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예술, 장벽을 넘어 한국과 캐나다를 잇다

‘한국-캐나다 장애예술 교류전’ 양국 대표 장애예술 작가 10인 참여

캐나다 이어 한국 전시 개막… 2년 간의 문화교류 여정, 문화예술 협력의 결실로

서울--(뉴스와이어)--장애예술이 글로벌 현대미술의 주요 아젠다로 급부상하는 가운데 한국과 캐나다 양국을 대표하는 장애예술인들이 만든 교류 전시가 눈길을 끌고 있다.

“장애 예술인으로서 작품을 통해 국제무대에서 소통할 수 있어 영광이었습니다.” - 한국 참여 작가 유다영

“이번 교류는 단순한 전시를 넘어 양국 간 예술로 대화하는 시간이었으며, 예술에는 언어의 장벽이 없음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 캐나다 참여 작가 로리 M. 랜드리(Laurie M. Landry)

지난 9월 ‘한국-캐나다 장애예술 교류전 : 열린 균열, 가능성의 틈’ 전시에 참여한 한국과 캐나다 참여 작가 유다영과 로리 랜드리는 이같이 소감을 밝혔다.

‘2024-2025 한국-캐나다 상호 문화교류의 해’를 기념해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와 캐나다 문화유산부(장관 스티븐 길보)가 후원하고,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원장 박창식),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사장 방귀희), 캐나다 전국장애인예술센터(National accessArts Centre, NaAC)가 공동으로 추진하며 캐나다예술위원회, 주한캐나다대사관이 협력하는 한-캐나다 장애예술 교류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마련된 ‘한국-캐나다 장애예술 교류전 : 열린 균열, 가능성의 틈’이 캐나다 3개 도시 순회전을 성황리에 마치고, 11월 5일부터 12월 4일까지 서울 모두미술공간에서 이어진다.

‘열린 균열, 가능성의 틈’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허무는 전시

양국을 대표하는 장애예술 작가 10인은 캐나다 전시 기간에 작품 전시, 발표, 워크숍 등 다양한 협업 프로그램 등을 함께하며 서로의 예술 세계를 공유하고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넘어 포용과 창의의 가치를 나누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서울에서 개최되는 이번 전시는 포스터 음성 해설, 점자 등 다양한 접근성을 반영해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허물고 누구나 관람할 수 있는 전시 환경을 조성했다. 이를 통해 작가와 관람객은 ‘열린 균열’ 속에서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며 예술을 통한 공감과 소통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번 교류전은 캐나다 순회전을 통해 쌓아온 문화교류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울 전시에서는 한층 확장된 규모와 깊이 있는 내용으로 한국 관객을 만날 예정이다.

2년간 이어진 상호문화교류, 예술로 맺은 협력의 결실

‘2024-2025 한국-캐나다 상호 문화교류의 해’는 공연, 시각예술, 음악, 무용, 영화, 애니메이션, 문학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양국이 문화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실질적 교류의 장을 만들어왔다. 국·공립기관부터 민간 예술단체, 학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협력을 통해 추진된 이번 사업은 양국 국민 간 상호 이해와 교류의 폭을 한층 넓히는 성과를 거뒀다.

박창식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장은 “2024-2025 한국-캐나다 상호 문화교류의 해는 문화예술의 다양성과 포용을 바탕으로 양국이 서로의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새로운 협력의 가능성을 확장한 시간이었다”며 “이번 교류전을 계기로 양국이 더욱 긴밀히 협력하며 지속 가능한 문화예술 교류의 기반을 다져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소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은 다양한 문화산업 국제교류를 통해 각국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도모하고, 상호 협력을 위한 민간 교류 창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국가 간 문화교류 및 협력 기반 조성에 이바지하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민간재단이다.

웹사이트: https://kofice.or.kr

연락처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홍보대행
애프터눈
김아미 대표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