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 기타 리사이틀 ‘From here to everywhere…’ 인천 중구문화회관에서 개최

최인의 기타가 그리는 서사 - 자연과 역사, 그리고 철학의 울림

음악을 감싸는 빛과 영상 - 무대가 하나의 시네마가 되다

민들레 홀씨처럼 - 울림이 세상으로 확장되는 순간

서울--(뉴스와이어)--최인의 기타 리사이틀 ‘From here to everywhere…’가 10월 25일 인천 중구문화회관에서 개최된다.

최인의 기타가 그리는 서사 - 자연과 역사, 그리고 철학의 울림

작곡가이자 기타리스트 최인의 리사이틀 ‘From here to everywhere…’는 그의 음악적 여정이자 철학적 성찰의 기록이다. 2023년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에서 성황리에 공연된 무대를 확장한 이번 무대는 클래식 기타를 중심으로 바이올린과 피리가 더해져 동서양과 전통·현대의 경계를 넘나든다.

프로그램은 두 장(章)으로 짜여 있다. 1부는 ‘숲’, ‘산·바다’, ‘서(書)’, ‘감포 앞 바다에서’ 등 자연과 전통을 노래하며, 인간이 근원과 마주하는 순간의 고요와 깨달음을 담는다. 2부는 ‘Prayer’, ‘Island’, ‘From here to everywhere…’, ‘Blue hour’로 이어지며, 고립과 혼란 속에서 희망을 발견하는 인간의 마음을 드러낸다.

최인의 음악은 우리의 자연에서 받은 영감, 역사와 문화유산, 철학에서 길어 올린 감동을 함께 담아낸다. 숲의 바람과 파도의 리듬, 서예의 기개와 전통의 울림이 그의 기타 선율 속에서 공존하며, 단순한 서정을 넘어 삶을 사유하는 철학적 음악으로 확장된다.

그의 음악은 결국 자연과 역사, 문화와 철학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태어난다. 그래서 그것은 단순한 풍경의 묘사가 아니라 인간의 삶을 돌아보게 만드는 성찰의 울림이다. 이번 무대는 관객이 각자의 삶을 돌아보며 새로운 길을 상상하게 만드는 내면의 지도가 될 것이다.

음악을 감싸는 빛과 영상 - 무대가 하나의 시네마가 되다

‘From here to everywhere…’의 인천 공연은 음악을 넘어선 종합적 체험이다. 무대는 하나의 시네마틱 캔버스로 확장되며, 관객은 소리와 빛, 영상이 직조하는 몰입의 공간으로 안내된다.

영상을 맡은 이뿌리 감독은 글씨의 호흡에서 출발해 음악의 정서와 호흡까지 담아내는 미디어 아티스트다. 서예와 캘리그래피를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작업으로 주목받아 왔으며, 이번 공연에서는 각 곡의 분위기와 메시지에 맞춘 다채로운 영상과 이미지를 창조한다. 숲의 잔향, 바다의 파도, 민들레 홀씨, 서예의 붓결까지 그의 시각적 언어는 음악의 서사를 확장하며 관객의 감각을 흔든다.

조명은 최예원 감독이 맡았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무대미술과에 재학 중인 그는 장면이 가진 감정과 분위기를 세밀하게 읽어내고, 이를 빛으로 번역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빛의 농도와 색채, 방향을 섬세하게 조율하며 음악의 긴장과 해소를 무대 위에 극적으로 드러낸다. 젊은 예술가 다운 신선한 감각과 섬세한 미학이 이번 무대를 더욱 빛나게 할 것이다.

음향은 실감음향 분야의 권위자인 이수용 감독이 책임진다. 그는 실제 자연 속에서 채록한 소리와 악기의 울림을 공연장의 서라운드 시스템으로 배치한다. 관객은 단순히 소리를 듣는 것을 넘어 공간 속에서 생생하게 경험하게 된다. Sweet spot을 확장해 어느 좌석에서도 균형 잡힌 음향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하며, L-ISA 기반의 공간음향 시스템을 활용해 연주와 자연의 소리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킨다. 그 결과, 음악과 자연의 소리가 어우러져 가장 자연스러운 공간감을 구현하며, 관객에게 입체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사운드 풍경을 선사한다.

이렇듯 연출진의 협업은 결국 음악이 지닌 메시지를 배가시킨다. 무대는 단순한 장치의 집합을 넘어 음악과 시각예술, 조명과 음향이 서로의 언어를 번역하며 관객에게 잊지 못할 감각적 체험을 선사한다.

민들레 홀씨처럼 - 울림이 세상으로 확장되는 순간

기타리스트 최인의 리사이틀 ‘From here to everywhere…’는 단순한 실내악 음악회가 아니다. 그것은 불확실성과 불안이 일상화된 시대에 예술이 어떻게 인간의 내면을 치유하고 환기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응답이다. 이번 무대는 ‘지금, 여기’라는 출발점에서 ‘어디든지’로 확장되는 여정을 음악과 시각, 공간의 언어로 풀어낸다.

최인은 고립과 혼란 속에서도 끝내 희망을 발견하고 다시 나아가는 인간의 마음을 노래한다. 작은 민들레 홀씨가 바람을 타고 흩날리듯 개인의 내면에서 시작된 울림이 사회와 세계로 확장될 수 있다는 믿음이 공연 전체를 관통한다.

최인의 음악은 본래부터 서사를 품고 있다. 그의 음악은 선명한 장면들을 떠올리게 한다. 그는 늘 작곡 과정에서 ‘무엇을 전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을 먼저 세우는 예술가다. 음악과 연주는 그에게 목적이 아니라 메시지를 구현하기 위한 매개일 뿐이다. 예술가는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있을 때 그것을 어떠한 형식으로든 드러낼 수 있다고 그는 믿는다.

이러한 그의 관점은 2023년 아트코리아랩 ‘수퍼테스트베드’ 참여를 통해 크게 확장됐다.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경험하면서 그는 자신의 음악적 메시지를 영상·조명·입체음향과 결합해 보다 직접적이고 친밀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는 미디어 환경에 익숙한 현대의 관객들에게 새로운 친화적 언어로 다가가는 길을 열어줬고, 이번 무대처럼 종합적인 연출을 가능하게 했다.

‘From here to everywhere…’는 단순한 리사이틀을 넘어 예술적 메시지가 기술과 결합해 관객에게 더욱 명료하고 생생하게 전달되는 장이다. 음악적 서사가 시각과 빛, 그리고 공간음향 속에서 다시 살아나며, 관객은 작곡가가 품은 이야기를 더욱 깊이 이해하게 된다. 결국 이번 무대는 인천 시민들에게 위로와 성찰, 그리고 새로운 감각적 예술 체험을 선사할 것이다.

이 공연은 인천광역시, 인천문화재단의 후원을 받아 제작되며, 티켓은 전석 3만원이다. 9월 30일까지 예매 시 50%의 조기예매 할인을 받을 수 있다.

행사 개요

· 행사명: ‘From here to everywhere…’
· 장소: 인천 중구문화회관
· 일시: 2025년 10월 25일 오후 6시
· 주최·주관: 피셔인젤예술기획
· 공식 웹사이트: https://fischerinsel-art.github.io/2025-INCHEON-IN-CHOI-GUITAR-RECITAL
· 문의: 피셔인젤 예술기획(카카오톡: 피셔인젤 예술기획/인스타그램: FISCHERINSEL)

피셔인젤예술기획 소개

피셔인젤은 2014년 창립한 클래식음악 공연 전문 기획사로, 정통 클래식 공연 및 타 장르와의 융복합 공연을 기획·제작·홍보한다.

웹사이트: http://www.facebook.com/fischerinselart

연락처

피셔인젤예술기획
홍보담당
이미리
이메일 보내기

공연 문의
070-4220-328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