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낙토스, 세계적 과학 저널 ‘Scientific Reports’에 뇌파 기반 치매 진단 연구 성과 발표

2채널 EEG 기기로 치매 환자 97% 정확도로 구분… 고가 장비 없이도 조기진단 가능성 열어

서울--(뉴스와이어)--국내 뇌과학 전문기업 파낙토스(대표 박병운)는 자사 연구소가 수행한 웨어러블 2채널 EEG 기반 치매 조기진단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이 네이처(Nature) 출판그룹의 세계적 과학 저널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파낙토스 장국인 박사 중심으로 뇌과학·의료공학·인공지능(AI)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팀이 수행했으며, 고가의 영상장비 없이 웨어러블 2채널 뇌파 측정기기만을 사용해 치매 환자와 정상인을 97.05%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치매 진단, 이제 뇌파로 가능할까?

연구에는 치매군 29명, 정상 대조군 54명으로 이뤄진 83명의 피험자가 참여했으며, 치매군은 모두 알츠하이머형 치매 확진자로 구성됐다. 모든 피험자는 파낙토스의 휴대용 EEG 기기(뉴로하모니)를 통해 전두부 뇌파를 측정했고, 추출된 EEG 데이터는 Xgboost 기반의 머신러닝 모델을 통해 분류됐다.

연구진은 EEG 지표 중 피크 주파수(PF), 세타 및 알파 파워, 코히런스 등의 요소에 집중했으며, 특히 PF 단일 지표만을 사용한 경우에도 97.05%의 균형 정확도를 기록했다. 이는 기존의 다채널 EEG 또는 MRI, PET과 같은 고가 장비 없이도 조기 진단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임을 시사한다.

세계 과학계가 주목한 국내 기술

‘Scientific Reports’는 네이처 그룹이 발행하는 오픈액세스 국제학술지로, 2013년 JCR 기준 ‘학제간 과학 분야 상위 5위’에 오르며 전 세계 연구자들로부터 높은 신뢰도와 인용도를 자랑하는 저널이다.

연구를 총괄한 장국인 박사는 “파낙토스의 뉴로피드백 시스템과 EEG 데이터 기반 분석기술이 단순 웨어러블 기기 수준을 넘어 실제 임상적 진단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며 “향후 대규모 다기관 연구와 상용화를 통해 치매 조기 진단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고자 한다”고 밝혔다.

향후 계획

파낙토스는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대규모 치매 환자 대상 다기관 임상 연구 △AI 기반 뉴로피드백 & 뇌파 진단 및 생성형 AgenticAI 플랫폼 고도화 △병의원 및 복지기관 대상 기술 확산 △고령사회 대응형 ‘Brint Senior’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치매 예방·관리 솔루션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 논문 정보
- 제목: ‘Dementia classification using two-channel electroencephalography features’
- 전문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5-93513-4

파낙토스 소개

파낙토스는 1998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뇌파 기반 뉴로피드백 시스템 개발 기업으로, 창립자 박병운 박사는 세계인명사전에 등재된 뇌과학 전문가다. 회사는 자체 개발한 ‘뉴로하모니(NeuroHarmony)’ 시스템을 기반으로 치매, ADHD, 우울, 수면장애 등 다양한 두뇌 건강 이슈에 대응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FDA 등록, ISO 13485 인증 등 다수의 국제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panaxtos.com/

연락처

파낙토스
박소하
02-2051-1380(내선 782)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파낙토스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