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도 따라올 수 있도록 용어 설명과 사례를 쉽게 풀어내고, 동시에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 책은 디지털 전환에 관심 있는 직장인, 생산성과 효율을 고민하는 리더, 그리고 미래의 업무 방식을 선점하고 싶은 모든 사람에게 훌륭한 실전 안내서가 돼줄 것이다.

스마트북스 소개

스마트북스는 경제경영서와 인문교양서를 주로 출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녀교육서, 심리학 에세이로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대체로 일반인 독자들을 위한 입문서를 만드는 데 강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출간종수는 많지 않지만, 독자들이 오래 찾는 책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 인문과 경제, 역사, 과학 등 세상 모든 것이 연결돼 있고, 어떤 문을 통해 들어가든 결국 광장에서 만나게 된다고 생각하기에, 정형화된 콘텐츠 패턴을 넘어 융합된 형태를 고민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smartbooks21.com/

연락처

스마트북스
유해용 대표
02-337-7800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