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숲 곤충식물원, 서울의 곤충메카로
서울숲 곤충식물원은 1,331㎡ 규모에 지하 1층, 지상 2층의 전시관으로 테마식물원, 표본전시실, 열대식물원, 영상강의실 등의 시설과 장수풍뎅이 등 살아있는 곤충 21종 320개체, 사슴벌레 등 곤충표본 120종 980개체, 자생화, 선인장, 키작은나무 등 231종 14,705본이 갖추어진 서울시내에 처음 시도된 곤충전문 전시관으로, 작년 6월 개장후 1일 평균 13,000명(평일 3,000명, 휴일 23,000명)이 방문하는 서울숲의 숨은 명소이다.
-연간 43개 프로그램, 235회 상설 기획·운영-
서울숲관리사무소에서는 2006년 한해동안 가족, 청소년, 유아, 성인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할 수 있도록 ‘거미기획전’, ‘희귀곤충전’ 등 곤충분야 25개 프로그램 153회와 ‘분재전시회’, 최근 유명세를 타고 있는 브릭스(BRICS)와 함께 ‘생명과학전’ 등 식물분야 18개 프로그램 82회, 총 43개 프로그램 235회(일) 운영할 계획이다.
프로그램은 곤충분야는 서울숲관리사무소에서, 식물분야는 공동운영 시민단체인 서울숲사랑모임이 주관하여 운영하며, 환경부, 한국과학재단, 농업과학기술원, 관련대학교 후원 및 참가기관과 유기적 협조체제를 구축해 운영할 계획이다. 각기 프로그램별 참여예약은 운영개시 1주일전부터 서울숲 홈페이지(parks. seoul.go.kr/seoulforest)에서 할 수 있다.
-식물과 곤충도 추가도입-
현재 식재되어 있는 식물들에 추가하여 곤충의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식초식물(산초나무, 탱자나무 등)들을 200그루 추가로 심고, 전시관을 화려한 꽃과 색을 가진 코레우스, 시클라멘, 시네라리아, 로베리아, 심비디움 등 원예식물 3,500본을 3~4회 가량 교체 식재해 볼거리를 더할 계획이다. 타란튤라거미 등 25종 180개체를 보유하고 있는 곤충관에 추가로 비교적 수명이 짧은 국내산 풍뎅이류 등은 사육 후 전시용으로, 코카서스풍뎅이 등 8종 120개체는 수시 교체 전시용으로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자제 사육실 설치 및 곤충뮤지엄샵 운영-
곤충식물원 지하 1층에는 56㎡ 규모로 자체 사육실 설치하여 장수풍뎅이, 톱사슴벌레, 왕사슴벌레, 넓적사슴벌레 등의 유충과 게아재비, 물땡땡이, 물자라 등 수서곤충, 딱정벌레류, 귀뚜라미 등 먹이곤충, 다양한 나비류 등 4만여 개체을 직접 사육해, 전시 또는 프로그램에 활용하게 된다.
또, 곤충식물원내에 서울숲 로고를 넣은 생육곤충(자체사육), 발효톱밥, 산란목, 균사병, 먹이 등 곤충 재배물품과 곤충표본액자, 곤충타일, 곤충악세사리(팔찌, 목걸이 등), 곤충연적 등 곤충관련용품, 자생식물압화, 식물타일, 식물악세사리 등 식물관련용품 및 각종 공원홍보물 등을 판매하는 곤충뮤지엄샵을 5월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 공원과 공원과장 최광빈 02-3707-9610
서울시 공보관실 언론담당관 한문철 02-731-6851
신문팀장 김상한 02-731-6736
담당자 한서경 02-731-6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