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농전, 우리나라 농업·농촌을 바꾸는 희망
조사 자료에 의하면 95%를 상회하는 대다수 졸업생들이 농촌현장에서 성공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농과대학이 불과 5% 미만, 농업전문대학도 25% 미만이 영농에 종사하는 현실을 비춰보면, 한농전의 영농정착률은 대단히 높은 수준이다.
졸업생의 평균 연간소득은 5,560만원으로 전체졸업생 중 15% 이상이 연간 1억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소득수준은 ‘04년 도시가구 평균소득의 1.5배, 농가평균소득의 2배에 해당된다.
이번 조사 결과는 우리 농업·농촌이 대외적으로는 WTO 체제 출범과 FTA 협정 체결 등으로 농산물 시장 개방의 요구가 확대되고 대내적으로는 농업인구의 감소 및 노령화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현실에서도 농업·농촌이 『잘 살 수 있다』는 가능성과 자신감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청년실업과 조기 퇴직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한농전 졸업생의 성공적인 영농정착 사례가 알려지면서 ‘06학년도 수시모집 경쟁률이 작년 1.8:1에서 3.8:1을 기록하였다.
2006학년도 정시모집은 12월 1일부터 원서를 교부하여 12월 26일부터 29일까지(4일간) 원서접수를 받아 6개학과 144명을 선발했다.
한농전 안덕현 교학과장은 “한국농업전문학교가 우리나라 농업·농촌을 새로운 희망으로 인도할 젊은 엘리트 농업CEO 양성의 메카로서 위상과 역할를 확고히 하여 농업·농촌의 미래를 담당할 젊고 유능한 영농 후계자의 양성과 이들의 성공적인 영농정착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자료>
□ 한농전 졸업생 1,235명중 95.1%가 영농에 성공적으로 정착
1,235명의 졸업생(2005년까지 6회 배출)을 대상으로 영농정착현황을 분석.
조사분석에 따르면 95.1%에 해당하는 1,174명의 졸업생이 성공적으로 영농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소득비중이 높은 작목을 기준으로 작목별 영농정착 조사결과 수도작이 26.3%(309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축산 19.3% (226명), 채소 15.6%(183명), 과수 15.3%(176명), 전·특작 11.0%(129명), 화훼 8.2%(96명), 기타 4.6%(54명) 순이었으며, 영농형태별로는 부모와 같이 영농에 종사하는 형태가 54.8%(643명)로 독립경영 31.7%(372명)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졸업생 평균 농업소득, 도시가구 평균소득의 1.5배,
평균 농가소득의 2배, 농업소득의 4.5배
한농전 졸업생의 평균 농업소득은 55.6백만원으로 2004년도 도시가구 평균 년소득 37백만원과 평균 농가소득 29백만원 및 평균 농업소득 12백만원보다 높았다. 농업소득이 30백만원 이상인 졸업생은 전체의 60%이며 50백만원 이상도 전체의 37%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축산을 하고있는 졸업생의 경우 평균 소득이 90백만원 수준으로 졸업생전체 평균소득의 2배에 가까운 수준으로 나타남
□ 졸업생 평균 호당 경지규모, 농가호당 평균 경지규모의 3배
영농규모 면에서도 영농정착 졸업생 1인 평균 영농규모는 4.6ha로 ’04년도 우리나라 농가평균(1.5ha)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 분석에서도 76.5%(731명)가 1ha이상의 경지를 소유하고 있으며, 5ha이상의 경지면적을 소유한 졸업생도 20%(194명)이상으로 규모화 영농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축산분야 가축사육 평균규모, 농가 가축사육 규모에 비해 월등히 높아
축산분야의 가축사육 현황은 한우·육우분야에 가장 많은(38.8%) 졸업생이 정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양돈, 낙농 순으로 나타났다. 1인평균 사육두수는 한우·육우 60두, 낙농 61두, 양돈 1,600두로 2004년 우리나라 축산농가의 평균사육규모(한우 8.8두, 낙농 50.5두, 양돈 685두)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한농전 출신의 졸업생이 우리나라 축산농업을 이끄는 선도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상의 조사결과를 통해 나타난 한국농업전문학교 졸업생들의 성공적인 영농정착 상황은 최근 WTO, FTA 협상 등 농산물·쌀 개방 요구와 농업인구의 급격한 감소, 노령화로 어려워져가는 농업현실 속에서도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한농전 졸업생들을 우리나라 농업발전의 주도적인 농업경영인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졸업생 관리와 다양한 영농정착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웹사이트: http://www.kn.ac.kr
연락처
농촌진흥청 한국농업전문학교 교학과 안덕현 과장 031) 229-5200
농촌진흥청 홍보담당 김기형 031-299-2433
-
2007년 9월 5일 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