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14일은 Telephony’s Day!

서울--(뉴스와이어)--지금 백화점이나 홈쇼핑,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는 발렌타이 데이의 특수 효과를 누리기에 정신이 없다. 발렌타이 데이가 일본의 어느 제과업체에 의해서 기획된 상업적 기념일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이들은 아마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사람들은 애초의 그런 상업적 목적 보다는 하나의 문화적 기념일로 인정하고 이를 기념하며 즐기는 듯하다. 하지만 2월 14일은 IT에 있어서도 발렌타이 데이 이상의 혁명적인 기념일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2월14일은 바로 전화가 발명된 날이며, 올해는 바로 전화가 발명된 지 130년째 되는 해이다.

1876년 2월 14일, 미국 특허청에 거의 동시에 비슷한 내용의 특허 출원이 신청되었다. 특허청에서는 이 전무후무한 일에 대하여 많은 고민 끝에 두 개의 유사한 특허 신청 중 결국은 먼저 신청한 사람에게 특허권을 주었다. 이 발명 특허의 내용은 바로 “공기 중에서의 복잡한 진동인 음성을 고체를 통해 전달할 수 있고, 이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선을 통해 전송하는 장치 - 전화”에 대한 것이었고, 특허권을 따낸 사람은 바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Alexander Graham Bell, 1847-1922)이었다. 한편, 간발의 차로 엄청난 기회를 놓친 사람은 이라이서 그레이(Elisha Gray, 1835-1901)라는 전문 발명가였는데 그는 1870년대에 이미 전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던 전문 발명가였다. 그레이는 1874년 경 이미 소리를 전류로 바꾸는 '바이올린 수신기'를 창안하고, 그 해 5월 금속 진동판으로 이루어진 전자기 수신기를 제작하여 특허까지 출원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는 전화기로의 개발보다는 당시 유행하던 모스 신호를 보내 해독하는 전신과 관련한 기술에 치중하였고, 결국 인류의 위대한 발명가의 자리마저 벨에게 넘겨주게 된 것이다.

이 사례는 간발의 차로 엄청난 기회를 놓쳐 버린 극적인 사건으로 꼽히면서도 인류의 위대한 과학적 진보 사례로 회자되곤 한다. 그만큼 전화는 시작부터 이렇게 극적이었고, 그 시작만큼이나 인류의 삶을 극적으로 바꿔놓는 역할을 하여왔다.

벨에 의해 전류를 이용한 음성 전달이 가능해지자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욕구는 더욱 커져갔다. 사람들은 보다 먼 거리에 있는 사람과 통화를 할 수 있게 되기를 원했고, 이러한 욕구에 의해 진공식 증폭기가 발명되었다. 이러한 열망은 곧 이어 대륙간의 통화까지 가능해지면서 사람들 사이의 물리적인 한계를 극복하게 되는 단초를 마련하게 했다. 제트기의 등장이 전세계를 물리적인 거리의 측면에서 지구촌으로 만들었다면, 대륙횡단전화로 대표되는 유선통신은 전 세계를 하나의 단일 '대화권'으로 묶어준 것이다. 또한 장거리 통화가 가능하게 해준 진공관 기술은 초기의 컴퓨터들을 탄생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술적 바탕이 되었다.

이후 전화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가장 기본적인 통신도구가 되었다. 1887년 이미 미국에는 15만 대의 전화가 있었으며, 영국은 2만 6000대, 프랑스에는 9,000대가 있었다. 그리고 현재는 현재 지구상에는 10억 대 이상의 전화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전화로 인해 음성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자 이것을 계기로 영상의 전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결국 텔레비전의 발명으로도 이루어졌다.

이렇듯 전화는 사람들의 일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130년 동안 그 전화의 기술적 특징은 그다지 변한 것이 없다. PSTN망의 교환기술이 자석식에서 전자식 교환방식으로 바뀌었을 뿐, 그 원천적인 기술 원리는 아직도 통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들어와서 전화에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기술의 발달과 더 진화된서비스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 때문이다. 그래서 등장하게 된 것이 바로 이동통신과 인터넷 전화이다. 두 가지의 형태로 세분화된 전화의 진화는 서로 다른 형태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이동통신은 1980년대에 처음 등장하여 보급되었다. “전화기를 집에서만 쓰지 말고 밖에서 이동하면서 자유롭게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생각에서 시작된 이동통신은 단말기를 중심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외부에서 이동하면서 <전화>를 사용할 수 있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동통신의 최근 발달 경향은 MP3 플레이어나 카메라 등을 추가하는 하드웨어적인 변화이다.

이에 비해 인터넷 전화의 발전은 소프트웨어적이라고 할 수 있다.

최초의 인터넷전화는 1995년 Vocaltec사가 PC와 PC를 연결해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주고받는 전화를 도입하면서 시작되었다. 특히 랜선을 이용해 음성과 데이터를 동시에 전달 가능하고, 이를 통해 기존 전화요금에 비해 획기적으로 통신료를 절감할 수 있어 통신시장의 큰 화두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 최초이며, 관련 업체 중 가장 많은 가입자를 유치하고 있는 삼성네트웍스는 기본료 월 2000원, 별도의 시내외 구분없이 전국 단일 요금제로 3분당 45원에 통화가 가능하다. 국내 인터넷전화 대표 기업인 삼성네트웍스의 사업담당 임원 전홍균 상무에 따르면 “기존 전화 요금 대비 시외전화는 최대 84%, 국제 전화는 70%, 휴대전화는 18%까지 통화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업 고객의 경우는 본사와 전국의 지사간에 무료로 통화가 가능하여 기업고객들에게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특히 홈존(Home Zone)이라는 할인 제도를 이용하면 고객이 빈번히 통화하는 지역을 사전 지정하여 3분당 39원에 통화가 가능하다.

이외에도 인터넷 전화의 가장 큰 특징은 아웃룩 주소록을 활용한 클릭투다이얼(Click-to-Dial) 기능, SMS 및 화상통화 기능 등 기존 전화에서는 생각하지 못하는 다양한 부가기능이 가능해 기업 입장에서 특화된 고객기반의 서비스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인터넷 전화의 장점은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앞으로 더 많은 발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차세대 통신 시장의 기대주로 주목 받고 있는 것이다. .

그 이유는 데이터와 음성이 통합된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되어 무궁무진한 IP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접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즉, 전화의 음성 정보 이외에 방송 및 데이터 컨텐츠들과의 결합이 자유자재로 가능해져 이를 통해 각각의 컨텐츠들이 갖고 있는 특장점들을 효과적으로 결합한 다양한 부가서비스의 창출이 가능해진다는 것으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기술과 융합한 화상회의 서비스 및 원격진료 서비스 등은 우리의 생활방식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으며 무선LAN 및 현재 상용화 단계에 있는 WiBro 무선인터넷 기술과 결합한 무선인터넷전화(IPToW) 등은 현재 기업형 서비스로 시작된 인터넷전화가 보편적 서비스로 확산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에 분명하다. 또한, 향후 우리의 디지털라이프를 대변할 홈네트워킹 서비스가 기반 인식번호로 인터넷전화의 개개 주소 및 번호를 활용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어 이러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전화의 진화 과정에서 이동통신이 하드웨어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면 인터넷전화는 소프트 화(化) 하면서 전화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하겠다.

삼성네트웍스 박양규 사장은 “인터넷전화는 단순하게 전화선이 랜선으로 바뀌었다는 의미가 아니다. 통신사업의 중점이 음성중심에서 통합적 데이터(음성/방송/자료 등)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뜻이며, 인터넷 기반의 통합 커뮤니케이션, 즉 CoIP(Communication over Internet Protocol)의 시대가 왔다는 걸 의미한다. 인터넷전화는 앞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는 초석이 될 것이며 그로 인한 변화는 전화가 인류의 생활에 가져온 것 이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네트웍스 개요
삼성네트웍스 (사장 김인, www.samsungnetworks.co.kr)는 국내 최고수준의 정보통신 전문인력, 국내 64개 도시와 세계 70개국을 하나로 묶는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 그리고 20년 전통의 통신 노하우를 ‘3대 핵심 경쟁력’ 을 기반으로, 삼성그룹 내 전 계열사를 비롯해 1만 여 국내외 공공기관 및 기업에 꼭 맞는 맞춤형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요사업은 데이터통신사업(광전송통신망(ONS), 글로벌 회선, VPN, 매니지먼트, u-Ready, NSI 등), 전화사업(인터넷전화 삼성Wyz070, 기업전화, 구내통신, 국제전화 00755 등), 비즈니스솔루션사업(메시징(SMS/MMS), 모바일&와이어리스, 웹비즈, 영상회의, IDC, 컨텍센터, 통합보안 엑쉴드(eXshield) 등)의 3가지로 크게 구분된다.

웹사이트: http://www.samsungnetworks.co.kr

연락처

삼성네트웍스 경영지원실 기획홍보팀 김윤석 대리 070-7015-6993 011-9832-4046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