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38%, 올해 비정규직 늘릴 계획
인터넷 취업포털 잡링크(www.joblink.co.kr)가 기업회원 587개사를 대상으로 1월 9일부터 24일까지 조사해 25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올해 예상 비정규직 채용규모"에 대해 38.3%(225개사)가 '채용을 확대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지난해 수준으로 채용하겠다'는 응답은 25.2%(148개사)이었으며, '채용을 축소하겠다'는 15.2%(89개사), '채용계획이 미정이거나 없다'는 응답은 21.3%(125개사) 이었다. 비정규직 채용계획을 갖고 있는 기업 가운데 "향후 비정규직에 대한 정규직 전환 계획"이 있는 기업은 33.5%(147개사)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유통/서비스/판매'업종이 20.5%(90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건설/제조'업종은 17.8%(78개사)로 뒤를 이었다. '기계/철강/자동차'업종은 12.5%(55개사), '전기/전자/반도체'업종은 10.9%(48개사), '금융'업종 10.3%(45개사), '식/음료'업종은 9.1%(40개사), 'IT(정보통신)'업종 8.7%(38개사), '제약'업종 7.7%(34개사), '기타'업종 2.5%(11개사) 이었다.
"채용직종"(복수응답)은 '서비스직'과 '영업직'이 각각 24.8%(109개사)와 21.6%(95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특수직' 17.1%(75개사), '디자인직' 15.9%(70개사), '정보통신직' 15.3%(67개사), '사무관리직' 14.4%(63개사) 순이었다.
"비정규직 사원을 채용하는 이유"로는 34.4%(151개사)가 '인건비 절감'를 꼽았으며, '인력운영의 신축성 확보'는 26.9%(118개사), '업무량 변화에 유동적 대처'는 22.5%(99개사) 순이었다. '전문인력 확보'는 10.3%(45개사)이었으며, '기타'의견은 5.9%(26개사) 이었다.
"비정규직 사원 관리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은 '잦은 이직'이 33.5%(147개사)로 가장 많았다. '비정규직 사원의 고용불안심리로 인한 업무효율성 저하'는 24.8%(109개사), '정규직 사원과의 마찰'은 20.3%(89개사), '소속기업에 대한 낮은 충성도' 14.6%(64개사), '기타'의견은 6.8%(30개사)를 차지했다.
한편 구직자들의 경우 상당수가 비정규직 취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비정규직 취업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구직자 912명을 대상으로 "정규직 취업이 어려울 경우 비정규직으로 취업하겠는가"를 묻는 의견에 88.7%(809명)가 '그렇다'고 응답해 구직자 10명 중 9명이 비정규직 취업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비정규직 경력이 향후 이직활동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는가"를 묻는 질문에도 75.1%(685명)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경력구직자 6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41.4%(256명)가 "비정규직으로 취업한 경험"이 있었으나, "향후 비정규직으로 다시 취업할 생각이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24.6%(63명) 만이 '그렇다'고 응답해 비정규직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비정규직으로 취업하지 않으려는 이유"로는 34.2%(66명)가 '상대적으로 낮은 연봉'이라고 응답했다. 29.5%(57명)는 '정규직 직원과의 차별대우'라고 답했으며, '업무영역의 한계'는 19.7%(38명), '이직시 경력을 100% 인정받지 못해서'라는 응답은 9.8%(19명), '기타'의견은 6.8%(13명) 이었다.
"비정규직 사원 채용에 있어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34.8%(89명)가 '낮은 연봉과 열악한 복리후생 문제'를 꼽았다. '법·제도적 보완 장치 마련'은 28.9%(74명), '고용상태의 안정성 확보'는 24.6%(63명), '사원교육 및 경력개발 기회 제공' 8.6%(22명), '기타'의견은 3.1%(8명) 이었다.
잡링크 한현숙 사장은 "인건비 절약과 신축적 인력운영을 위해 비정규직 채용이 선호되고 있는 추세지만 낮은 연봉과 차별대우로 비정규직으로서 겪는 어려움이 많아 만족도가 매우 낮다"며 "비정규직을 위한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잡링크 개요
잡링크는 60년 전통을 자랑하는 노루표 페인트 (주)디피아이의 14개 계열사 가운데 하나로 1998년 국내 최초로 온라인 리크루팅 사이트를 시작해 올해로 7주년을 맞았습니다. 탄탄한 자본력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활발하게 온라인 리크루팅 사업을 주도해 온 잡링크는 e-Marketplace를 개척하고 채용시장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면서, 현재 △공공 취업 사업 △채용대행 △헤드헌팅 △인재파견 및 아웃소싱 △교육컨설팅을 제공하는 종합 HR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joblink.co.kr
연락처
홍보실 이인희 02-784-5157,011-9703-3886
-
2006년 5월 14일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