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학대 Grand-ICT센터,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 통해 AI 기반 실내 주차 위치 서비스 스타트업 배출

시흥--(뉴스와이어)--한국공학대학교(총장 황수성) ICT융합제조지능화진흥연구센터(Grand-ICT센터)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 지원을 받아 운영 중인 재직자 중심 석·박사 과정에서 기술 창업 성공 사례가 나왔다.

본 사업의 지원으로 2023년 재직자 석사과정으로 입학한 만들다소프트의 정태양 대표는 재학 중 동료들과 스타트업을 창업해 인공지능(AI) 기반 솔루션을 개발해 왔다.

만들다소프트는 그간 제조 설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예지 보전하는 MES 기술력을 바탕으로 뿌리산업의 스마트화 기술을 개발해 왔다. 여기에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면 고도도 예측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아이디어에서 이 프로젝트는 시작됐다. 이에 사용자의 스마트폰 내부의 센서를 통해 기압 차를 알 수 있고, 수집된 데이터와 AI를 활용해 층별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앱을 출시하게 됐다.

정태양 대표는 이번에 AI 기반 층수 예측 기술을 활용한 실내 주차 위치 안내 서비스 ‘다함께차찾자’를 개발해 앱스토어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층수까지 알려주는 ‘다함께차찾자’ 출시… 생활 속 스마트 위치 혁신 이끈다

많은 사람들이 대형 건물의 주차장에서 몇층 또는 주차 위치를 잘 몰라 헤맸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 서비스는 국내 최초로 실내에서도 차량의 위치뿐 아니라 층수까지 안내해 대형 복합쇼핑몰, 병원, 아파트 주차장에서 차량을 찾느라 겪는 불편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서비스다.

지난 5월 안드로이드와 iOS 버전으로 동시 출시된 ‘다함께차찾자’는 두 달 만에 다운로드 2000건을 돌파하며 빠르게 입소문을 타고 있다. 차량의 블루투스와 스마트폰이 자동 연결되면 주차 종료 시점의 기압, 가속도, 자이로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주차 층수를 예측한다. 사용자는 앱 실행 없이도 스마트폰 화면에서 즉시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정 대표는 “GPS는 실내에서 작동이 어렵고, 기존 주차 관제 시스템은 고가 장비 설치가 필요했다”며 “우리는 설치비 없이 누구나 이용 가능한 AI 기반 층수 예측 솔루션을 구현했다”고 말했다.

Grand-ICT센터장 배유석 교수는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의 성과가 실제 창업과 산업 현장에서 결실을 맺은 대표적 사례”라며 “앞으로도 재직자들이 첨단 ICT 기술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사업)는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한국공학대학교 소개

정부(산업부)가 설립한 한국공학대학교(경기 시흥)는 1998년 개교 이후 대한민국 산업 발전과 지역 경제 성장에 기여해 온 산학협력 특성화 선도대학이다. 한국공대는 지역의 1만9000여 개 기업과 상시 협력하고, 공학교육 혁신으로 기업 니즈를 반영한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으로 지역 및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해왔다. 대부분의 학과가 공학계열로 이뤄져 있으며, 지난 25년간 선도적인 산학협력 모델을 구축해 오며 현재까지 3만여 명의 공학 인재를 배출했다. 또 교내에 입주한 125개 기업 연구소, 국내 대학 중 가장 많은 4400여 개의 가족회사와 네트워크로 연결돼 상시 산학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tukorea.ac.kr/

연락처

한국공학대학교
ICT융합제조지능화진흥연구센터
남윤미 연구원
031-8041-1589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