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아태지역 기업 민첩성 향상 지원
ISG 프로바이더 렌즈(Provider Lens®) 보고서 “기업들, AI 관련 클라우드 및 보안 요구사항 충족 위해 새로운 네트워크 인프라와 서비스 모색”
2025년 ISG 프로바이더 렌즈 네트워크 - 아시아 태평양 소프트웨어 정의 솔루션 및 서비스(The 2025 ISG Provider Lens® Network — Software-Defined Solutions and Services) 보고서에 따르면, 이 지역 기업들은 경직된 노동 시장,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긴장 등 온디맨드 연결을 통한 신속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인도와 아세안 지역과 같은 신흥 시장에서는 SD 네트워킹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태지역 기업들은 멀티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MPLS) 링크의 높은 비용 문제로 인해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및 보안 전략의 일환으로 완전 관리형 또는 공동 관리형 소프트웨어 정의 광역 네트워크(SD-WAN)를 도입하고 있다.
ISG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파트너이자 지역 리더인 마이클 게일(Michael Gale)은 “아태지역에서 더 많은 기업이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워크로드를 이전함에 따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계속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로의 전환이 네트워킹의 모든 영역에서 계속되면서 자동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자율적인 네트워크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ISG는 아태지역 기업들이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네트워킹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으로 전망했다. 빠른 AI 도입이 이러한 투자에 영향을 미치면서, 새로운 네트워크 설계는 AI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짧은 지연 시간과 높은 대역폭을 우선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가시성의 중요성도 커질 전망이다. AI와 머신러닝을 사용하는 SD 네트워크는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수동 개입 필요성을 줄여 오류를 최소화한다.
원격 근무의 증가와 공급망 다변화 역시 아태지역에서 SD 네트워크에 대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고 ISG는 언급했다. 지연 시간이 짧은 네트워크는 팀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고 클라우드 연결 애플리케이션의 활용도를 높여 직원 성과와 혁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역 긴장으로 인해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기업들이 공급망을 확장함에 따라 신규 및 확장된 사업장을 연결하기 위한 인프라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태지역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은 네트워크 보안에 대해 여전히 깊이 우려하고 있다. ISG 네트워킹 설문조사에 따르면, 2024년 아태지역에서 활동하는 글로벌 기업의 4분의 3이 가장 큰 네트워크 인프라 문제로 네트워크 보안을 꼽았다. 이에 따라 아태지역의 많은 대기업이 보안 액세스 서비스 엣지(SASE)의 일부로 SD-WAN을 도입하고 있으며, 종종 완전 관리형 서비스 형태로 채택한다. SASE는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킹과 보안을 통합하며, 특히 클라우드 기반 및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프로비저닝하는 데 효과적이다.
ISG의 수석 애널리스트이자 보고서의 수석 저자인 야쉬 제타니(Yash Jethani)는 “기업은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연결성과 보안을 모두 보장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과 도구가 필요하다”며 “AI, 클라우드 및 네트워킹에 대한 전문성을 제공하는 제공업체와의 파트너십이 매우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보고서는 중소기업의 소프트웨어 정의 솔루션 도입 가속화, 아태지역의 5G 네트워크 가용성 및 중요성 증대 등 다른 네트워킹 동향도 분석한다.
아태지역 기업이 직면한 네트워킹 관련 과제에 대한 자세한 인사이트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ISG의 해결 방안은 ISG 프로바이더 렌즈 포컬 포인트(ISG Provider Lens®Focal Points) 브리핑을 여기에서 참조할 수 있다.
2025 ISG Provider Lens® 네트워크 - 아시아 태평양 소프트웨어 정의 솔루션 및 서비스 보고서는 46개 공급업체의 역량을 △관리형 SD-WAN 서비스, △SD-네트워크 혁신 서비스(컨설팅 및 구현), △엣지 기술 및 서비스(프라이빗 5G 포함), △보안 액세스 서비스 엣지 등 4개 사분면에 걸쳐 평가한다.
이 보고서는 액센츄어(Accenture), 킨드릴(Kyndryl), NTT 데이터(NTT DATA), 오렌지 비즈니스(Orange Business), 싱텔(Singtel), 텔스트라(Telstra), 버라이즌 비즈니스(Verizon Business)를 4개 사분면 모두에서 리더로 선정했다. BT는 3개 사분면에서, 타타 커뮤니케이션스(Tata Communications)는 2개 사분면에서 리더로 선정되었다. 캡제미니(Capgemini), 후지쯔(Fujitsu), KT, SK텔레콤, 보다폰(Vodafone)은 각각 1개 사분면에서 리더로 선정되었다.
또한 GTT, TCS, 테크 마힌드라(Tech Mahindra), 위프로(Wipro)는 ISG의 정의에 따라 ‘유망한 포트폴리오’와 ‘높은 미래 잠재력’을 갖춘 기업들인 ‘라이징 스타(Rising Stars)’로 각각 한 사분면씩 선정되었다.
고객 경험 분야에서는 네트워킹 서비스 및 솔루션 제공업체 중 HCL테크(HCLTech)가 2025년 글로벌 ISG CX ‘스타 퍼포머(Star Performer)’로 선정되었다. HCL테크는 기술 및 비즈니스 서비스 업계에서 최고의 품질을 인정하는 ISG 스타 오브 엑설런스(ISG Star of Excellence™) 프로그램의 일환인 ISG의 고객의 소리 설문조사에서 가장 높은 고객 만족도 점수를 획득했다.
2025 ISG Provider Lens® 네트워크 - 아시아 태평양 소프트웨어 정의 솔루션 및 서비스 보고서는 구독자에게 제공되며, 이 웹페이지에서 일회성 구매가 가능하다.
ISG 프로바이더 렌즈 리서치(ISG Provider Lens® Research) 소개
ISG 프로바이더 렌즈 쿼드런트(ISG Provider Lens® Quadrant) 연구 시리즈는 경험적, 데이터 기반 연구 및 시장 분석과 ISG 글로벌 자문팀의 실제 경험 및 관찰을 결합한 유일무이한 서비스 공급업체 평가 서비스이다. 기업은 풍부한 세부 데이터와 시장 분석을 통해 적합한 소싱 파트너를 선택하는 데 필요한 가이드를 얻을 수 있다. ISG 자문위원들은 이 보고서를 활용해 자신의 시장 지식을 검증하고 ISG의 기업 고객에게 추천한다. 이 연구는 현재 유럽은 물론 미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영국, 프랑스, 베네룩스, 독일, 스위스, 북유럽, 호주, 싱가포르/말레이시아 등 전 세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하며, 향후 평가 대상 시장을 확대할 예정이다. ISG 프로바이더 렌즈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ISG 소개
ISG(나스닥: III)는 AI 중심의 글로벌 기술 연구 및 자문 기업이다. 세계 100대 기업 중 75개사를 포함한 900곳 이상의 고객사가 신뢰하는 파트너인 ISG는 기술 및 비즈니스 서비스 분야의 오랜 리더로서, 조직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더 빠른 성장을 달성하도록 AI 활용을 선도하고 있다. 2006년에 설립된 ISG는 독점적인 시장 데이터, 공급업체 생태계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 그리고 전 세계 1600명의 전문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이 기술 투자의 가치를 극대화하도록 돕는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isg-one.com
연락처
ISG
로라 후프리치(Laura Hupprich)
+1 203 517 3132
laura.hupprich@isg-one.com
ISG 홍보대행
매터 커뮤니케이션스(Matter Communications)
줄리아나 셰리던(Julianna Sheridan)
+1 978 518 4520
isg@matternow.com
이 보도자료는 Information Services Group, Inc.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