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예술주간 2025 ‘장애인문화예술 동아시아 포럼’ 개최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아시아 장애예술 발전을 위한 교류 본격 시작
한국, 일본, 중국(홍콩 특별행정구 포함), 싱가포르 총 4개국 참여
지속가능한 장애예술 생태계를 위한 협력 및 발전 방안 모색
‘함께 가는 미래, 동아시아 예술의 포용적 실천’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은 한국, 일본, 중국(홍콩 특별행정구 포함), 싱가포르 총 4개국 장애예술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각국의 포용적 예술정책과 장애예술의 현황을 공유한다. 모두예술극장(서울 충정로)에서 오전 11시부터 저녁 6시까지 진행된다.
유럽을 중심으로 높아지던 장애예술에 대한 관심이 아시아 국가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매년 모두예술주간을 통해 장애예술의 현황과 쟁점을 논해온 장문원은 변화의 흐름에 발맞춰 아시아 장애예술 전문가가 모여 현안을 나누고 발전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포럼을 기획했다.
세 개의 세션으로 구성된 이번 포럼은 장애예술을 화두로 삼아 △법과 제도 △축제 중심의 성장과 확산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주제로 진행된다. 국내외 장애예술 관계자들이 좌장과 토론자로 참여해 장애예술의 정책 협력과 포용적 예술의 확산 및 발전 방안을 함께 모색한다. 세션별 발제에 앞서, 장애예술인 지원의 법제화와 제도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힘써 온 김예지 국회의원(국민의힘)이 기조 발제를 진행할 예정이다.
세션 1. 동아시아 장애와 예술의 정책과 제도
정종은 교수(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과)의 발제를 시작으로 진행되는 첫 번째 세션에서는 ‘동아시아 장애와 예술의 정책과 제도’에 대한 담론을 나눈다. 정종은 교수는 한국 문화정책의 흐름과 장애예술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며, 성장을 넘어서 성숙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대해 발제할 예정이다. 두 번째 발제자인 오츠카 치에(일본, 도쿄예술위원회 활동지원부 매니저)는 복지 중심 관점에서 출발한 일본의 장애예술 정책의 흐름을 짚으며, 현재 문화예술과 복지의 통합적 관점으로 발전하게 된 일본의 장애예술 정책에 대해 소개한다.
세션 2. 축제를 통한 포용적 예술의 수용과 발전
장애예술의 현장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루는 포럼의 두 번째 세션에서는 ‘아시아의 포용적 예술 축제 사례’가 소개된다. 홍콩의 ‘노리미츠(No Limits)’, 중국의 ‘루미너스 페스티벌’의 사례를 중심으로 각 축제의 기획자 에디 지(중국 홍콩, 홍콩아트페스티벌 노리미츠 프로젝트 디렉터)와 듀 거(중국, 루미너스 페스티벌 창립자·디렉터)가 포용예술 축제의 성장 과정과 사회 변화에 대해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김용우 회장(한국장애인무용협회)은 한국 장애인예술 축제의 현황과 발전 방향과 예술 분야별·유형별 특화 축제의 필요성에 대해 전달할 예정이다.
세션 3. 지속가능한 장애인예술 생태계의 조성과 육성
안젤라 탄(싱가포르, ART:DIS 상임 대표)의 발제로 시작되는 마지막 세션은 ‘장애예술인의 자립과 전문 예술가로서 성장을 위한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진행된다. 안젤라 탄은 장애예술인의 자립을 위해 싱가포르가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을 소개한다. 그 후 하트시각장애인체임버오케스트라(이상재 음악감독)와 타이헨(일본, 만리 킴 예술감독)의 사례를 통해 장애예술단체가 성장하고 지속할 수 있는 동력에 대해 살펴본다. 두 단체를 통해 장애예술인이 복지 수혜자가 아닌 전업예술가(Professional Artist)로 성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가 공유될 예정이다.
방귀희 이사장은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국의 장애예술 사례를 한자리에 모았다”며 “장애예술의 가치와 사회적 의미를 확장하며, 향후 교류의 기반을 마련하는 장(場)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애인문화예술 동아시아 포럼’을 비롯한 ‘모두예술주간 2025’의 주요 프로그램은 모두예술극장 누리집(www.moduarttheater.or.kr)을 통해 사전 신청 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한편 2015년 설립된 장문원은 장애인 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정책 실행과 현장 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2017년 장애인 문화예술 지원 관련 예산을 직접 교부하며, 같은 해 공직유관단체로 지정됐고, 2021년에는 장애예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 업무 전담기관으로 지정돼 종합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해 왔다. 장문원은 지난 10년간 장애예술인의 창·제작 활동과 장애인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해 왔다.
웹사이트: https://moduarttheater.or.kr/home/main
연락처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홍보대행
신시아
박진아 매니저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