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원회수시설 운영실태’ 인터넷 실시간 공개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는 쓰레기 소각으로 인해 혐오시설로만 알려진 자원회수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운영실태를 2.15부터 홈페이지(rrf.seoul.go.kr)를 통하여 시민들에게 공개하여, 시민들이 자원회수시설에 대해 가지는 막연한 불안감과 혐오감을 적극 해소해 나가기로 하였다.

서울시 자원회수시설 홈페이지는 서울시에서 운영중인 양천, 노원, 강남, 마포 등 4개 자원회수시설이 해당되며 자원회수시설과 소각정책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와 함께 쓰레기 소각 처리공정 및 소각량·가동율 등 시설의 구체적인 운영실태와 쓰레기 소각처리를 반대하는 주요 이유인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의 측정결과와 환경상영향조사 및 주변지역 주민 건강영향조사결과 등을 공개한다.

특히, 굴뚝자동측정시스템(TMS)를 통해 먼지, 황산화물(SO2), 염화수소(HCl),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등에 대해서는 실시간으로 측정결과를 공개하여 자원회수시설 운영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시민들이 직접 느끼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시민참여마당과 시설의 공개견학을 위한 예약시스템 등을 마련하여 시민들이 직접 자원회수시설의 운영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고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서울시는 자원회수시설에 대한 홈페이지 개설로 쓰레기 소각시설이 시민생활에 필수적인 시설로 자리 매김되고, 시민들의 인식을 새롭게 전환시킴으로써 경기도·인천시에 위치한 수도권 매립지의 활용기간의 한계성과 새로운 매립지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등 폐기물정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한 의미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원회수시설 홈페이지 주요내용>

자원회수시설 홈페이지에 공개되는 시설은 서울시에서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4개 시설로 양천, 노원, 강남, 마포 자원회수시설이다.

자원회수시설 홈페이지에 포함되는 주요내용

자원회수시설의 개념 및 공동이용의 필요성, 자원회수시설의 중요성 및 소각정책의 필요성을 시민에게 알림으로 공감대를 형성하여 자원회수시설의 공동이용을 조기에 달성하여 2022년이면 매립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도권매립지의 매립기한을 연장하고 자원회수시설의 운영상태를 공개

- 시설의 개요, 처리공정 및 소각량·가동율 등 시설운영 현황

자원회수시설 가동과 관련하여 시민들이 막연하게 불안감을 느끼는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에 대한 저감방법·대책 및 측정결과와 함께 굴뚝자동측정시스템(TMS, Tele-Monitoring System)의 측정결과를 실시간 공개하여 자원회수시설의 안정성 및 시설 운영의 투명성을 나타낼 것이다.

※TMS 실시간 공개자료 : 먼지, 황산화물(SO2), 염화수소(HCl),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산소(O2), 유량, 온도 등

또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등에 관한 법률」(약칭 “폐촉법”)에 의하여 구성된 ‘주민지원협의체’에 관한 사항 및 주민토론의 장을 마련하였고 “폐촉법”에 따라 자원회수시설 인근 지역주민의 복리증진을 위하여 설치한 ‘주민편익시설’에 대한 개요 및 시설을 원할히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으며「환경·교통·재해등에관한 영향평가법」에 의거 자원회수시설 설치전에 실시한 ‘환경영향평가’ 결과 및 시설 설치후 5년동안 실시하는 ‘사후환경영향조사’ 결과와 함께 “폐촉법”에 의하여 시설 폐쇄시까지 3년마다 시행하는 ‘환경상영향조사’ 결과 및 자원회수시설 건설시에 실시한 환경영향평가를 신뢰하지 않는 주민들의 요구에 지역 주민의 장기적인 환경피해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서울시에서 연세대(환경공해연구소)에 의뢰하여 실시한 ‘주변지역 주민건강영향조사’ 결과 등 주민 및 시민들이 궁금해 하는 사항을 모두 공개하였다.

또한 시설의 견학과 관련한 예약시스템 등을 마련하여 학생과 시민들이 편리하게 자원회수시설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아울러 서울시 및 환경국, 자치구, 환경부와 함께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의 홈페이지와 링크하여 시민들이 관련기관의 궁금증을 언제든지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서울특별시 자원회수시설 홈페이지 도메인은rrf.seoul.go.kr 이다.※rrf(Resources Recovery Facility : 자원회수시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환경국 청소과 담당자 이용은 02-3707-9598
서울시 공보관실 언론담당관 한문철 02-731-6851
신문팀장 김상한 02-731-6736
담당자 한서경 02-731-651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