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은 기모노가 아니에요… 주브라질한국문화원, 잘못된 문화명칭 바로잡는다

한글날 맞아 ‘올바른 한국문화 명칭 사용 캠페인’ 전개

상파울루, 브라질--(뉴스와이어)--주브라질한국문화원(원장 김철홍)은 브라질 상파울루주가 2025년 처음으로 한글날(10월 9일)을 공식 기념일로 지정한 것을 맞아 ‘이름을 올바르게 부르는 것이 곧 존중입니다(Nomear é respeitar)’ 캠페인을 전개한다.

이번 캠페인은 주브라질한국문화원이 주최하고, 주상파울루대한민국총영사관과 상파울루한국교육원, 상파울루대학교(USP) 인문학부가 협력 기관으로 참여한다. 브라질 사회에서 자주 혼용되는 한국문화 관련 용어를 바로잡고, 정확한 명칭 사용을 장려함으로써 문화적 이해와 상호 존중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실제 브라질에서는 K-드라마를 ‘도라마(Dorama)’, 김밥을 ‘스시(Sushi)’, 한복을 ‘기모노(Kimono)’라 부르는 등 잘못된 일본어식 표현이 널리 쓰이고 있다. 소주를 ‘사케(Sake)’, 간장을 ‘쇼유(Shoyu)’, 젓가락을 ‘하시(Hashi)’라고 말하는 사례도 빈번하다.

이러한 현상은 1980년대부터 브라질 사회에 뿌리내린 일본 대중문화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김철홍 주브라질한국문화원장은 “김밥을 스시로, 드라마를 도라마로 부르는 일은 작은 착오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름을 정확히 부르는 것은 단순한 언어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적 존중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바로잡고자 문화원은 이번 캠페인을 통해 브라질에서 자주 혼동되는 한국문화 관련 용어를 모아 비교·설명한 ‘혼용 용어 가이드북’을 제작했다. 가이드북은 현지 언론인과 교육자, 콘텐츠 제작자 등에게 배포할 예정이며, 일반 대중도 문화원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캠페인의 일환으로 세종학당과 함께 지난 10월 9일 한글날에 상파울루대학교 인문학부 한국어 전공 김지윤 교수를 초청해 ‘왜 한국인은 이렇게 말할까? - 한국어가 보여주는 한국인의 사고방식’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개최했다.

브라질 대중을 위해 포르투갈어로 진행된 이날 강연에서 김 교수는 “한국어에는 단어 이상의 문화적 사고방식이 담겨 있다”며 존댓말 체계와 어휘 선택, 담화 구조 등을 통해 공동체 중심의 가치관과 관계를 중시하는 한국 사회의 특성을 흥미롭게 설명했다.

주브라질한국문화원 김철홍 원장은 “이번 캠페인이 브라질 사회 전반에 한국문화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한류가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 깊이 있는 문화 교류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브라질한국문화원 소개

주브라질한국문화원은 문화체육관광부 국제문화홍보정책실의 지원으로 운영되는 기관으로, 2013년 상파울루에 설립돼 브라질 내 한국문화 진흥과 한-브라질 문화교류 확대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상설 전시와 교육 강좌, 공연, 영화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한국문화를 폭넓게 소개하고 있으며, 브라질 사회와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바탕으로 양국 간 문화외교의 기반을 공고히 다져가고 있다.

웹사이트: https://brazil.korean-culture.org/ko

연락처

주브라질한국문화원
홍보실
오수민 팀장
+55-11-96474-1456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