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은둔, 사회적 연결망으로 풀어야… 한·일 협력 포럼, 경기도형 지원 모델 모색하며 성료
양국 전문가들, △법·제도 정비 △청년 주거 지원 △중장년 실태 파악 등 구체적 과제 제시
지속가능경영재단 주관으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100여 명의 민·관·학 관계자와 도민이 참석했으며, 고립·은둔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양국의 지속적인 교류와 지역 특성에 맞는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포럼 첫날인 9월 4일(목) 진행된 3개의 세션에서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책 제언이 쏟아졌다.
‘고립·은둔 지원 체계 발전 방안’을 주제로 한 첫 번째 세션에서는 안태윤 지속가능경영재단 전문위원의 발제와 마츠우라 타쿠로 일본 요코하마시 과장의 발제가 있었고, 지자체 중심의 원스톱 상담 지원 체계 사례를 소개했다. 토론자들은 한국 역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민간 기관과의 협력적 전달체계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고립·은둔 청년 공동생활 서비스 활성화 방안’ 세션에서는 한국에서 모세종 지속가능경영재단 함께상생본부장과 일본에서 무타 미추오 사무국장이 민간 주도형 공동생활 지원 모델의 효과를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이에 대해 경기도청 주택정책과와 민간 전문가들은 청년 주거 지원 정책과 고립·은둔 정책의 연계를 강화하고, 단순한 주거 제공을 넘어 심리·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을 결합한 ‘경기도형 공동생활 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마지막으로 ‘고립·은둔 중장년 지원 방안’ 세션에서는 박규범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과 일본의 보솟토 이케이다 이사장이 80대 부모와 50대 자녀가 함께 고립되는 ‘8050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며, 당사자 맞춤형 지원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박규범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은 경기도 내 중장년 고립·은둔 문제의 실태 파악이 시급한 과제라고 지적하며, 생애주기별 지원 정책 설계를 제안했다.
이튿날인 9월 5일(금) 열린 ‘한·일 고립·은둔 민간기관 교류회’에서는 양국의 현장 활동가들이 각자의 경험을 공유하고 국경을 넘어선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약속하며 ‘한·일 고립·은둔 지원 협력 선언문’을 낭독했다.
포럼을 주관한 황선희 지속가능경영재단 이사장은 “이번 포럼은 고립·은둔이라는 보이지 않는 위기에 맞서 한·일 양국이 연대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논의된 내용들이 경기도 정책에 반영돼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후속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지속가능경영재단 소개
지속가능경영재단은 미래세대와 오늘날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미래 지향적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실천하며, 모두의 평화와 지속가능한 사회를 꿈꾸는 시민이 중심이 되는 비영리 민간 재단법인이다.
웹사이트: http://www.sefund.kr
연락처
지속가능경영재단
함께상생본부
모세종 본부장
031-548-2732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