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 혁신 수준 크게 향상
이번 혁신지수 진단은 교육청의 혁신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청의 혁신수준에 따른 차별적인 혁신관리전략을 추진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동 진단은 전문연구기관인 천안대학교 전략경영연구소(연구책임자,홍길표 교수)에 의뢰하여 과학성 및 전문성을 제고하였으며, 혁신비전 및 전략, 혁신리더십, 구성원의 혁신역량 등 5개 영역200여개 항목을 대상으로 ’05년 11~12월에 실시하였다.
※ 혁신지수 진단 영역 및 항목
영 역 -항 목
혁신비전 및 전략- 혁신비전, 년간 혁신계획, 혁신실행계획, 변화관리 등
혁신리더십- 기관장 혁신활동, 지속적 혁신추진 노력, 솔선수범행동 등
혁신역량- 혁신 몰입행동, 학습활동 참여, 혁신활동 참여 등
혁신관리·제도화- 인적 조직화, 정보 조직화, 혁신유인 및 보상 등
혁신채택·실행도- 혁신계획 실행도, 공통과제 실행도, 자율과제 실행도 등
2005년도 하반기, 교육청 혁신지수 진단 결과 진단결과, 혁신수준 3단계 이상인 교육청 비율이 상반기(’05.7 : 8.1%)에 비해, 하반기(’05.12 : 61.7%)에 크게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 이상인 교육청이 시·도교육청의 경우, 11개에서 14개로 증가하였고 지역교육청의 경우, 5개에서 108개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혁신평가에 따른 차등적 재정지원(’05년 :758억원)으로 교육청간 경쟁을 유도하여 짧은 기간에 교육청의혁신수준이 상승된 것으로 분석된다.
◆ 혁신단계별 혁신활동의 특성
- 5단계 : 혁신의 체질화와 시스템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상태
- 4단계 : 혁신활동의 제도화가 추진되고 있지만 성과창출은 미진한 상태
- 3단계 : 리더나 추진조직 중심으로 다양한 혁신활동이 산발적으로 전개되는 상태
- 2단계 : 혁신의 필요성을 인식하나 극히 부분적인 혁신활동을 추구하는 상태
- 1단계 : 혁신에 대한 필요성조차 확산되지 않은 상태
그러나 시·도교육청은 대부분이(13개, 81.3%) 혁신수준 4단계 이상이나 지역교육청은 대부분이(157개, 86.3%) 3단계 이하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06년 지방교육혁신 추진 시,시·도교육청이 선도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할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혁신진단 요소별 결과는 상반기에 비해 혁신비전과 전략,구성원의 혁신역량, 관리제도화 등은 크게 개선되었으나 혁신리더십, 혁신채택-실행도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기관장에 대한 혁신리더십프로그램을 강화하고 혁신과제별 매뉴얼 제작과 보급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앞으로 교육청의 혁신수준을 더욱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교육청 혁신지수 모형(GII-EDU)"을 개선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우수교육청은 혁신 전파·확산의 촉매자로 육성하고, 열위교육청에 대해서는 맞춤형 컨설팅 및 혁신기법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moe.go.kr
연락처
기획홍보관리관 권혁운 장학관 2100-6035~39
정책홍보담당관실 02-2274-4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