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 2025년 3분기 피싱 문자 트렌드 보고서 발표

뉴스 제공
안랩 코스닥 053800
2025-11-05 15:47
성남--(뉴스와이어)--안랩(대표 강석균, www.ahnlab.com)이 2025년 7월부터 9월까지 자체 구축 AI 플랫폼에 기반해 다양한 피싱 문자를 탐지·분석한 결과를 담은 ‘2025년 3분기 피싱 문자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공격 유형: 1위 구인 사기

올 3분기 가장 많이 발생한 피싱 문자 공격 유형은 ‘구인 사기(35.01%)’로, 전체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정부·공공기관 사칭(23.77%) △텔레그램 사칭(20.07%) △금융기관 사칭(10.98%) △택배사 사칭(3.30%) △청첩장 위장(3.04%) △공모주 청약 위장(1.46%) △대출 사기(1.16%) △부고 위장(1.00%) △가족 사칭(0.21%) 순서로 집계됐다.

‘구인 사기’ 유형은 단기 고수익 아르바이트나 재택근무 모집 등으로 가장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공격자는 문자 본문에 지원 또는 상담용 페이지로 위장한 URL을 삽입해 사용자의 반응을 유도한다. ‘즉시 채용’, ‘고액 수당 지급’ 등 비현실적인 조건을 내세워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1:1 대화방으로 유도해 금전을 갈취하는 사례가 꾸준히 확인되고 있다.

사칭 산업군: 1위 정부·공공기관

피싱 문자 공격자가 사칭한 산업군 비중은 △정부·공공기관(30.99%) △금융기관(7.62%) △물류(3.04%) △기타(58.35%) 순으로 나타났다.

공신력 있는 정부·공공기관을 사칭한 공격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기타’ 산업군 사칭이 절반을 넘는 것은 피싱 문자 공격이 일상생활 전반으로 확산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피싱 문자 공격자들은 사회적 이슈나 개인 관심사를 교묘히 악용해 불특정 다수를 노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피싱 시도 방식: 1위 URL 삽입

피싱 시도 방식은 ‘URL 삽입’이 96.60%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모바일 메신저로 유인하는 방식은 3.40%에 그쳤다.

이는 공격자들이 여전히 URL 삽입을 가장 효율적인 공격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새로운 기술적 변화를 시도하기보다 기존 공격 방식을 정교화하면서 사용자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전략이 이어지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피싱 문자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불분명한 송신자가 보낸 URL 클릭 금지 △의심스러운 전화번호의 평판 확인 △업무·일상에 불필요할 경우 국제 발신 문자 수신 차단 △V3 모바일 시큐리티와 같은 스마트폰 보안 제품 설치 등 기본적인 보안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안랩은 최근 피싱 문자 공격은 구직 등 개인의 일상과 심리를 노린 생활 밀착형 형태로 확산하고 있다며, 취업·고수익·재택근무 등 쉽고 즉각적인 이익을 내세우는 메시지일수록 피싱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경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전했다.

V3 모바일 시큐리티는 안랩의 자체 구축 AI 플랫폼 ‘안랩 AI 플러스(AhnLab AI PLUS)’ 기반 행위 분석 및 패턴 인식 기술로 다양한 피싱 문자의 특징을 실시간으로 식별하며, 악성·의심 URL 검사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안랩은 ‘피싱 문자 트렌드 보고서’를 포함한 전문적인 최신 위협 정보를 자사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안랩 TIP(안랩 티아이피, https://atip.ahnlab.com)’에서 제공 중이다.

웹사이트: http://www.ahnlab.com

연락처

안랩
커뮤니케이션실
임선진 매니저
031-722-8553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