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리어프리를 넘어 유니버셜디자인으로… 창작꿈터 놀이공장 ‘이상하고 아름다운 하얀 숲’ 쇼케이스

시각장애 어린이의 모험, 유니버설 디자인 어린이 뮤지컬로 구현

같은 무대·같은 경험… 모든 이를 위한 어린이 뮤지컬의 새로운 가능성 제시

서울--(뉴스와이어)--창작꿈터 놀이공장(대표 홍성연)은 9월 21일 오후 6시 유니버셜 디자인의 어린이 뮤지컬 ‘이상하고 아름다운 하얀 숲’의 쇼케이스를 개최했다. 이번 작품은 단순한 배리어프리를 넘어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점이 주목된다. 유니버셜 디자인이란 나이, 성별, 장애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방식을 말한다.

창작꿈터 놀이공장은 2024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창작의 과정’ 지원사업을 통해 유니버셜 디자인 뮤지컬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다각도로 리서치를 진행했다. ‘이상하고 아름다운 하얀 숲’은 그 결과로 탄생했다. 기획 단계부터 유니버셜 디자인을 염두에 둔 작품이다. 리서치단계부터 함께한 구도윤 작가가 대본을 집필하고 민찬홍 작곡가가 음악을 작곡했으며, 이야기기획단 시작과끝이 기획 전반을 담당했다.

‘이상하고 아름다운 하얀 숲’은 시각장애가 있는 어린이 ‘연이’가 주인공으로, 꼬리를 잃은 여우 ‘미호’와 함께 신비로운 하얀 숲을 여행하며 성장하는 판타지 모험담이다. 극 중에서 연이와 미호는 서로의 감각을 교환하며 여행을 떠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장애가 있는 관객과 비장애 관객 간의 감각 격차를 줄이고, 자연스럽게 서로에 대한 이해를 넓혀가도록 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별도의 음성해설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나레이션을 통해 일반 관객과 시각장애 관객이 동시에 듣고 함께 상상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를 통해 모든 관객이 같은 공간에서 같은 이야기를 공유하는 통합적 관람 경험을 제공한다.

국내 첫 장애예술 표준공연장인 모두예술극장의 모두스튜디오에서 개최된 이번 쇼케이스에는 시각장애 당사자와 관련 업무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작품의 방향성을 점검했다. 참석자들은 공연의 전개나 장면별 표현방식에 대해 세세하고 구체적인 조언을 제공했다. 특히 ‘장애가 있다고 해서 다르지 않고, 다른 이들과 똑같은 것을 보고 똑같은 감상을 공유하고 싶어한다’는 조언은 작품이 추구하는 바를 재확인하는 중요한 지침이 됐다. 창작꿈터 놀이공장은 이번 쇼케이스에서 얻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작품을 더욱 발전시켜 본공연으로 제작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성연 연출은 “장애를 ‘감각하는 방식이 다름’일 뿐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해, 누군가에게만 필요한 장치가 아닌 무대언어로서 활용되는 배리어프리 요소를 개발하고 있다”며 “배리어프리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특별한 일이 아니라 당연한 일이 되고, 그것이 장애가 없는 이들에게도 좋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도록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을 차근차근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시작과끝 소개

이야기기획단 시작과끝은 재미있는 상상과 이미지로부터 이야기를 찾아내 매체와 장르의 제한없이 구체화하는 프로젝트 기획그룹이다. 좋은 이야기가 세상에 태어나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는 과정을 시작부터 끝까지 늘 함께하고 싶다.

연락처

이야기기획단 시작과끝
백선PD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