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 SOA용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버스 분야 선두업체 선정

서울--(뉴스와이어)--세계적인 인프라스트럭처 소프트웨어 선도기업인 BEA시스템즈코리아 (대표 김형래, www.bea.co.kr)는 시장조사기관인 포레스터의 보고서를 인용, 자사가 ESB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버스) 부분의 선두업체이자, 자사의 ‘아쿠아로직 서비스버스™ (BEA AquaLogic Service Bus™)’가 업계 선두 제품으로 선정되어 선도적인 SOA벤더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최근 발표된 포레스터의 “포레스터 웨이브™ (Forrester Wave™):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버스, Q4 2005”에 따르면, BEA는 오라클, 썬, 웹메소드 등 28개 조사 대상 업체 중 유일하게 ‘ESB 스위트(ESB suite)’와 ‘종합 ESB 스위트(Comprehensive ESB suite)’ 등 2개 부분 모두에서 리더로 선정되는 성과를 보였다.

또한 포레스터는 100여 가지의 기준을 적용하여 ESB 영역에 대한 BEA의 현재 제품과 전략, 시장 영향력 등을 분석한 결과, BEA의 제품들이 전반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 툴과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포털 및 기타 제품 등 업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SOA 솔루션을 구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BEA의 아쿠아로직 서비스 버스는 BEA웹로직 인티그레이션과 연동되어 웹로직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실행하려는 고객 및 최고의 ESB 기능성을 원하는 고객층에게 최적의 제품이라고 평가했다.

BEA시스템즈코리아의 김형래 사장은 “ESB는 기업 SOA를 구현 하는데 있어 중추신경과도 같은 핵심 소프트웨어이다. 이번 포레스터의 시장 보고서는 BEA의 SOA구현을 위한 선도적 기술력을 뒷받침해준다. BEA는 이러한 앞선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SOA 영역에서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통합, 비즈니스 프로세스 통합 및 사용자 통합을 아우르는 진정한 의미의 엔터프라이즈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의의를 밝혔다.

IT 자산의 유동성을 높여 비즈니스 민첩성을 높이는 자사의 '싱크 리퀴드(Think liquid)' 비전을 통해 SOA의 개념과 다양한 제품군을 가장 먼저 국내에 전파한 BEA는, SOA의 실제 구축을 위한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올해를 SOA확산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이에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서비스 인프라스트럭쳐’ 제품군인 ‘BEA 아쿠아로직’ 제품군의 향상된 기능을 포함하는 상위 버전 출시 및 신제품의 출시를 통해서 선도 고객들의 SOA 구축을 적극적으로 유도, 지원하여 SOA리딩 벤더로서의 입지를 계속하여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말 발표된 ‘웹로직 서버 9.0 (BEA WebLogic Server 9.0)’을 시작으로 웹로직 플랫폼 전 제품의 9.0 버전을 올해 중 출시할 예정이며, 새로운 제품군인 ‘웹로직 서버 리얼타임(WebLogic Server Realtime)’ 제품과 RFID 미들웨어 업체인 커넥테라 인수의 결과물인 ‘웹로직 RFID(WebLogic RFID)’ 제품군의 출시도 연초에 이루어질 계획이다.

ESB(Enterprise Service Bus)는 SOA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로, SW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간의 연동을 위한 백본의 역할을 수행한다. ESB를 통해 분산된 서비스 컴포넌트를 쉽게 통합 연동이 가능하며, 신뢰성 있는 메시지 통신이 가능하다.

포레스터는 ‘ESB 스위트(ESB suite)’를서비스와 관리, 외부 파트너협력이 가능한 콤포넌트들을 추가한 ESB로 정의하고 있으며, ‘전체 ESB 스위트(Comprehensive ESB suite)’는 모든 ESB의 기본적 기능 이외에 휴먼 워크 플로우와 산업별 솔루션과 포털 및 규칙 엔진(rules engines)을 지원하는 ‘통합 서비스 통합 스위트’로 정의하고 있다. 보고서는 SOA시장에서 ESB의 중요성에 관해서도 언급하며, 2005년 말에 대기업의 77%, 51%의 중소기업과 46%의 소기업들이 SOA를 실행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한, SOA를 실행하는 대기업 중 69%가 내부 통합용으로 SOA를 사용할 것이며, 50%는 사업 파트너들과 고객 등 외부 통합에 SOA를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ESB는 SOA기반 통합 시 가장 빈도 높은 솔루션 이였으며, 미국 내 인프라스트럭처 관리자들의 1/3이상이 1년 이내 ESB실행의 범위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bea.co.kr

연락처

BEA 시스템즈: 송정은, 767-6846
홍보대행 코콤포터노벨리: 정은경 과장, 6366-1516 / 016-790-3607 송창민 AE, 6366-1510 / 017-205-543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