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새정부 사회연대경제 성장 전략에 공유와 논의의 장 가져

관계자 70여 명 참석, 정책 혁신과 지역 맞춤형 대응 전략 모색

무안--(뉴스와이어)--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센터장 김태현)는 지난 9월 2일(화) 순천 에코그라드호텔 컨벤션홀에서 ‘새정부 사회연대경제 성장 전략에 대한 전남 대응방안 마련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사회연대경제기업 임직원, 당사자협의회, 중간지원조직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해 새정부 사회연대경제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전남 사회연대경제 대응 전략을 모색했다.

토론회는 △기조강연 ‘이재명정부 사회연대경제 정책 방향과 과제’(장종익 한신대 교수, 전국정기획위원회 기획위원) △발제 ‘전남 사회연대경제 현황 및 대응 방안’(김태현 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센터장) △종합토론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됐다.

장종익 교수는 “사회연대경제는 돌봄·주거·에너지전환 등 국민 기본권 실현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사회적목적법인 도입, 협동조합기본법 개정, 시민참여형 사회연대금융 생태계 조성, 중간지원조직 혁신 등 다섯 가지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김태현 센터장은 전남의 현실을 진단하며 “사회연대경제기업 2212개 중 운영률(2023년말 기준)이 59%에 불과하고, 예산 의존도가 높아 자립기반 확보가 시급하다”며, △전남·시군 통합 컨트롤타워 마련 △재생에너지·돌봄·AI 등 전략산업 연계 혁신기업 육성 △성과 중심의 지원체계 구축 △전문인력 양성 △국제교류 확대 등을 대응 전략으로 발표했다.

종합토론에는 주종섭 전라남도의원, 김준철 전라남도 일자리경제과장, 유성진 전남마을기업협의회장, 정광휘 남도협동조합연합회장, 제갈영 전남사회적기업협회 사무처장, 김삼용 전남광역자활센터장, 박상하 사회경제연구원장 등 7명이 참여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 주종섭 도의원 : 지역소멸·양극화 해법으로 사회연대경제의 필요성 강조
· 김준철 과장 : 사회적경제기업의 생존력, 자생력 제고를 위해 행·재정적 지원 노력
· 유성진 회장 : 사회적경제과 부활, 판로 확대, 인건비 지원 필요
· 정광휘 회장 : 기업 역량 강화와 대형 유통망 연계 촉구
· 제갈영 사무처장 : 새로운 법 제정보다 기존 제도의 내실화 강조
· 김삼용 센터장 : 자활기업 육성 위한 법적 기반 필요
· 박상하 원장 : 민간주도 전환과 지역특화 모델 발굴, 임팩트 금융 필요

토론회에 참여한 한 사회경제연대기업 임직원은 새정부 정책 방향을 이해하고 지역 상황에 맞춘 대응 전략을 공유할 수 있는 유익한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김태현 센터장은 “이번 토론회는 전남 사회경제연대가 새정부 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맞춤형 혁신 전략을 마련하는 출발점”이라며 “향후 실행과제를 마련하기 위한 후속 논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새정부 국정기획위원회에서는 기존 사회적경제를 사회연대경제로 확장*하고 사회연대경제조직이 우리 경제의 중요한 한 축으로 성장하도록 전략을 마련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사회적경제’ 용어를 2023년 이후 UN, ILO 등 국제기구 공식 용어로 통용 중인 ‘사회연대경제(Social and Solidarity Economy)’로 통일하기로 결정

※ 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는 전라남도로부터 사단법인 상생나무가 위탁 운영하고 있다.

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소개

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는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유관기관 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지원체계의 고도화를 추진하고자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상생나무 소개

사단법인 상생나무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 혁신을 추구하는 연구소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연구, 조사, 교육 사업 및 인간 친화적인 도시재생을 위한 컨설팅, 시민교육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jnsec.kr/

연락처

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사회적경제팀
정채원 선임
061-276-1334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