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각선횡단보도, 보행자 사고 27% 줄여
한국도로교통공단·서울시, 서울 시내 217개소 대상 설치 전·후 효과 분석 결과 발표
보행자 중심 교통 환경 강화로 보행자 교통사고·보행 이동 거리 감소
교차로에서 모든 방향으로 건널 수 있는 ‘대각선횡단보도’ 설치 이후 교통사고 건수가 이전보다 18.4%(377건→ 308건) 감소했다.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충격하는 ‘보행자보호의무위반’ 건수도 50%(34건→ 17건)로 줄어 대각선횡단보도 설치 이후 보행자 안전과 편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교통사고 건수’가 감소한 가운데, ‘차 대 사람 사고 건수’ 27.3%(99건→ 72건), ‘횡단 중 사고 건수’ 25.8%(66건→ 49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차 대 사람 교통사고’ 중 우회전 중 보행 교통사고와 좌회전 중 보행 교통사고가 각각 35.3%, 44.8%로 크게 감소해 모든 방향의 보행신호가 켜질 때 차량 진입이 금지되면서 보행자 안전을 높이는 데 뚜렷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대각선횡단보도가 생기면서 보행자 이동 거리에도 변화가 확인됐다. 설치 전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가기 위해 횡단보도를 두 번 건너야 했지만 대각선횡단보도로 한 번에 건널 수 있게 되면서 보행자 이동 거리는 평균 5.6m(32.5m→26.9m, 17.2%) 감소했다.
서울시는 대각선횡단보도 설치 전 우려됐던 ‘차량 정체’를 줄이기 위해 설치 검토 단계부터 서울경찰청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신호 운영 최적화, 대각 횡단 길이 최소화를 위한 도로 기하구조 변경 등을 시행해 차량 통행 속도는 8.8%(-1.6km/h) 소폭 감소한 것이 확인됐다. 다만 대각선횡단보도 길이가 길수록 상대적으로 평균 통행 속도가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올해 송파초교 인근, 당산동아아파트 교차로, 광진교남단사거리 등 3개소 설치를 완료했으며, 이달 말까지 제각말아파트 교차로와 상봉역 앞 등 2개소 설치를 마쳐 보행자 중심 교통 환경을 강화할 계획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대각선횡단보도는 단순한 새로운 교통체계 도입이나 시설 개선을 넘어 ‘보행자가 주인’이 되는 교통 문화의 시작을 의미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시민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보행자 중심 교통체계로 전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나재필 한국도로교통공단 서울특별시지역본부장은 “보행자 편의 증진과 안전 확보를 위해 공단도 최선을 다하겠다”며 “보행자 중심 교통 환경 조성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첨부자료:
251118_한국도로교통공단_서울지부_-_대각선횡단보도_설치_효과분석v2(최종).hwp
웹사이트: http://www.koroad.or.kr
연락처
한국도로교통공단 서울특별시지부
안전지원부
김만수 차장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한국도로교통공단 서울특별시지부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