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수출입 동향 (요약)

서울--(뉴스와이어)--2005년 輸出은 전년대비 12.2% 증가한 2,847억불, 輸入은 16.3% 증가한 2,612억불을 기록하여 貿易收支는 235억불 黑字 시현.

輸出이 ‘04년의 높은 수출실적(2,538억불, 전년대비 31.0% 증가)에도 불구하고 두 자릿수의 높은 수출증가율을 달성하여 3년 연속 두 자릿수 수출성장 기록. 자동차,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선박, 철강, 석유제품, 등 대부분의 품목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달성. 유럽, 중국, ASEAN, 중남미, 대양주로의 수출 비중이 증가하여 수출지역이 다변화

輸入은 원자재(21.9%)가 증가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자본재(11.7%), 소비재(12.7%)도 두 자릿수 증가율 기록. 원유, LNG 등 에너지와 정밀기계, 항공기 등 기계류 수입은 대폭 증가한 반면 농수산물, 섬유, 전자부품 등은 소폭 증가. 貿易收支는 고유가로 에너지 수입이 크게 증가했음에도 235억불 흑자 달성

2005년 수출입 실적 평가

‘04년의 높은 수출증가율에 더하여 또다시 두 자릿수의 수출증가율을 달성하여 무역규모 1천억불을 달성한 1988년 이후 최초로 3년 연속 수출 증가율 두 자릿수 달성. * 경쟁국 수출증가율(05.1-10월 기준) : 中 31.1%, 美 10.3%, 日 5.5%, 홍콩 12.1%

수출은 고유가와 환율하락 등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높은 경제성장기여율을 기록하며 우리 경제 성장의 버팀목 역할 * 수출의 경제성장기여율(%) : (04) 192.3 → (05.1/4) 145.4 → (2/4) 87.3 → (3/4) 132.2

연간 무역규모가 5,459억불로 선진 무역국가로의 도약기반 구축. ‘04년 무역 4,000억불을 달성한지 1년 만에 네델란드(’03년),캐나다·벨기에·홍콩(‘04년)에 이어 세계에서 12번째로 5,000억불대 진입 * 우리보다 먼저 무역규모 5천억불을 달성한 국가는 중국을 제외하고는 모두 1인당 국민소득(GNI) 2만불 이상의 개방형 선진국가

만성적인 적자산업이던 일반기계산업이 222억불을 수출하여 자동차, 반도체, 무선통신기기에 이어 4대 수출 산업으로 성장 하는 증 수출산업구조 고도화가 지속 * 일반기계산업 무역수지(억불) : (03) △14.5 → (04) 6.3 → (05e) 44

유럽, 중국, ASEAN, 중남미, 대양주로의 수출 비중이 높아지는 등 수출지역 다변화도 진전. 對EU 자동차 및 무선통신기기 수출 등이 크게 증가하여 유럽의 수출비중이 증가【(04) 17.6% → (05) 18.6%】

對中 수출은 전반적인 호조를 지속하여 중국의 수출 비중도 증가【(04) 19.6% → (05) 21.9%】. 對美 수출은 미국 공장의 해외이전, 우리 현지공장 가동, 경쟁 심화 등으로 반도체, 자동차, 무선통신기기 수출 등이 감소하여 수출 비중이 감소【(04) 16.9% → (05) 14.5%】

고유가로 인해 원유 등 에너지 수입이 수입증가를 주도하여 우리 수출규모대비 에너지 수입비율이 크게 증가【(04)19.5%→(05.)23.3%】 그러나 수출규모대비 농수산물 및 식품【(04)3.9%→(05)3.7%】, 부품·소재【(04)36.6%→(05)35.6%】수입비율은 하락하여 우리 경제의 부담을 경감

무역수지는 2년 연속 200억불을 상회하여 경상수지 흑자기조를 견인. 에너지 수입액이 ‘04년에 비해 166억불 증가하였으나 수출구조 고도화 등을 통해 무역수지는 ’04년에 비해 50억불 수준 감소한 235억불을 달성 * 에너지수입액(억불) : (03) 383 → (04) 496 → (05) 662

웹사이트: http://www.mke.go.kr

연락처

산업자원부 무역유통국 수출입과 김 필 구 과 장 노 용 석 사무관 최 현 태 주무관 2110-5333
홍보담당관실 이춘호 02-2110-501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