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스테크넷, ‘IDS 공급 꾸준히 진행'
최근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 정보통신부, 국립보건원, 건설관리공사,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은행, 삼성화재 등에서 윈스테크넷의 스나이퍼IDS를 도입했으며, KT, 데이콤, SK텔레콤, 특허청, 농협, 서울대학교 등에서도 스나이퍼IDS를 추가 도입했다.
윈스테크넷 측은 “최근 네트워크 보안시장에서 IPS 수요가 크게 늘고 있어 IDS에 대한 수요가 다소 감소한 것은 사실이나, 전년 실적의 약 60%를 유지하고 있다”며, “국내 네트워크 환경의 특성이 다양하고 IDS와 IPS의 고유기능이 다른 만큼 자사 트래픽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IDS는 네트워크 패킷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해킹 및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탐지하고 그 내역을 기록하면서도 패킷 패시브(Packet Passive)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보안관제서비스, 침해사고대응서비스, 위협관리서비스 등에 필수로 적용되고 있는 것.
특히 스나이퍼IDS의 신규 및 추가도입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윈스테크넷이 제공하는 취약성 분석정보 제공 서비스와 보안 전문 교육 서비스, 체계적인 기술지원 서비스의 고객 만족도가 높기 때문이라는 게 회사측의 분석이다.
이에 따라 윈스테크넷은 IDS를 꼭 필요로 하는 틈새시장을 공략해 사용자 환경(GUI), 기능 추가, 성능 향상 등 꾸준히 업그레이드하고, IDS 고객사 대상의 부가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다.
<용어설명>
패킷 패시브(Packet Passive): 인터넷을 통해 내.외부로 흐르는 정보(Packet)를 차단해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흘려 보내면서 복사(Mirroring)해서 분석하는 방식. 이 방식은 패킷의 원활한 흐름으로 인터넷 및 네트워크 통신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wins21.com
연락처
(주)윈스테크넷 전략사업팀 대리 조현정 2040-0803(直)/016-9288-2810
-
2007년 9월 19일 1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