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
매출 5조5654억원, 영업이익 4922억원
전년 동기 대비 매출 9.7% 감소, 영업이익 152.0% 증가
IRA Tax Credit 등 4908억원, 제외 시 2분기 영업이익 14억원
북미 관세∙OBBBA 발효 등 정책 환경 변화… 현지 생산 역량 중요성 확대
중국 체리기차 수주∙미시간 홀랜드 ESS용 LFP 생산 등 유의미한 성과 달성
하반기 △운영 △사업 △기술 등 3대 실행 과제(Action Plan) 발표
LG에너지솔루션 CEO 김동명 사장 “끊임없는 도전과 변화를 통해 다시없을 성장의 기회 만들어 나갈 것”
매출은 전년 동기(6조1619억원) 대비 9.7% 감소, 전기(6조2650억원) 대비 11.2%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1953억원) 대비 152.0%, 전기(3747억원) 대비 31.4% 증가했다.
2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IRA(Inflation Reduction Act) 세액 공제(Tax Credit) 등의 금액은 4908억원이다. 이를 제외한 2분기 영업이익은 14억원으로, 6분기 만에 흑자 전환했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 이창실 부사장은 “매출은 안정적인 EV향 제품 판매와 미시간 홀랜드 신규 ESS 공장의 양산 시작으로 북미 지역 출하량이 증가했으나, 정책 변동성 확대에 따른 고객 구매 심리 위축과 메탈가 하락으로 인한 판가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감소했다”라며 “손익의 경우 북미 생산 비중 확대에 따른 고수익 제품·프로젝트 물량 증가와 전사 차원의 비용 효율화 및 재료비 절감 등 원가 혁신을 통해 IRA Tax Credit 등을 제외한 기준으로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 북미 관세 강화·OBBBA 발효 등 정책 변화… 현지 생산 역량 중요성 확대
LG에너지솔루션은 실적설명회에서 ‘하반기 사업 환경 및 대응 전략’을 공유했다.
우선 가장 핵심적인 환경 변화 요인으로 북미 관세 강화 및 대규모 감세법안(OBBBA)을 꼽았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 국가 대상 10% 보편 관세 및 국가별 상호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산 배터리(EV용 73%·ESS용 41%)에 고관세를 적용하며 대중국 견제 기조를 강화하고 있다.
조기 일몰 우려가 있었던 AMPC(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는 32년까지, ESS 설치 프로젝트 관련 ITC(투자세액공제) 조항도 2035년 내 착공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게 유지됐다. PFE(금지 외국 단체) 조항도 신설됐다. PFE 기업은 미국 내 배터리 시설 투자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으며, 이 외 생산자들도 PFE산 원재료 비중을 축소해야 한다. 이에 따라 중국 등 PFE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EU는 역내 배터리 생산 프로젝트에 8억5000만유로의 투자를 발표했으며, 영국 또한 약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재개, 자국산 중심의 전기차 수요 촉진에 나서기도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러한 관세 정책 및 정책적 변화는 단기적으로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으나 AI·자율 주행 서비스 확산으로 장기 EV 수요 모멘텀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 전망했다.
◇ 中 체리기차 46시리즈 수주·미시간 홀랜드 ESS용 LFP 생산 등 유의미한 성과 달성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2분기 유의미한 수주 성과를 달성하며 성장 모멘텀을 지속했다고 강조했다.
6월 체리기차와 체결한 46시리즈 공급계약이 대표적이다. 자국 배터리 선호도가 강한 중국 OEM과의 첫 원통형 수주 계약으로, 신규 폼팩터인 46시리즈의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았을 뿐 아니라 고객 포트폴리오를 한층 다각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LFP 기반 ESS 롱셀 본격 양산에 돌입한 것 또한 주요한 성과다. 이를 통해 북미 ESS 생산 역량을 강화, 고객들의 현지 생산 요구에 적극 대응하고 다양한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ESS 추가 수주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이 외에도, 토요타 통상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지역에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 설립을 발표하는 등 자원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노력도 지속했다.
◇ 실적 개선 흐름 지속 위한 하반기 실행 과제(Action Plan) 발표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하반기 녹록지 않은 경영 환경에도 실적 개선을 흐름을 지속하기 위한 △운영 △사업 △기술 측면의 실행 과제(Action Plan)를 발표했다.
우선, 운영 측면에서는 EV 수요 둔화에 대응해 ESS 및 신규 폼팩터·중저가형 신규 케미스트리 양산 확대를 통해 가동률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신규 투자 최소화와 내부 자원 재배치를 통해 고정비를 감축하고, 염가 소재 확보·각 소재별 공급망 최적화 전략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
사업 포트폴리오도 한층 강화한다. 북미 시장 현지 생산 ESS 수요 확대에 맞춰 올해 연말까지 17GWh, 2026년 말까지 30GWh 이상의 북미 현지 Capa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유럽 시장에서는 중저가 EV 수요에 맞춰 하반기 폴란드 공장에서 고전압 미드니켈(Mid-Ni), LFP 등 경쟁력 있는 제품 양산을 시작한다.
혁신 기술 개발 또한 지속한다. EV용 LFP는 신규 공법과 건식 전극 공정을 적용한 셀을, ESS용 LFP는 고밀도·고집적 설계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신규 케미스트리 LMR은 LFP 대비 30% 이상 에너지밀도를 개선, 2028년 핵심 고객사의 차세대 EV 탑재될 예정이다. 아울러, 2028년 10분 내 충전 기술을 제품에 도입하고, 건식전극 또한 연내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양산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 CEO 김동명 사장은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축적된 역량과 단단한 내실을 기반으로 유의미한 실적 개선을 이뤄낼 수 있었다”라며 “끊임없는 도전과 변화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실현해 나간다면 다시없을 성장의 기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lgensol.com
연락처
LG에너지솔루션
커뮤니케이션팀
김정필 선임
02-3773-6581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