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에서 스타벅스까지 - 손기환의 현실풍경 ‘바람이 분다 - 희망가’ 개인전 개최

전쟁의 잔여와 희망의 색채로 그린 우리 시대의 자화상

서울--(뉴스와이어)--시각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예술의 ‘현실적 동일성’을 추구해 온 손기환의 개인전 ‘바람이 분다- 희망가’가 11월 5일(수)부터 18일(화)까지 나무아트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지난 3년간 집중해 온 신작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손기환은 오랫동안 DMZ, 분단, 전쟁, 근현대사의 균열을 탐구해 왔으며, 이를 더 이상 ‘과거의 잔상’이 아닌 현재의 사건으로 불러낸다.

그의 회화는 딱지·우표·전단(삐라)·만화·포스터 등 대중 인쇄물의 문법을 과감히 끌어들인다. 만화적 과장과 팝적 색채 속에 스며든 냉소와 아이러니는 현실의 불안과 희극이 교차하는 한국적 풍경을 독자적으로 시각화한다.

이번 전시의 제목 ‘바람이 분다’는 프랑스 시인 폴 발레리의 시 ‘해변의 묘지’에서 가져온 구절로,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는 시인의 마지막 문장을 변주한다. 여기에 작가는 ‘희망가’라는 부제를 덧붙였다. 절망의 시대를 지나며 여전히 ‘그리는 자’와 ‘바라보는 자’가 존재한다는 믿음, 그것이 손기환의 회화가 내뿜는 정서적 진동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최근 핫플레이스인 ‘애기봉-스타벅스’ 시리즈가 포함돼 있다. 북한이 보이는 최북단의 전망대에 들어선 글로벌 브랜드 매장이 분단의 비극이 관광 상품으로 소비되는 아이러니한 현실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샤면의 풍경’ 또한 중국 샤먼과 금문도 사이 단절과 갈등의 모습은 사라지고 관광객과 젊은 세대에게 하나의 포토존이 되는 현실의 지점이 우리 현실과도 다르지 않음을 표현하고 있다.

손기환은 확실히 자신의 주제를 위한 소재를 감각적·개념적으로 포착하는 더듬이 기능이 예민하다. 우리가 부주의하게 지나치는 사건과 단서들을 포착하고 엮어서 분단 현실과 현상으로 제유하면서도, 그것을 다시 각 개인 단위의 실존적 문제로 소급해서 전체와 부분을 아우르는 형상성을 도출해 낸다. 중후한 거대 담론의 역사성과 통속적 감각 기제가 상호 얽히면서 이끄는 팝(Pop)적 소통 감수성이 바탕에 있고, 그것은 분단에 대한 비판성의 직접적 제시 및 비유, 팝적 대중성과 역사적 비극성이 맞물리면서 구성한 분단 극복의 알레고리로서 손기환의 회화적 ‘희망가’이기도 하다.

손기환 작가 소개

손기환 작가는 홍익대학교 및 동대학원을 졸업해 1981년 앙데빵당 전으로 데뷔한 이후 평면 회화에 머물지 않고 판화, 벽화, 그리고 만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과 장르를 넘나들면서 가치 있는 작품을 제작했으며, 회화의 전통적인 방법뿐 아니라 컴퓨터 그래픽과 애니메이션 제작에도 관심을 가져 5편의 단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도 했다. 이러한 표현 방법의 확대는 재료와 기법의 실험을 넘어 관객과의 소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최근 콜라주 및 입체 작품에 관심을 갖고, 대중적인 장르인 만화의 다양한 요소와 연출 기법을 접목시키는 작업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손 작가의 작품은 영국대영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 다수 소장돼 있다.

웹사이트: http://www.sonkihwan.com

연락처

손기환 작가
나무아트 전시팀
김진하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손기환 작가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