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플레이트 ‘우리말 어원으로 배우는 일본어 단어 2025 개정판’ 출간
현대어, 고어, 방언으로 일본어의 뿌리를 밝히다
이번 개정판은 기존 출간한 책을 대폭 보완한 것으로, 수록 단어도 1759개 단어며, 일본어 능력시험 JLPT 수준별(N5∼N1)로 구분해 초급 레벨 N5부터 가장 고급 레벨인 N1까지 모두가 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 책에서는 일본어의 뿌리가 우리말이라는 것을 많은 어휘에서 말해주고 있다.
저자는 일본어의 뿌리가 우리말임에도 불구하고 언뜻 보아서는 잘 모르는 이유는 일본어의 발음 수(112개)가 적은 탓으로, 우리말(우리말 발음 수 1096개)을 충분히 제대로 표기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래서 우리말이 일본어로 바뀔 때 나타나는 몇 가지 현상을 정리하고 이것을 법칙화해서 일본어로 바뀌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일본어 어원을 밝히는 데 있어 현대어를 비롯해 고어(古語), 방언까지 동원하고 있다. 저자는 가야어(伽耶語)가 가장 먼저 일본으로 건너갔기 때문에 경남 방언이 어원이 되는 말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 책을 보면 일본어가 우리말과 동떨어진 별개의 언어가 아니라 일본어 속에 우리말이 녹아 들어가 있음을 알게 된다. 이제 일본어 공부는 단순히 하나의 외국어를 공부한다는 차원을 넘어 일본어 속에 스며있는 또 하나의 우리말을 발견하는 즐거움도 덤으로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는 공무원을 정년 퇴직한 후 일본어 어원 연구를 하고 있으며, 재직 시 공무원 국비국외훈련 파견으로 일본 오사카 대학(大阪大学) 대학원 법학연구과 수사(석사) 과정을 졸업했다. 저서로는 ‘우리말 어원의 일본어 단어’(2023), 역서로는 ‘日本の官僚人事システム’(1996)을 ‘일본 공무원의 인사 및 급여 시스템’(1997)이라는 제목으로 번역한 것이 있다.
한창화 작가 소개
한창화 작가는 경남 합천 출생으로, 생물교육을 전공한 뒤 상공부(현 산업통상자원부)에 입청했다. 공무원 재직 중 국비 국외훈련으로 일본에 파견돼 법학 석사 과정을 마쳤으며, 정년 퇴직 후에는 저술과 번역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연락처
한창화 작가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