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뒷골목 엿보기’ 출간
최근 들어 한국과 일본의 대중적인 교류가 많아지고 있다. 배용준, 이병헌, 보아 같은 한류 연예인 열풍으로 인해 일본 사람들에게 한국은 가보고 싶은 나라 1위로 꼽히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각 여행사마다 내놓는 저가형 일본 관광 상품으로 예전보다 부담 없이 일본을 드나들고 있다.
그러나 저가형 관광 상품으로 일본을 찾는 사람들은 촉박한 일정과 가벼운 경비 때문에 일본 곳곳을 누비지 못한다. 그저 유명 명소 위주로 찾아다니며 눈도장만 찍고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여행을 통해서는 일본의 진짜 모습을 본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본의 진정한 모습을 보고, 시간과 비용이 아깝지 않는 알찬 여행이 되기 위해서는 한 군데를 가더라도 그곳에 얽힌 역사와 유래에 대해 제대로 알려고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일본 뒷골목 엿보기』에서는 사람들이 자주 가는 유명 명소뿐만 아니라 초보여행자라면 쉽게 찾아가지 못하는 일본 뒷골목 구석구석에 숨어 있는 명소들을 소개하고 있다. 스스로 ‘일본통’이라 자칭하는 저자 홍하상은 이 책을 통해 여행사나 인터넷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천편일률적인 여행 정보가 아니라 일본 뒷골목에서 펼쳐지는 사람 사는 이야기를 다큐멘터리 작가 특유의 시선을 통해 들려주고 있다.
가장 동양적이면서도 가장 서양적인 모습을 가진 나라
일본의 천 가지 모습을 찾아 떠나는 친절한 일본 여행 가이드!
큰 맘 먹고 일본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완전초보 여행자, 많은 사람들이 방문한 곳이지만 좀더 색다른 경험을 해보고 싶은 감각파 여행자, 지금까지 알고 있는 일본이 아니라 색다른 일본의 모습을 보고 싶어하는 학자형 여행자……. 일본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들의 유형은 이처럼 다양하지만 정작 일본 여행에 대한 정보는 그렇지 않다. 저자는 일본을 백 번 이상 가본 ‘일본통’. 그가 각 지방을 돌아다니며 캐낸 뒷골목의 숨겨진 이야기, 역사, 문화 등을 구수한 입담으로 소개하고 있다.
시텐노지를 보수관리하며 1400년을 백제인으로 살아온 곤고구미 건설회사, 김치와 갈비를 일본 최고의 음식으로 만든 재일동포들이 모여 사는 쓰루하시 시장, 우리나라에서 건너온 고대인들을 신으로 모시고 있는 일본의 신사와 절 이야기를 통해 우리나라가 일본에 끼친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또 5대에 걸쳐 하루도 쉬지 않고 오뎅을 팔고 있는 다코우메 오뎅집, ‘후지산 위에 구름이 있다’는 말로 겸손함을 표시하는 주방장이 운영하는 후쿠와, 단돈 천 엔으로 정갈하고 고급스러운 점심을 제공하는 치카에, 많은 사람들이 술을 마시고 있지만 고성방가는 울려퍼지지 않는 일본 술집의 모습을 통해 일본인들의 민족성을 살펴볼 수 있다. 그 밖에 나가사키와 삿포로를 여행하면서 동서양의 문화가 어우러진 색다른 분위기도 느낄 수 있다.
『일본 뒷골목 엿보기』에는 오랜 기간 동안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가게들의 사연과 신사에 모셔져 있는 신들의 정체, 마을 이름의 유래 등도 재미있게 풀어놓아 일본 여행을 계획한 사람들은 이 책에 나온 경로대로 따라가보고 싶은 유혹을 느끼기도 할 것이다.
유명 명소만 찾아 발품 팔고 눈도장만 찍고 돌아오는 여행이 아니라 일본의 진정한 모습을 보고 느끼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매우 친철한 여행 가이드가 되어줄 것이다.
저자 소개
홍하상
서울에서 태어나 중앙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지난 25년 동안 다큐멘터리와 논픽션 분야에 종사하면서 일본과 관련된 저술 및 취재 활동을 활발하게 했다.
지금까지 일본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100회 넘게 일본을 오가며 그곳을 취재한 경험을 되살려 『열두 겹 기모노의 속사정』,『진짜 일본, 가짜 일본』,『오사카 상인들』과『프랑스 뒷골목 엿보기』등 18권을 펴냈으며,「가업 1400년 금강조」,「일본불교 1400년」,「황영조와 모리시다」,「안토니오 꼬레아」,「일제 36년 또 하나의 역사」,「김홍도와 샤라쿠」,「연오랑과 세오녀」등 290여 편의 다큐멘터리 대본을 집필했다.
그의 책은 일본, 중국, 대만, 홍콩, 태국, 러시아 등 아시아 8개국에서 번역 출간되면서 아시아인의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삼성경제연구소의 SERI CEO포럼에 「일본상인열전」을 동영상 강의하고 있으며 대기업 강의, 해외취재, 저술활동 등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차례
■ 개정판을 내면서
■ 프롤로그_ 일본 여행을 하기 전 꼭 알아두어야 할 것
첫 번째 골목_ 행복의 언덕 규슈
두 번째 골목_ 천하의 부엌 오사카
세 번째 골목_ 마음의 고향 나라
네 번째 골목_ 일본인의 자존심 교토
다섯 번째 골목_ 현대와 전통의 하모니 도쿄
여섯 번째 골목_ 미지의 땅 홋카이도
■ 에필로그_일본이여, 안녕
본문 중에서
일본은 잡식성 문화대국입니다. 일본 사람들은 여러 선진국들의 장점만 철저하게 받아들여 자신들만의 문화를 형성해왔습니다. 일본 최고의 번화가인 긴자의 경우만 보아도 그렇습니다. 구찌, 까르띠에, 루이뷔통과 같은 프랑스 일류 명품가게가 있는가 하면, 영국제 버버리 가게와 미국의 유명한 보석상 티파니도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우리나라와 비슷합니다.
그러나 그 가게들 사이에는 수백 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일본의 오래된 전통 가게 수백 개가 당당하게 외국 명품 가게와 어깨를 겨루고 있습니다. 또 초일류 번화가의 뒷골목과 건물 옥상에는 수백 년이 넘은 신사가 20여 개나 자리잡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일본은 양파처럼 껍질을 벗겨도 벗겨도 그 본질을 알 수 없는 수수께끼 같은 나라입니다.
- 개정판을 내면서(p10)
덴만구는 무지개 돌다리 아래로 개울이 흐르고, 1천 년 이상 되어 보이는 고목 사이로 금박을 씌운 모자처럼 생긴 가라하우의 아치가 드리워져 있으며, 6천여 그루의 매화나무가 있는 오래 된 신사이다. 이곳에서 모시고 있는 신은 ‘스가와라 미치자네’이다. 스가와라 가문은 407년, 백제에서 건너간 왕인의 자손이다. 국사책에도 나온 왕인은 한문과 천자문을 일본에 전해준 백제의 학자이다. 일본 천황의 초청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그는 그곳에서 뿌리를 내리고 살았다고 한다.
이후 스가와라 미치자네는 학문의 신으로 추앙받아 지금까지 일본인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 그의 높은 학문 때문인지 이곳은 일본 수험의 도장이라고 불린다. 입시철만 되면 대학에 입학하고자 하는 수험생들과 학부모들이 이곳에 와서 합격을 기원한다. 원하는 대학을 들어가기 위해 손이 발이 되도록 비는 그곳의 귀신이 백제인 왕인 박사의 후손이라는 것을 그들은 모를 것이다.
- <첫 번째 골목 행복의 언덕 규슈> 중 도쿄대학 합격 티켓이 된 왕인 박사(p45~47)
몇 년 전 도톤보리의 니혼바시 근처에 유명한 오뎅집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오늘은 거기를 가보기로 했다. 큰길가에 있는 오뎅집 간판에는 ‘다코우메’라고 씌어 있는데 오사카에서 제일 유명한 오뎅집치고는 규모가 그리 크지 않았다.
주방에서는 쉰 살 정도로 보이는 중년 여성이 오뎅을 만들어주고 있었다. 오뎅을 먹으면서 주인아주머니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녀는 이 가게의 5대째 며느리이며 개업한 지 130년이 지났다고 한다. 여주인은 오뎅에 국물을 끼얹으며 말했다.
“저희 집 오뎅은 130년 동안 하루도 쉬지 않고 끓고 있답니다.”
130년간 계속 끓고 있는 오뎅. 이것이야말로 오사카 상인 정신의 산 증거였다.
오사카의 전통 오뎅집에서 먹은 음식 값이 우리 돈으로 24만 원이나 나왔다. 오뎅 몇 점과 청주 몇 잔씩을 마셨을 뿐인데. 값이 하도 비싸서 물어보니 그것은 바로 ‘전통의 값’이라고 했다.
전통의 값, 그 전통의 값이 그렇게 비쌌다.
- <두 번째 골목 천하의 부엌 오사카> 중 130년 된 오뎅집 다코우메(p107~111)
아스카. 뒤로는 병풍 같은 산이 둘러져 있고, 그 안에 인구 7천 명 정도의 작은 마을이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로 아스카천이 흐르고, 그 개천 언저리에 크고 작은 집과 절 그리고 고분이며 신사, 궁터가 있다. 마을 언덕에서 내려다본 아스카는 전형적인 농촌이다. 이 고요한 농촌은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이다.
일본에서 아스카를 표기하는 말은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내일의 향기’라는 뜻을 지닌 明日香(명일향), ‘날아온 새’라는 의미를 가진 飛鳥(비조), 마지막으로 ‘안심하고 잘 수 있다’는 安宿(안숙)이 그것이다. 왜 아스카를 여러 가지로 표기하는지 일본 사람들도 잘 알지 못한다. 그저 마을이 생길 때부터 표기되어진 것이어서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면 아스카라는 마을은 언제 형성되었으며, 누가 이 마을을 만들었을까?
- <세 번째 골목 마음의 고향 나라> 중 미스터리한 역사를 지닌 아스카(p133~134)
지금은 국보 1호, 2호라는 구분이 없어졌지만 얼마 전까지 일본 국보 1호는 교토의 고류지에 있는 ‘미륵반가사유상’이었다. 이 불상은 나무로 만들어졌는데 그 맵시가 어찌나 고운지 누구나 첫눈에 반할 정도이다. 그러던 어느 날, 미술을 전공하는 일본 여대생이 그 아름다움에 반해 불상을 와락 껴안아 버렸고, 그 때문에 불상의 손가락 하나가 부러지고 말았다. 이 사건은 신문에 대대적으로 보도되었고, 불상 보수 작업에 들어가게 되었다. 미륵반가사유상과 똑같은 나무의 재질을 찾기 위해서였다. 헌데 여기서 뜻밖의 사실이 밝혀졌다. 문제의 미륵반가사유상의 재질이 고대 일본에서는 자라지 않던 적송이었던 것이다. 당시 적송은 한반도에서만 자생하던 나무였다. 언젠가부터 막연하게 추정되어 왔던 것이 사실로 나타난 것이다. 어쨌거나 일본 학계에서는 국보 1호가 한반도와 관련이 있다는 물증이 나왔으니 유쾌한 일은 아니었다.
이 와중에 일본은 국호 1, 2호라는 구분을 없애버렸고, 관광안내서 고류지 항목에는 아예 미륵반가사유상이 있다는 사실조차 삭제해 버렸다. 결국 이 손가락 사건으로 미륵반가사유상은 일본 국보 1호에서 무명의 문화재로 전락하고 말았다.
- <네 번째 골목 일본인의 자존심 교토> 중 미륵반가사유상의 비밀(p183~185)
긴자는 서울의 명동과 비슷하다. 일본 패션의 유행을 주도하고, 세계 수입명품이 모조리 들어와 있다. 처음에 긴자를 갔을 때는 마치 미국의 뉴욕이나 프랑스의 파리를 흉내낸 것 같아 유치하게 느껴졌었다. 그러나 그 모습이 긴자의 전부가 아니다. 긴자가 도쿄의 명물이 된 이유는 100년 이상 된 점포들이 지금까지 일본의 상혼을 이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곳곳에 있는 작은 가게들이 최하 100년에서 최고 350년에 이르기까지 대대손손 이어오고 있는 것이다.
- <다섯 번째 골목 전통과 현대의 하모니 도쿄> 중 서문(p192~193)
오도리 공원을 나와 도케다이로 향한다. 삿포로 시의 명물인 도케다이는 먼 거리에서도 보이는 대형시계이다. 1891년, 미국 보스턴에서 가져와서 달았다는 이 대형시계는 1877년 삿포로 농학교의 연무장에 세워진 서양식 건물의 탑 위에 있었다.
메이지유신 정부는 홋카이도 개척의 중심지로 삿포로를 택했다. 삿포로를 개척과 방위의 중심으로 정한 것이다. 그리고 그 모델로 미국의 보스턴을 택했다. 그곳 역시 북위 43도에 위치해 있어 삿포로의 위도와 같았기 때문이었다. 정부는 우선 일본에 식량이 부족한 것을 감안하여 이 광활한 땅에 미국식 농업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당시 미국의 농무장관이었던 호레이스 케플론과 매사추세츠농과대학 학장인 윌리엄 클라크와 건축가, 도시계획전문가 등 약 서른여 명의 미국인 기술자를 초청했다. 그 결과 삿포로는 홋카이도 농업의 중심지가 되었고, 도시계획 또한 미국식으로 이루어져 동서 6킬로미터, 남북 7킬로미터에 120미터마다 교차로가 있는 미국식 근대도시로 탈바꿈하게 된 것이다.
- <여섯 번째 골목 미지의 땅 홋카이도> 중 보스턴과 삿포로는 쌍둥이 도시(p243~246)
제목 : 일본 뒷골목 엿보기
지은이 : 홍하상
출간일 : 2006년 1월 25일
가격 : 10,000원
서지 정보 : 신국변형|256쪽|4도|무선
ISBN 89-5913-129-6 03810
위즈덤하우스 개요
(주)위즈덤하우스 출판사는 자기계발.경제경영 전문 브랜드 '위즈덤하우스', 문학.예술.인문의 '예담', 청소년학습. 자녀교육의 '예담friend', 아동 '스콜라', 역사 '조화로운삶', 불교.영성 '조화로운삶', 실용.취미 '위즈덤스타일' 등의 브랜드로 양질의 책을 출판합니다.
웹사이트: http://www.wisdomhouse.co.kr
연락처
위즈덤하우스 홍보팀 허형식 대리 02-704-3861(내선122) 019-436-6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