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 대구자원 풍성

부산--(뉴스와이어)--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에서는 2005년 11월 24일부터 12월 23일 까지 시험조사선 2척을 이용하여, 서해 배타적경제수역에 대한 트롤어획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구의 자원밀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개체 크기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기간 중 서해 EEZ내 대구자원의 분포밀도는 104.7㎏/㎢로 2002~2004년 같은 기간의 그것보다 2.3~4.3배 증가되었고, 2005년 연중조사결과 연평균자원밀도도 33.4㎏/㎢로 지난 3년간의 자원밀도보다 1.8~2.3배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해산 대구 어획량은 1996년 8톤에서 2005년에 2,088톤(11월말 기준)으로 지속적 증가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평균체장도 2005년에 채집된 것은 29.9cm로 2003, 2004년의 18.7cm, 24.3cm보다 상당히 커졌다.

일반적으로 서해산 대구는 동해산 대구에 비해 작아서 왜대구라 불리며, 최대체장은 41.5cm로 알려졌으나, 본 조사에서는 그보다 큰 개체의 혼획비율이 16%로 2003년, 2004년의 2.0% 및 3.5%보다 크게 증가되었고, 90cm(중량 6.8kg)에 이르는 대형개체도 어획되어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것보다 상당히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최근 서해 대구의 자원밀도 및 어획량이 증가하는 것은, 황해냉수대 확장에 따른 분포해역의 확대로, 냉수대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본종의 서식환경이 호전된 점과 2003년 발생하여 탁월하게 가입된 무리의 개체성장이 주요 요인으로 추정되며, 대형개체 비율의 증가 또한 이러한 현상의 결과로 보인다고 하였다.

서해 해역에서의 대구 어획호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새롭게가입 될 무리를 재생산할 수 있는 친어 및 미성어 자원에 대한 과다한 어획이 자제되어야 지속적으로 호황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한편 서해수산연구에서는 현재 서해산 대구의 산란·성숙, 연령과 성장 및 동해산 계군과의 차이점 등을 조사·분석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개요
국립수산과학원은 우리나라 해양수산분야를 연구하는 유일한 국립연구기관으로 해외 및 연근해 어장 개척, 해양환경조사, 어구어법 개발, 자원조성 및 관리, 양식기술개발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nifs.go.kr/main.do

연락처

서해수산연구소 자원관리조성팀장 최낙중 연구관 연인자 연구사 황학진 032-745-0544, 055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