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농업기술원 강동균박사, 제12회 직무발명 경진대회에서 동상 수상

대구--(뉴스와이어)--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생물자원연구소에 근무하는 지방농업연구사 강동균박사는 특허청에서 주관하고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주최한 제12회 직무발명 경진대회에서 대통령상 엘지전자(주), 국무총리상 (주)동부아남반도체 등에 이어 동상을 수상하였다.

수상식은 2005년 12월 15일 서울코엑스 그랜드컨퍼런스룸에서 수행되었고 강동균박사의 수상작은‘마 모자이크 바이러스 전체 게놈을 함유한 식물발현용 벡터’로서 외래유전자를 식물에 도입시키고 발현시켜 유용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실용성과 상업성이 높은 기술로서 향후 이를 이용한 기능성 작물개발은 재배농가 소득향상은 물론 농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직무발명경진대회의 평가기준은 개발과정, 권리화과정, 기술성, 실용성, 경제성에 주안점을 두고 제출된 자료를 중심으로 발명내용을 심사하였다고 한다.

강동균박사의 발명내용을 살펴보면 2003년부터 경상북도의 경상연구과제로 수행하였으며 마(산약) 바이러스 게놈분석 및 특성조사, 벡터제작 등을 완료하여 2004년 12월 17일 특허청에 특허출원하여 권리화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마 모자이크바이러스를 이용한 식물발현용 벡터개발은 최초이며 본 발명을 원천기술로 하여 기주식물인 둥근마에 외래유전자를 도입시켜 유용단백질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실용성이 높은 기술이다. 이 방법은 첨단생명공학기술을 농업분야에 응용한 사례로 앞으로 나올 형질도입 식물체에 대한 기대가 매우 높다.

마 모자이크 바이러스 벡터가 지닌 장점으로는 항생제, 제초제 유전자를 사용하지 않아 안전성이 높고, 세포질 유전으로 유전자의 꽃가루 전파 가능성이 없으며 유전자 침묵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복제수가 높으면서 식물전체에서 발현되어 단백질 생산량이 많아지므로 이 기술은 단백질 의약품 또는 먹는 백신 개발 등에 매우 적합한 방법으로서 이는 첨단농업기술개발에 앞장선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의 노력의 결실이다.

외국 농산물이 물밀 듯 들어오는 현 농업실정에서 우리나라의 앞선 생명공학기술을 농업에 실현시켜 고부가가치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은 시대적 필요성이며 당위성이 높은 것으로서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앞으로 추구해야 할 농업연구방향을 전국 농업연구기관 보다 선도하여 경쟁력이 있고 자본과 기술 집약적인 농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비젼을 제시하는 기관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한다.

웹사이트: http://www.gba.go.kr

연락처

경상북도청 공보실 도병우 053-950-2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