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AI, 기후위기 대응할 미래기술 찾는다

KISTI ‘2025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제20회) 개최

미래 예측 기반 ‘국내 최대의 과학기술·산업 컨퍼런스’

AI와 함께 지속가능한 미래유망기술 탐색

서울--(뉴스와이어)--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 원장 이식)은 11월 6일(목) 서울 코엑스 그랜드컨퍼런스룸(401호)에서 ‘2025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제20회)를 개최한다.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는 국내 최대 규모의 미래 예측 기반 과학기술·산업 컨퍼런스로, 지난 20년간 산·학·연·정 관계자들에게 과학기술의 혁신 방향과 산업 트렌드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해 왔다.

이번 컨퍼런스의 주제는 ‘기후위기 대응 미래유망기술(Human & AI United for Climate Action)’로, 기후위기 극복을 넘어 이를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첨단 과학기술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본 행사에서 발표되는 미래 예측은 인간과 AI가 함께 분석한 결과물들이다. KISTI는 AI를 이용해 세계적인 예측 정확도를 자랑하는 ‘지능형 미래분석체계’를 구축하고, 전문가의 통찰을 결합해 미래유망기술과 유망 사업화 아이템을 도출·발표한다.

기조강연은 JTBC ‘차이나는 클라스’, EBS ‘취미는 과학’ 등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진 세계적인 고기후학자 박정재 교수(서울대학교 지리학과)가 맡는다. 박 교수는 ‘인류세를 말하다 - 기후변화와 생태계 위기’를 주제로 자연적 요인이 아닌 인간의 활동이 지구환경을 결정하는 ‘인류세(Anthropocene)’ 시대에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대응 과제를 제시한다.

유가영 교수(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는 ‘기후변화와 자연 기반 해법 - 토양 탄소 저장과 격리’를 주제로 기후위기 대응 방안 중 하나인 ‘자연 기반 해법(NbS)’을 소개한다. 특히 토양의 탄소 흡수·저장 능력을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중점적으로 제시한다.

조헌혁 LG CNS 데이터센터사업단장은 ‘데이터센터 사업자가 하고 있는 환경을 위한 노력’을 주제로 AI 시대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 급증 현황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에너지 효율화 기술 및 친환경 전략에 대해 발표한다.

권태훈 KISTI 글로벌R&D분석센터 팀장은 ‘UN SDG 관점에서 본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 R&D: 글로벌 비교를 통한 현주소 분석’을 주제로, 세계 각국의 과학기술 빅데이터를 AI로 비교·분석해 도출한 한국의 기후 현황과 관련 R&D의 현주소를 객관적으로 제시한다.

김소영 KISTI 미래기술분석센터장은 ‘PROJECT EARTH : 기후전환을 이끄는 미래유망기술’이라는 발표를 통해 KISTI의 ‘AI 기반 미래기술예측 모델’로 도출한 ‘기후 전환을 이끄는 미래유망기술 12선’을 발표한다. 여기에는 △고효율 태양광 열병합 발전 기술 △광촉매 이종접합 기반 친환경 에너지 전환 기술 △지속가능한 대체육 기술 △기후변화 대응 가뭄 모니터링 및 예측 기술 등이 포함된다.

윤성욱 KISTI 기술사업화연구센터 팀장은 “기후위기와 기술의 경계를 넘어, 주목해야 할 글로벌 사업화 아이템”이라는 발표를 통해 현시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기후테크 유망 사업화 아이템 10선’을 공개한다. 여기에는 △수소 무역을 가능하게 만드는 암모니아 크래킹 △이산화탄소로 화석연료를 생산하는 전자 연료 △산업 부산물 기반 혼합재 시멘트 등이 포함된다.

KISTI 이식 원장은 “과거에는 경제가 성장할수록 에너지 사용과 온실가스 배출이 함께 증가하는 것이 당연시됐지만, 이제 첨단기술을 통해 급속한 경제성장 속에서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탈동조화’의 기회가 열리고 있다”며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를 통해 기후위기를 위협이 아닌 새로운 기회로 전환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용어 설명

*인류세(Anthropocene): ‘인류(anthropos)’와 ‘최근(cene)’의 합성어로, 인류의 활동이 지구의 지질학적, 생태학적 과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지질 시대를 의미한다.
*자연 기반 해법(NbS; Nature-based Solutions): 자연 본연의 기능을 이용해 다양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 방식으로, 기후변화 대응과 생태계 보전, 인간 생활환경 개선을 동시에 추구한다.
*SDG(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015년 UN 총회에서 채택된 인류 공동의 17가지 목표이다. 이 가운데 SDG13은 ‘기후변화와 그 영향에 대처하기 위한 긴급 행동’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소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과학기술 R&D 인프라의 체계적 구축을 통한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설립된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첨부자료:
251029_2025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보도자료 1(행사전)_포스터 수정.hwp

행사 홈페이지: https://www.emergingtech.re.kr/

웹사이트: http://www.kisti.re.kr

연락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글로벌R&D분석센터
서주환 책임연구원
02-3299-6012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