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숙선생의 춤 세계… 1972년 한영숙 승무의 원형재현과 보존을 위한 학술발표회 개최
주최 불교문화단체 ‘구슬주머니’, 주관 한국춤예술센터,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성균소극장 개관 20주년 기념 학술발표회
한영숙은 할아버지인 한성준으로부터 승무를 배워 1969년 최초의 국가무형유산 승무 보유자로 지정됐으며, 1972년 영상은 그의 전성기의 승무와 당악등이 고스란히 담긴 초기 승무를 확인할 수 있는 귀한 자료가 됐다.
2021년 한영숙의 대를 이은 승무보유자 이애주가 타계하면서 한영숙 승무의 원형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많은 춤꾼이 ‘전판’, ‘완판’이라는 이름으로 한영숙의 승무를 추고 있지만 이를 증명하고 인가해주기가 어려운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이러한 때에 1972년 한영숙이 최초로 남긴 승무 영상을 복원하면서 한영숙이 2세대에게 남긴 전수곡과 ‘지숫기’(궁굴리기)로 상징되는 한영숙 승무의 원형을 제시하고 전통춤 보존의 전형을 제시하게 된다. 또한 학술 발표를 통해 한영숙 승무의 역사적 중요성과 무용사에서의 위치를 다시금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에 Somatics(몸학)를 처음 소개한 김정명 교수(명지대 명예 교수,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석좌교수)의 기념사와 한영숙 승무 3세대인 이철진의 1972년 영상 재현공연으로 막이 오른다.
이후 무용 이론가 김기화 박사의 주제발표 ‘1972년 한영숙 고제 승무의 복원과 그 의미’와 이철진의 승무재현의 과정을 담은 ‘1972년 한영숙 승무 재현과정’ 발표가 이어진다. 종합토론에는 이지현(이학박사, 무용비평가), 최선일(문학박사,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소장) 박사의 1972년 영상의 무용사와 기록사적 토론이 펼쳐지게 된다.
성균소극장 개관 20주년 기념으로 펼쳐지는 이 학술대회는 구슬주머니가 주최하고 한국춤예술센터가 주관하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소극장협회의 후원으로 진행된다. 행사 후에는 이철진의 자전적 에세이 ‘나의 승무 나의 춤’ 북콘서트도 진행될 예정이다.
◇ ‘1972년 한영숙 승무의 원형재현과 보존을 위한 학술발표회’ 개요
· 기념사: 김정명 (명지대학교 명예교수,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석좌교수)
· 재현: 1972년 한영숙 고제 승무 재현 발표 - 이철진
· 발제 1: ‘1972년 한영숙 고제 승무의 복원과 그 의미’ - 김기화(한국춤 연구자)
· 발제 2: ‘1972년 한영숙 승무 재현과정’ - 이철진(이학박사, 한영숙 승무 3세대)
· 토론: 이지현(무용평론가), 최선일(문학박사,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소장)
· 사회 및 진행: 곽명지 PD
· 영상 및 스트리밍: 그림창고
· 일시: 2025년 11월 7일(금) 오후 3시
· 장소: 성균소극장
◇ ‘나의 승무 나의 춤’ 행사 개요
· 행사명: ‘나의 승무 나의 춤’ 출판기념회
· 일시: 2025년 11월 7일(금) 오후 5시 30분
· 장소: 대학로 성균소극장
· 주최: 불교문화단체 구슬주머니
·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춤예술센터,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성균소극장 소개
2006년 개관한 성균소극장은 ‘365일 춤과 노래가 있는 극장’을 모토로 한국 전통춤과 무용의 활성화를 위해 대학로에서 소극장 운동을 선도해왔다. 장기공연 시스템을 통해 무용단의 경쟁력을 높이고, 관객이 예술의 성장 과정을 함께 경험할 수 있는 무용 전용극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학술발표회 및 ‘나의 승무 나의 춤’ 출판기념회는 성균소극장 개관 20주년을 맞이하는 의미 있는 자리로, 전통춤의 계승과 새로운 예술적 해석을 함께 나누는 축제의 장이 될 것이다.
구슬주머니 소개
구슬주머니는 한국 전통예술의 대중화를 위해 앞장을 서고 있으며 대학로 유일의 춤/전통예술 전용 공간인 ‘성균 소극장’을 운영하고 있다. 무용 분야의 보다 많은 공연 기회를 제공하고 공연예술의 메카인 대학로에서 전통춤과 무용을 활성화하는 데 앞장서는 ‘구슬주머니’는 365일 춤과 노래가 있는 공간을 만들고 있다.
웹사이트: https://beadspouch-mo2.imweb.me
연락처
구슬주머니
기획홍보팀
곽명지 PD
02-3675-3336
이메일 보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