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LABS, KISA ‘K-BTF 실증사업’ 참여… DID 플랫폼 구축 완료·CSAP 인증 절차 진행

DID 플랫폼 개발에서 제도적 검증 단계로, 공공시장 진입 채비

성남--(뉴스와이어)--블록체인 기술 기업 씨피랩스(CPLABS)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추진하는 Korea-Blockchain Trust Framework(K-BTF) 실증사업에 참여기업으로 참여해 DID(분산 신원) 플랫폼 구축을 완료하고 공공 클라우드 보안 인증(CSAP)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25년 2월 2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진행되며, 공공 서비스에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신뢰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한 정부 주도 프로젝트다.

CSAP 인증 절차 본격화

씨피랩스는 본 사업에서 DID 기반 플랫폼 설계와 구현을 맡아 기술적 검증을 마쳤으며, 과제에 포함된 CSAP 인증을 정식 신청하고 현재 심사 절차를 밟고 있다. CSAP 인증은 공공기관 대상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핵심 요건으로 이번 심사는 연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씨피랩스는 공공시장 진입의 제도적 기반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시장 진입 기반 강화

부산 비패스, 메타패스, WEB2X, 블록체인 기반 공공 프로젝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 성과를 축적해 온 씨피랩스는 이번 사업에서도 DID 플랫폼을 통해 공공시장 진입 기반을 마련해 갈 계획이다. 이번 실증사업 참여는 기존 민간 서비스 경험을 바탕으로 공공 부문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블록체인 1세대 기업의 행보

국내 1세대 블록체인 기술기업 씨피랩스(구 코인플러그)는 DID, Web3 인프라, 디지털 인증 분야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으며, 이번 K-BTF 실증사업을 통해 공공 부문 신뢰 인프라 구축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하고 있다.

씨피랩스 소개

씨피랩스(CPLABS, 구 코인플러그)는 2013년 설립된 대한민국 블록체인 1세대 기업이자 대표적인 Web3 플랫폼 전문 기업으로 360여 개 이상의 관련 특허를 보유한 압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AI와 웹3를 융합한 혁신적인 솔루션과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특히 WEB2X는 API 호출만으로 기존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API서비스로, 기업들이 웹3 환경에 진입하는 장벽을 낮추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메인넷(Metadium, Wemix3.0), AI ChatBot, 더폴(THEPOL), 부산시민카드 B PASS, 모바일 사원증 MetaPass 등 실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구축, 운영하며 금융, 공공,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 전환과 AI, 웹3 생태계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cplabs.io

연락처

씨피랩스(CPLABS)
김정소 본부장
1899-9942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