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년 국제항공운송 상승세 지속
2004년 대비 주요 지역별 여객수송실적 추이를 보면 일본이 8.628천명을 수송하여 4.7% 증가하였으며, 중국이 6,592천명으로 24.3%, 대만이 1,218천명으로 23.7%, 홍콩이 1,496천명으로 9.6% 싱가포르가 746천명으로 9.9%, 미국이 3,049천명으로 2.8%, 아랍에미레이트가 117천명을 수송하여 225%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2005년도 여객수송실적의 두드러진 특징은 중국, 대만, 홍콩 등 중화권 지역에서 큰폭의 증가세를 기록한 것으로 이는 이들지역에서의 한류열풍의 지속과, 주5일제 근무제의 확대실시, 여름철 성수기 동안 다양한 여행상품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의 경우 지방공항발 중국행 노선의 운송실적이 32.8%의 대폭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24.3%의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하였으며 전체 여객수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4년 19.6%에서 2.5% 상승한 22.1%로 증가하였다.a
동남아 지역도 ‘04년 12월 발생한 지진해일 피해로 ’05년 1/4분기 감소세를 기록하였으나, 2/4분기 이후 뚜렷한 회복세를 보여 9.3% 감소한 태국을 제외하고, 필리핀이 1,264천명으로 24.1%, 베트남이 756천명으로 26.9%, 말레이시아가 365천명으로 16.6%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중동 지역도 지난 ‘05.5.1일 아랍에미레이트항공의 취항에 힘입어 아랍에미레이트, 카타르가 각각 225%, 132% 증가한 117천명과 18천명을 각각 수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뉴질랜드와 호주가 자체수요 감소로 인해 뉴질랜드가 24.9%가 감소한 219천명을, 호주가 5.3%감소한 421천명을 수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도시별로 2004년 대비 여객수송 실적을 보면, 서울/동경 노선이 3,527천명으로 6.5%, 서울/오사카 노선이 1,329천명으로 0.9%, 서울/북경 노선이 1,085천명으로 9.7%, 서울/상해 노선이 36.5%, 서울/싱가포르 노선이 745천명으로 9.9%, 서울/홍콩 노선이 1,449천명으로 9.5% 등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특히 상해의 경우 2004년 39.3%의 증가에 이어 36.5% 큰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동경의 경우에도 김포/하네다 노선이 ‘05.8.1부터 일일 4회에서 8회로 증편되는데 힘입어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했다.
반면, 서울/오클랜드, 서울/시드니 노선은 자체 수요감소로 26.0%, 8.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천공항을 제외한 국내 지방공항의 여객수송 실적은 전년대비 22.8%증가한 4,209천명을 기록하여 지방공항의 국제선 분담률이 전년대비 11.4%가 증가한 14.2%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공항별로는 김포공항이 김포-하네다 증편에 힘입어 941천명을 수송 53.6%, 김해공항이 2,137천명으로 9.9%, 제주공항이 605천명으로 31.7%, 대구공항이 298천명으로 30.1%, 광주공항이 120천명으로 20.2%, 청주공항이 101천명으로 31.0%, 양양이 7천명으로 36.0%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지방공항의 대폭적인 증가는 주5일제 근무제 시행에 따라 중국행 단거리 위주의 여행수요가 급증한 데 기인한 것으로 나타나, 주5일제 근무제 정착 원년인 올해에도 증가세는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항공화물은 전년대비 1.8%의 낮은 증가율을 나타냈으며, 이는 우리나라 IT제품의 교역조건 악화에 따른 시장축소, 특히 미주행 IT제품의 수출부진과, LCD 등 일부제품의 경우 유가상승에 따른 항공수송 원가 부담으로 해운수송으로 전환한 데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주요 지역별 화물수송실적을 보면 중국이 여객에 이어 화물에서도 354천톤을 수송하여 26.6% 증가하였으며, 독일이 128천톤으로 23%, 일본이 448천톤으로 2.1% 증가한 반면,
홍콩, 미국, 싱가포르, 호주, 벨기에는 각각 △1.7%, △6.5%, △13.7%, △31.8%의 감소세를 보였으며, 호주는 여객수송과 함께 화물수송에서도 20.6% 큰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전체적으로 항공화물의 경우 미주행 수송이 줄어 든 반면, 구주지역은 전년 대비 38천여톤이 증가하여 비중이 확대되고, 중국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한 것이 주요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 국적항공사의 2005년 수송실적을 보면, 여객에서 대한항공이 9.1%증가한 11,562천명, 아시아나가 5.8%증가한 6,593천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물에서는 대한항공이 2.4% 증가한 1,240천톤을 아시아나가 0.2% 증가한 521천톤을 기록했다.
2006년에도 주5일제 근무 정착, 중화권지역 한류열풍의 지속, 원화가치 상승에 따른 해외여행 비용의 하락 등으로 여객운송의 증가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지방발 단거리 노선위주의 수요증가추세는 주5일제 근무제 정착 원년인 금년도에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화물운송의 경우 세계경제의 견실한 성장세, 국제유가의 상승세 둔화, 중국의 경제성장의 지속과 IT, LCD 자동차 부품 수출의 증가예상 등으로 견실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웹사이트: http://www.molit.go.kr
연락처
국제항공팀 주무관 박재현 02-2110-8270~2
정책홍보담당관실 백기철 사무관 02-504-9031, 홍보담당관실 02-2110-8050,8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