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능연, AI 시대의 학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불안 분석
대학생의 AI 활용, 긍정적 인식 속에 기대와 불안 교차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9월 25일(목) ‘KRIVET Issue Brief 307호(AI 시대의 학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불안)’를 발표했다.
주요 분석 결과(KRIVET Issue Brief 307호 참조)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AI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이며, 사회적·경제적 파급력에 대해서도 높은 기대를 나타냈다.
※ 분석 자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AI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교육 전환: 인재양성 어젠다(2024)’ 조사 데이터
※ 조사 대상 : 2024년도 1학기 기준, 생성형 AI 이용 경험이 있는 4~6년제 대학 재학생 726명
전체 응답자의 81.1%가 ‘AI가 할 수 있는 일에 감탄한다’고 답했으며, 76.4%는 ‘학업이나 일에 활용하고 싶다’고 응답해 높은 수준의 수용성과 활용 의지가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67.6%가 ‘AI는 우리나라에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61.2%가 ‘AI 시스템은 인간보다 더 나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응답해 AI의 사회·경제적 잠재력에 대한 기대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들이 AI를 개인의 흥미로운 학습 자원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국가·사회적 차원에서 기여할 수 있는 기술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AI에 대한 학습 불안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일자리와 사회·기술적 위험에 대한 불안은 높게 나타났다.
조사 결과, 대학생들이 AI 자체에 대한 학습 불안은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기술 발전이 초래할 수 있는 직업적·사회·기술적 영향에 대해서는 불안을 느끼는 이중적인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AI 기술에 대한 의존이 문해력과 사회적 영역에 미칠 위험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문해력 저하, 인간 고유의 역할, 윤리적 책임, 사회적 위험 인식 등에서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자기 인식을 드러냈다.
‘AI 활용이 문해력을 저해할 수 있다’와 ‘AI가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해 비판할 수 있다’에 대해 응답자의 60% 이상이 긍정적으로 동의했고, ‘AI 사용 과정에서의 윤리적 책임을 이해한다’는 문항의 긍정 응답률은 6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윤혜준 선임연구위원은 “미래 교육은 AI 활용 기술 습득을 넘어서 비판적 성찰·윤리적 판단·정서적 안정까지 포괄하는 확장형 문해력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대학은 전문성을 보유한 인재를 길러내는 데 머무르지 않고, 창의적 응용·비판적 사고·책임 있는 활용을 전문성과 결합해 차별화된 가치 창출 역량을 함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소개
1997년 직업 교육과 직업 훈련의 연계와 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첨부자료:
KRIVET Issue Brief 307호.pdf
웹사이트: http://www.krivet.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