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온이앤에스, SDV 시대 애자일 전환 전략 담은 ‘Automotive Agile 백서’ 발간
폭스바겐·BMW·테슬라 등 글로벌 OEM 사례 분석 자동차 산업 특화 17가지 실용 이니셔티브 제시
이번 백서는 SDV로 전환 중인 글로벌 자동차 산업을 배경으로 폭스바겐·메르세데스-벤츠·BMW·테슬라 등 주요 OEM의 애자일 도입 사례를 심층 분석하고, 자동차 도메인 특성을 반영한 실용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백서에 따르면 현재 생산되는 프리미엄 차량에는 1억 줄 이상의 소프트웨어 코드가 탑재되며, 차량의 핵심 가치가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급속히 이동하고 있다. 전통적인 5~7년 개발 주기로는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워지면서 글로벌 OEM들이 애자일 방법론 도입에 나서고 있다.
백서는 각 OEM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조직의 명확한 권한 부여, 문화 변화, 기술 인프라 현대화 등이 성공의 핵심 요인임을 밝혔다. 또한 백서는 자동차 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17가지 실용 이니셔티브를 제시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개발의 의도적 분리 △ISO 26262·ISO/SAE 21434 안전 규제의 스프린트 내 통합 △Automotive SPICE®와의 실용적 공존 방안 △DevSecOps로의 진화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백서는 ‘모든 것을 애자일로’ 접근하지 말고, 조직의 맥락에 맞게 애자일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것을 강조한다. 물리적 차량 플랫폼은 전통적 프로세스로, 소프트웨어 기능은 애자일로 개발하는 이원화 전략을 제안하며 문화 변화가 5~10년이 걸리는 장기 과제임을 인정하고 작은 실험부터 시작할 것을 권장한다.
세온이앤에스는 SDV 시대에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은 생존의 필수 조건이라며, 이 백서가 국내 자동차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실질적인 가이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백서는 도입 목적 명확화, 프레임워크 적합성 점검, 성과 측정 등을 점검할 수 있는 실무 체크리스트도 제공한다.
세온이앤에스 소개
세온이앤에스(Seon ENS, Inc.)는 자동차 전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기능 안전 및 보안 컨설팅, 국제 인증 대응에 특화된 엔지니어링 전문 기업이다. 세온이앤에스는 ASPICE, ISO 26262(기능 안전), ISO 21434(사이버 보안) 등 글로벌 표준에 기반해 실질적인 기술 적용과 고객 맞춤형 대응 전략을 제공하며, 단순한 이론이나 문서 작업이 아닌 현장 중심의 문제해결력을 강점으로 한다. 주요 고객사로는 국내의 OEM 및 주요 Tier사가 있다. 주요 서비스는 △A-SPICE 기반 품질 프로세스 진단 및 개선 △기능안전 및 사이버보안 컨설팅(ISO 26262 / ISO 21434)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MBD, 오토사 기반 개발 및 통합) △테스팅 용역(SW단위~통합 및 HIL) 등이다.
첨부자료:
발췌본_세온이앤에스_Automotive_Agile_백서.pdf
백서 다운로드: https://bit.ly/4q8M0UN
웹사이트: https://www.seonens.com
연락처
세온이앤에스
마케팅팀
신승환 상무
02-6243-9730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