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디아 ‘LTPO가 LTPS 제치고 지배적 기술로 2025년 플렉서블 스마트폰 AMOLED 시장 부상’ 전망
이러한 LTPO로의 전환은 플렉서블 AMOLED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의 주류 기술로 입지를 공고히 하면서 나타나고 있다. 2024년 전체 AMOLED 디스플레이 출하량이 사상 처음으로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출하량을 넘어서며 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출하량의 51%를 차지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플렉서블 AMOLED 부문에서 고급 기기의 저전력 소비 수요가 LTPS에서 LTPO로의 구체적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사실이다. 패널 제조업체들의 2025년 하반기 출하 계획에 따르면 LTPO 점유율은 2025년 3분기 55.3%에 도달하고 4분기에는 58.8%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애플(Apple)의 제품 전략이 이러한 시장 변화의 주요 동인이다. 2025년에 애플은 아이폰 16E와 새로운 아이폰 17 시리즈를 포함해 5개의 새로운 AMOLED 아이폰을 출시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LTPS LCD 기반 아이폰 SE 모델의 단계적 종료를 알리는 것으로, 아이폰용 TFT LCD 패널 수요의 급격한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애플의 전체 AMOLED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아이폰 17과 아이폰 에어를 포함한 4개 아이폰 17 시리즈 모델 전체에 LTPO 플렉서블 AMOLED를 채택함으로써 2025년 하반기 LTPO 수요는 매우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플래그십 모델에서 하이엔드 모델로 LTPO 플렉서블 AMOLED 채택을 계속 확대하는 중국 스마트폰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업체들로 인해 더욱 증폭됐다.
패널 공급업체 관점에서 보면 수요 급증이 대부분의 AMOLED 패널 제조업체들의 출하량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되며, 삼성디스플레이와 BOE, 톈마(Tianma)가 이러한 시장 변화의 주요 수혜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브라이언 허(Brian Huh) 옴디아디스플레이 리서치 부문 수석 애널리스트는 “애플이 플래그십 아이폰에 대한 LTPO AMOLED 전환을 완료하면서 안드로이드 브랜드들도 경쟁력 유지를 위해 이 기술의 채택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이와 동시에 중국 패널 제조업체들이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LTPO 채택을 공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LTPO AMOLED의 견고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보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옴디아 소개
옴디아는 나스닥 상장사인 Informa TechTarget, Inc.(NASDAQ: TTGT)의 일원으로, 선도적인 기술 리서치 및 컨설팅 제공 기관이다. 옴디아는 업계 리더들과의 심도 깊은 대화를 바탕으로, 수십만 개의 데이터 포인트에 기반한 기술 시장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략적 시장 인텔리전스는 고객이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R&D부터 ROI까지 옴디아는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기회를 발굴하고 있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923254363/en
웹사이트: https://omdia.tech.informa.com/
연락처
옴디아(OMDIA)
파시하 칸(Fasiha Khan)
Fasiha.khan@omd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