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예술기업, 프랑스 예술창업 생태계와 만나다… 예술경영지원센터, 프랑스 디스커버리 프로그램 개최

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 지원, ‘프랑스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을 통해 한불 예술기업 글로벌 교류 본격화

서울--(뉴스와이어)--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최하고 글로벌 임팩트 투자사 엠와이소셜컴퍼니(MYSC)가 기획·운영한 ‘프랑스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이 9월 9일부터 12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성황리에 운영됐다. 이번 프로그램은 한국 예술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고 프랑스 창업·문화 생태계와의 교류를 통해 새로운 협력 모델을 발굴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어나더데이 △러플 △샤이닝랩 △버킷트래블 △키뮤 등 5개 예술기업이 참여했다. 이들은 파리의 대표적 창업 허브 스테이션 에프(Station F), 현지 문화예술 창업 인큐베이터 크리아티스(Creatis), 디지털 아트 갤러리 아트버스(Artverse), 디지털로 예술의 혁신을 주도하는 구글 아트앤 컬처랩(Google Art&Culture Lab), 파리의 시립 박물관 네트워크 파리뮤제(Paris Musées) 등 현지 기관을 방문하고, 다양한 투자자 및 기업과의 네트워킹과 IR 세션 등을 통해 글로벌 파트너십을 모색했다.

국내 예술기업 총 5개 사는 프랑스 창업 인큐베이터 크리아티스(Creatis)에서의 비즈니스 매칭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발향 물감을 제작한 △어나더데이, AI를 활용해 장애 예술인의 자립을 위한 작품 활동을 지원하는 △러플, AI 활용 음악 제작 서비스 셀팝을 운영 중인 △샤이닝랩, AI 기반 전시도슨트 △버킷트래블, 발달장애 아티스트를 전문 디자이너로 성장시키고 있는 △키뮤는 현지 기업들과의 협업 기회를 마련하고자 약 25회의 1:1 비즈니스 밋업과 후속 미팅 및 네트워킹의 자리를 가졌다.

특히 버킷트래블은 프랑스 문화·예술기관에 AI 안내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표 스타트업 애스크 모나(Ask Mona)와의 협업 가능성을 논의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준비했다.

비즈니스 밋업 이후 예술기업들의 IR 피칭이 진행됐으며, 이 자리에는 프랑스 스타트업 해외 진출 및 지원 플랫폼 기관인 스타트투스케일(Start2Scale), 현지 스타트업 지원 기관인 굿띵스(Goodthings), 글로벌 자산관리 전문기관 앵도수에즈 웰스 매니지먼트(Indosuez Wealth Management), 마이리얼트립 등 한국 스타트업 투자이력을 보유한 코렐리아 캐피탈(Korelya Capital), 프랑스 임팩트 투자재단 레이즈(Raise) 등 현지 주요 투자기관이 참석했다.

행사 이후에는 현지 문화예술 및 창업 관계자 약 100명이 참석한 네트워킹을 통해 예술성과 사업성을 동시에 증명할 수 있는 무대를 선보였다.

현지 투자기관은 한국 예술기업들이 각자의 특징과 강점을 기반으로 꾸준히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고자 준비하는 모습을 통해 충분한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본 프로그램은 프랑스의 예술 창업 생태계를 기반으로 한국 예술기업이 프랑스 시장에 진출할 방법을 모색하고,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예술과 디지털 전환 등을 주제로 예술과 창업의 교차 지점에서 글로벌에 진출하려는 기업의 성장 모델을 탐구하고자 기획됐다.

크리아티스(Creatis) 설립자이자 현지 문화 정책 전문가 스티브 헌(Steven Hearn)은 프랑스 문화예술 창업 특성을 소개하며 한국 예술기업의 글로벌 진출 전략을 논의했다. 또한 글로벌 진출의 핵심은 꾸준히 서비스를 제시하고 시장에 노출되는 것임을 강조했다. 또한 프랑스 국책은행인 비피아이프랑스(Bpifrance)는 현지 투자시장 동향과 더불어 한국 스타트업이 프랑스에 진출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했고,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더 샌드박스(The Sandbox)도 다양한 사례를 통해 한국 예술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을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어나더데이 김지은 대표는 “피칭을 통해 현지에서 해외 시장 반응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파리 몽마르뜨의 화가들에게 직접 발향 물감 ‘비프터(B.FTER)’를 소개하고 피드백을 통한 사업 아이템의 활용 가능성과 더불어 글로벌 시장성을 검증하는 성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키뮤 남장원 대표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파리의 예술시장 구조와 스타트업 생태계를 직접 경험하며 한국과는 다른 문화를 가진 시장에 대한 진입 전략을 세우고 파트너십 모델을 구축할 수 있었다”며 “특히 현장에서 예술·사회적 가치 기반의 파트너를 발굴한 경험은 키뮤의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점검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2026년은 한·불 수교 140주년을 맞는 해로, 예술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YSC 최유진 팀장은 “그동안 예술기업들의 해외 진출 과정을 가까이서 지원하며 단순한 네트워킹을 넘어 실제 협력과 성과로 이어지는 구조가 얼마나 중요한지 확인해 왔다”며 “이번 프로그램은 바로 그 지점을 실험적으로 구현한 사례로, 예술성과 사업성이 결합된 모델이 글로벌 시장에서 어떻게 자리 잡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예술경영지원센터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의 예술기업들이 프랑스의 창업 생태계와 긴밀히 교류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새로운 기회를 발굴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예술기업의 해외 진출과 글로벌 협력 모델을 꾸준히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엠와이소셜컴퍼니 소개

엠와이소셜컴퍼니(MYSC)는 사회 혁신 컨설팅-임팩트 투자 기업이다. 2011년 설립 이래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 대기업, 공공기관, 스타트업 등에 컨설팅, 투자, 협업 등을 진행해 왔다. MYSC는 3개 혁신 모델(섹터 간 협력, 인간 중심 접근, 혼합가치 창출)과 사내 기업가 중심 조직 문화를 바탕으로 ‘혁신을 돕는 혁신기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글로벌 사회책임기업 비콥(B Corp) 인증을 받았다. MYSC는 2018년 중소벤처기업부 창업기획사(액셀러레이터) 등록과 동시에 소셜벤처 전문 액셀러레이터로서 활동하며 소셜벤처(social venture)가 재무적 이익과 소셜임팩트를 함께 만들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대기업과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소셜벤처링(social venturing) 확산에 기여하며 비즈니스 생태계에 소셜임팩트가 보다 내재화되도록 기여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mysc.co.kr

연락처

엠와이소셜컴퍼니(MYSC)
이승연 선임연구원
070-4858-9694
이메일 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