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클라우드, 비오 3로 국내 영상 제작 프로세스 혁신 이끈다

필굿뮤직·스튜디오 리얼라이브·캐럿 등 국내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비오 3’ 활용 사례 공개

짧은 텍스트만으로 고품질 영상 제작 가능해 콘텐츠 제작 시간 획기적 단축… 국내 기업의 크리에이티브 경쟁력 강화

서울--(뉴스와이어)--구글 클라우드가 텍스트 명령만으로 고품질 영상을 생성하는 차세대 AI 동영상 생성 모델 ‘비오 3(Veo 3)’를 도입한 국내 기업들의 성공 사례를 공개했다.

비오 3는 기존 AI 모델의 한계를 뛰어넘어 뛰어난 영상 품질과 긴 길이의 영상 생성 그리고 세밀한 스타일 및 구도 제어 기능을 제공하며, 콘텐츠 창작부터 마케팅, 미디어, 엔터테인먼트에 이르는 다양한 국내 산업 분야에서 영상 제작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복잡하고 오랜 시간이 걸리던 기존의 영상 제작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차원의 콘텐츠를 손쉽게 기획하고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사장은 “비오 3는 콘텐츠 제작 전반에서 영상 제작의 장벽을 혁신적으로 낮추며, 전문적인 수준의 영상을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제작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향상하고 창작자에게 더 많은 상상력과 가능성을 현실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며 “구글 클라우드는 비오 3를 통해 국내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차세대 콘텐츠 혁신을 주도하고 크리에이티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필굿뮤직

필굿뮤직(Feel Ghood Music)은 타이거 JK가 이끄는 국내 대표 힙합 레이블로, ‘음악을 통한 긍정적인 메시지 전파’를 목표로 하며 독창적인 아티스트의 음악을 기획 및 제작하고 있다. 필굿뮤직은 최근 구글 클라우드, GS네오텍과의 협력을 통해 드렁큰 타이거의 ‘끄덕이는 노래’ 뮤직비디오를 비오 3로 생성했으며, 지난 7월 개최된 ‘구글 클라우드 데이 서울’ 행사에서 공개한 바 있다. 이 곡은 2018년 발매된 드렁큰 타이거의 마지막 앨범인 10집 ‘X : Rebirth of Tiger JK’의 수록곡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필굿뮤직은 뮤직비디오 제작 과정을 완전히 혁신했다. 간단한 텍스트 프롬프트만으로 아이디어를 직관적으로 구현하고 스토리보드를 빠르게 완성하며 팀원들과 즉각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기존에는 수개월이 소요될 시네마틱한 영상 효과까지 스튜디오에서 직접 제작하며 3D, 특수효과, 편집 등에 필요한 시간과 예산을 크게 단축했다. 그 결과, 상상 속에서만 가능했던 작업물의 70~80%를 단 2주 만에 실현하는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

한상범 필굿뮤직 뮤직비디오 감독은 “비오 3는 아티스트의 음악적 비전을 효율적으로 시각화하는 강력한 도구”라며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필굿뮤직은 앞으로도 인간의 창의적인 디렉팅과 AI의 시각화 능력을 결합해 음악과 영상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독창적이고 철학적인 메시지를 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스튜디오 리얼라이브

SM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이자 전 세계 K-pop 팬덤에 몰입감 넘치는 경험을 제공하는 이머시브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스튜디오 리얼라이브(Studio Realive)는 지난 19일 비오의 기술력에 기반한 영화 제작 도구 플로우(Flow)로 제작한 신곡 ‘Rich Man(Yellow Claw Remix)’의 뮤직비디오를 유튜브 SM TOWN 채널에서 공개했다. 이를 통해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환상적인 영상미를 구현한 것은 물론, 팬들을 위한 흥미로운 요소들을 영상 곳곳에 담아냈다.

스튜디오 리얼라이브는 일찍이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 및 구글 클라우드와 협업을 통해 비오 2(Veo 2)의 베타 버전을 시범 도입한 바 있다. 이후 다양한 콘셉트 시각화 작업과 영상 프로토타입을 구축하는 데 비오 3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특히 크리에이티브 영역에서 AI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실험을 지속하며, 자체 AI 에이전트를 구축해 콘텐츠 기획부터 이머시브 콘텐츠 공간 구축에 적용하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삼고 있다.

이승우 스튜디오 리얼라이브 대표는 “케이팝 IP와 글로벌 팬들이 더욱 깊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생생하면서도 정교한 콘텐츠와 세계관을 구축해 차별화된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 스튜디오 리얼라이브의 목표”라며 “그 일환으로 구글 클라우드와 다양한 분야에서 생성형 AI 협업을 모색하며, 스튜디오 리얼라이브의 미션을 실현하고 크리에이티브 업계에 혁신을 만들어 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캐럿

패러닷의 생성형 AI 서비스 캐럿(Carat)은 누구나 전문적인 콘텐츠 제작 경험 없이도 다양한 AI 서비스를 활용해 이미지, 일러스트, 영상 등의 콘텐츠를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구글 클라우드의 버텍스 AI(Vertex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AI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중 캐럿은 버텍스 AI의 제미나이(Gemini)를 비롯한 언어 모델을 통해 영상 제작 의도와 목적을 명확히 설정한 후 비오 3와 이마젠(Imagen)을 활용해 영상 콘텐츠를 생성한다. 제미나이는 제작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비오 3에 영상 제작에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전달해 결과물을 빠르게 생성하도록 지원하며, 캐럿이 작업 속도를 가속화하고 비용을 감축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구글 클라우드는 생성형 AI가 부적절한 콘텐츠를 생성하지 않도록 특정 프롬프트를 제한하고 결과물 검증을 위한 기술을 지원한다. 또한 AI 생성 결과물에 보이지 않는 워터마크를 새겨 기존 콘텐츠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고 자신만의 콘텐츠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장진욱 패러닷 대표는 “캐럿은 비오 3를 통해 국내 사용자들이 아이데이션부터 배경음악, 효과음 추가 등 모든 영상 제작의 단계를 올인원으로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캐럿은 모두에게 쉽고 편리한 AI라는 미션을 달성하기 위해 새롭게 출시되는 혁신적인 AI 모델을 빠르게 도입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s://cloud.google.com/?hl=ko

연락처

구글 클라우드 홍보대행
KPR
김지윤 대리
02-3406-2226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