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남성 잡지 ‘맨즈헬스 VS 아레나’ 한국판 2월 17일 동시 창간

서울--(뉴스와이어)--세계적 남성 잡지 2개가 오는 17일 한국에서 동시 창간을 앞두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여성을 위한 잡지가 대다수인 잡지시장에서 남성을 타깃으로 한 잡지의 경쟁이라는 점에서 더욱 흥미를 끈다.

이들 잡지는 선정적인 내용의 핀업 잡지 대신 남성의 스타일과 트렌드를 주로 다룬 잡지로 최근 ‘메트로 섹슈얼’의 부상으로 형성된 남성 그루밍 시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그루밍, grooming: 말을 깨끗한 상태로 관리해주는 ‘그룸’(groom·마부)에서 유래한 단어로 여성의 ‘뷰티’에 해당하는 남성의 미용 용어.)

즉 주5일 근무제 정착으로 인해 남성들이 자신에게 투자하는 시간이 많아 짐에 따라 남성들도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외모를 꾸미는 것에 관심이 높아졌으며 웰빙, 메트로섹슈얼 트렌드와 맞물려 실질적인 소비가 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남성들을 타깃으로 하는 패션 브랜드 시장의 성장을 불러왔으며, 각종 남성 전용 뷰티 제품이 쏟아져 나오는 시장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쇼핑에 있어서 보조적인 역할만 하던 남성들이 스스로 쇼핑을 즐기면서 주체로 나서기 시작한 생활 패턴의 변화도 빼 놓을 수 없는 요인이 되고 있다. 작년 태평양이 선보인 남성 미용법 서적 ‘맨즈 그루밍’이 온라인 서점에서 동이 난 것도 이러한 경향을 대변한다.

올해로 30주년을 맞은 디자인하우스(www.design.co.kr/대표 이영혜)는 세계 34개 국에서 발행되고 있는 세계최대 남성잡지 ‘맨즈헬스(Men’s Health)’를 창간할 예정이다. ‘맨즈헬스’는 건강, 영양, 피트니스, 패션과 그루밍, 재테크와 커리어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의 유용한 정보를 기사로 제공하는 라이프스타일 남자誌로 올해의 잡지, 출판 잡지상 등 전세계에서 52회의 잡지 관련상을 수상한 바 있다. 특히 국내 남성잡지가 실생활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거리감이 있는 내용이었다면 다양한 리서치와 전문 자문가를 통해 보다 실용적인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이러한 컨텐츠를 강점으로 다른 남성지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시장에서 역동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발간사인 디자인하우스는 70년대 ‘월간 디자인(디자인전문지)’으로 시작해 현재 7개의 월간지 매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80년대 최초의 서술형 제호 사용으로 성공한 ‘행복이 가득한 집(인테리어·생활 문화지)’은 잡지 업계의 벤치마킹 사례로 활용되는 등 남성잡지인 ‘맨즈헬스(Men’s Health)’도 한국에서 성공시킬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판매가격은 5000원.

‘우먼센스’와 ‘에꼴’, ‘시사저널’ 등 여성지와 주간지를 발간하고 있는 서울문화사도 남성패션잡지 ‘아레나(Arena)’를 창간한다. 영국 미디어 그룹인 이맵에서 발행하는 ‘아레나’는 패션전문지로 남성의류와 소품, 화장품, 라이프스타일 정보 등을 제공한다. 판매가격은 6000원.

현재 남성의 외모, 패션, 건강, 라이프스타일 등을 다룬 잡지로는 지난 1995년 국내 남성 잡지 1호인 ‘에스콰이어’와 ‘지큐(GQ)’가 있으며, 이밖에 패션잡지 ‘브이(V)’와 남성 취향의 잡지 ‘맥심(Maxim)’ 등이 있다.

‘맨즈헬스(Men’s Health)’ 임중휘 본부장은 “남성들은 패션뿐 아니라 건강, 커리어 등 다양한 분야로 관심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나 이러한 욕구를 제대로 반영한 잡지는 없었다”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것에 비해 남성잡지의 수는 적기 때문에 충분한 성공 가능성이 있으며 세분화된 남성잡지의 창간은 그간 관심을 받지 못했던 남성 시장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두 출판사 이외에도 잡지전문 출판사 서너 곳이 남성잡지의 사업성 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어 남성잡지 창간 붐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디자인하우스 개요
1976년 잡지사로 출발한 디자인하우스(대표 이영혜)는 고품질 콘텐츠는 물론 미디어 영역에서도 차별화된 크리에이티브를 바탕으로 인쇄 미디어부터 교육, 여행, 전시, 디지털, 공간 등 여러 영역의 사업을 전개하는 미디어 회사다.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서울리빙디자인페어와 브랜드와 디자이너를 위한 전시회 서울디자인페스티벌를 개최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design.co.kr

연락처

프레인 성상현 02-722-2693 (496) 016-561-3526 016-561-352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