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속 광물자원 소개 해양과학도서 발간
이 책은 한국해양연구원의 과학자들과 해양수산부 담당공무원들이 모여 함께 쓴 책으로 저 깊은 바다에서 어떻게 다양한 해저광물자원이 만들어지는지, 이를 개발하기 위한 최근 과학기술은 어떠한지를 소개하고 있다.
4편으로 돼 있는 이책은 ▲제1편 미지의 보물창고, 바다 ▲제2편 심해의 보물을 찾아라 ▲제3편 바다속 보물 끌어올리기 ▲제4편 심해, 그 신비의 세계속으로 등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해양부 연영진 해양개발과장은 “우리나라만이 개발할 수 있도록 확보된 태평양 공해상 광구(7.5만km2)에 부존하는 망간단괴는 연간 1조원 이상의 수입대체 효과를 가져다줄 미래 광물자원이 있다”며 “이런 중요한 미래 광물자원을 소개하고 있는 이책은 일선 교육 현장에서 해양과학 교육의 참고도서로 이용돼 많은 학생들이 깊은 바다에 관한 지식을 넓히고 꿈을 키워 해양강국으로의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참고)
1. 출판도서의 내용
□ 제목 : ‘태평양 바다 속에 우리 땅이 있다고?
- 심해의 보물 해저 광물을 찾아라!’
□ 머리말(내용)
새로 쓰는 바다 이야기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땅은 작지만 비교적 긴 해안선과 넓은 바다, 그리고 다양한 해양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바다로부터 수산자원, 광물자원, 에너지자원과 같은 다양한 자원을 얻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의 영해(領海)는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여 결코 넓은 것이 아닙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육지의 광물자원이 매우 부족하여 산업 발전에 필요한 광물자원을 대부분 외국에서 들여오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부족한 광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해양수산부는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 사업’을 수행해 왔습니다. 그 결과 2002년에는 유엔의 국제해저기구로부터 태평양 공해(公海)상에 우리나라가 독점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광구를 소유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남한 면적의 약 4분의 3에 해당하는 7만 5천 제곱킬로미터나 되는 넓이로, 그곳은 구리,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망간단괴’가 풍부한 지역입니다. 이로써 우리나라만이 개발할 수 있는 막대한 양의 해저 광물자원을 확보한 셈입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남서태평양 해저에서 ‘망간각’과 ‘해저 열수 광상’ 개발 사업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망간각에는 코발트가 많이 들어 있고, 해저 열수 광상에는 아연, 구리, 금 등이 들어 있습니다. 이와 같이 다음 세대에 물려줄 우리나라의 새로운 해저 자원을 개발하고 확보하기 위한 노력들이 꾸준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이러한 해저 광물자원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출판되었습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독자 여러분들은 바다와 바다 속 땅 이야기뿐만 아니라, 저 깊은 바다에서 어떻게 다양한 종류의 해저 광물자원이 만들어지는지 알게 될 것입니다. 또 바다를 연구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들과, 해저 광물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최근의 과학기술도 다루고 있습니다. 심해의 신비로운 생명체와 지구의 역사를 간직한 바다 이야기는 여러분을 흥미로운 해양과학의 세계로 안내할 것입니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많은 분들의 노력이 있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사람들에게 심해저 자원 개발의 중요성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생각하던 중에 『태평양 바다 속에 우리 땅이 있다고?』란 책을 펴내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한국해양연구원을 중심으로 여러 분야의 과학자들과 전문가들이 모여 함께 글을 썼고, 출판을 맡은 지성사는 딱딱하고 어려운 이야기들을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꼼꼼하게 교정·교열을 보아 주었습니다. 또 과학책을 쓰신 경험이 많은 선생님 두 분과 자원 관련 전문가 한 분이 감수를 맡아 더 좋은 책이 되도록 애써 주셨습니다.
일선 교육 현장에서 이 책이 해양과학 교육의 참고도서로 이용되어 많은 학생들이 깊은 바다에 관한 지식을 넓히고 꿈을 키워 가길 바랍니다. 그리고 머지않아 해저 광물자원이 개발되어 우리나라 산업 발전에 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해저 자원 개발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한국해양연구원을 중심으로 해양수산부와 정부 출연 연구원, 민간 기업들로 구성된 ‘심해저자원개발협의회’에서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책의 내용과 관련된 궁금증은 심해저자원개발협의회 홈페이지(www.kadom.or.kr)의 참여마당에 문의하면 상세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2006년 2월
저자 일동
해양수산부 개요
해양수산부는 대한민국 해양의 개발·이용·보존 정책 등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국민에게 힘이 되는 바다, 경제에 기여하는 해양수산을 목표로 설립됐다. 해양수산 발전을 통한 민생 안정, 역동 경제, 균형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f.go.kr
연락처
해양정책국 해양개발과 과장 연영진 / 사무관 이상영 Tel: 02-3674-6533
해양수산부 정책홍보관리실 홍보관리관 임기택 02-3674-6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