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능연, 일터 혁신 실태와 개선을 위한 조건들 분석

10명 중 8명은 본인이 근무 중인 회사에서 일터 혁신을 시도

세종--(뉴스와이어)--최근 정부와 기업들이 일터 혁신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나, 재직자들이 실제 체감하는 수준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재직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85.1%가 소속 기업에서 일터 혁신을 시도했으나 그중 37.1%는 실질적 성과를 느끼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7월 15일(화) ‘KRIVET Issue Brief 305호(일터 혁신 실태와 개선을 위한 조건들)’를 발표했다.

주요 분석 결과(KRIVET Issue Brief 305호 참조)는 다음과 같다.

일터 혁신은 단순히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정도뿐만 아니라, 직원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렇기에, 실제 기업 현장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분석 자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일터 혁신 관련 직장인 인식 조사(2024)’
※ 조사 대상 : 재직자 201명(중소기업 65.0%, 중견기업 12.5%, 대기업 22.4%)
※ 조사 내용 : 일터 혁신 인식 수준, 개인의 개선 의지, 업무 수행 방식에 대한 만족도 등

조사 결과, 응답자의 85.1%가 회사 내 혁신을 시도했던 것으로 응답해 대부분의 기업이 일터 혁신을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중 37.1%가 ‘의미 있는 성과는 없다’고 답해 성과 체감 정도는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회사의 혁신 목표는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 및 직원 만족과 웰빙(well-being) 모두를 추구’하는 경우가 48.5%,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 35.8%, ‘직원 만족과 웰빙(well-being)’ 15.8% 순으로 나타났다. 많은 기업이 생산성과 웰빙(well-being)을 함께 추구하나, 재직자는 직원 만족과 웰빙(well-being) 비중을 더 높이는 것을 희망했다.

분석 결과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 및 ‘직원 만족과 웰빙(well-being)’을 모두 추구하는 목표를 가진 기업일수록 직원들이 혁신 성과를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 업무 전담 부서가 있거나 직원 의견 수렴 및 의사 결정 권한 부여 등 참여 보장이 이루어질수록 성과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나동만 선임연구위원은 “직원들이 일터 혁신 성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혁신을 위한 중요한 요소”라고 밝혔다. 아울러 “생산성 향상과 직원 만족, 웰빙(well-being)을 고려한 균형 잡힌 목표 설정, 혁신 전담 부서 설치 및 지원, 실효성 있는 의견 수렴 창구 마련, 업무 관련 의사 결정 권한 부여 확대 등을 통해 일터 혁신이 직원과 기업 모두에게 의미 있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소개

1997년 직업 교육과 직업 훈련의 연계와 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첨부자료:
2025.7.15. KRIVET Issue Brief 305호.pdf

웹사이트: http://www.krivet.re.kr

연락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나동만 선임연구위원(기업훈련연구센터)
044-415-5340
이메일 보내기

홍보팀
황인난 전문원
044-415-5031
이메일 보내기

소셜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