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미숙아 선천성대사이상아 등 의료지원 확대

성남--(뉴스와이어)--올해부터는 모든 신생아의 선천성대사이상 검사 종목이 2종에서 6종으로 확대되고 미숙아 의료비 지원대상 인원도 10%에서 30%로 늘어났다.

성남시 중원구보건소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모자보건사업 확대 방안을 적극 홍보, 대상자들의 지원 누락이 없길 당부하고 있다.

중원구보건소의 안내에 따르면 지금까지는 전 신생아에 대해 선천성대사이상 질환 중 한국인에게 발생 빈도가 높은 2종(페닐케톤뇨증, 갑상선기능저하증)의 검사를 실시해 왔으나, 올해부터는 6종(페닐케톤뇨증, 갑상선기능저하증, 갈락토스혈증, 호모시스틴뇨증, 단풍당뇨증,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의 검사 비용이 지원된다.

또 검사결과 선천성대사이상 질환으로 진단된 경우 도시근로자 가구 소득의 200%미만 가정까지 특수조제분유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저소득층 가정의 치료비 부담 경감을 위한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의 의료비 지원대상’이 연간 출생하는 미숙아와 선천성이상아 중 10%(약2천900명) 지원에서 30%(약 8천명)으로 확대·지원돼 1인당 최고 3백만 원에서 최고 7백만 원까지 차등 지원된다.

이와 관련해 중원구보건소 관계자는 “선천성대사이상 질환은 신생아 시기에는 증상이 없어서 모르고 지내다가 성장·발달이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때는 치료를 한다고 해도 완전 정상아로 회복하기 어려워 평생 정신지체 및 발육장애 등을 초래하는 질환”이라며 “출생 후 1주일 이내에 발견해 치료를 받게 되면 정상아로 자랄 수 있는 특성을 숙지하고 기한 내 관할 보건소나 출산 의료기관에서 선별검사를 반드시 받을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보건복지부 집계에 따르면 출생아 중 선천성 이상아 발생율은 1.8%(8,640명), 미숙아 발생율은 4.2%(20,160명)이며 이들을 위해 지난 해 59억원과 75억원의 예산이 각 각 투입한 바 있다. 올해에는 선천성대사이상검사에 97억원,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의 의료비지원에 158억원의 정부예산이 확대·편성돼 건강한 차세대 국민의 확보를 위한 인구자질향상 대책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cans21.net

연락처

성남시청 중원구보건소 지역보건팀 031-729-5272
성남시청 공보실 이충열 주사 031-729-272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