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 빕 사이언스(BEEP SCIENCE)사와 모바일 디지털 저작권 관리 (DRM) 솔루션 출시

성남--(뉴스와이어)--디지털 핵심 기술 설계 분야 선두 기업인 ARM(대표: 김영섭)과 노르웨이 모바일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소프트웨어 선두 기업인 빕 사이언스 (BEEP SCIENCE)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3GSM 세계회의 (3GSM World Congress 2006)’ 에서 무선 및 가전 제품용 보안 기술인 ‘TrustZone’ 소프트웨어 프레임 워크와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DRM 솔루션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 솔루션은 무선 인터넷 국제 표준단체인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 (OMA: Open Mobile Alliance) v2를 따르고 있는 제품이다. ARM TrustZone 소프트웨어 API는 안전한 애플리케이션 공급자들에게 공동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함으로써 비용을 줄이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상호 호환성을 증대시켜 준다.

빕 사이언스사는 OMA DRM 에이전트 소프트웨어를 통합함으로써, 이동 통신업자들과 서비스 및 콘텐츠 공급 업자들은 양질의 다운로드 콘텐츠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면서도 자사의 지적 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다.

ARM TrustZone 기술은 리눅스, 심비안 OS, 윈도우 CE 등 개방형 운영체제 (OS)로 구동되는 휴대폰, PDA, 셋톱 박스 등의 다양한 전자제품의 시스템 보안을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이 기술은 네트워크 바이러스 보호, VPN, DRM등 보안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실행의 신뢰도를 높여 주는데 기여한다.

ARM TrustZone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는 개발자, OEM, 서비스 공급업자에게 상호 운용성을 확대시켜 주는 강력한 개방형 보안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빕 사이언스사의 비즈니스 개발 담당 부사장인 마르쿠 메탈라 (Markku Mehtala)는 “강력한 콘텐츠 보호 기술은 양질의 콘텐츠 권리를 보호하며, 디지털 콘텐츠가 휴대전화, PC, 및 기타 소비 가전제품 전반에서 자유롭고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며 “ARM TrustZone 보안 기술을 이용하여 본사의 모바일 DRM 솔루션을 개선하게 되었다. 이로써,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로 만들기 위해 제조업자와 통신사들이 풍부한 모바일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ARM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부문의 랜스 호워스 (Lance Howarth) 부장은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OMA) DRM 표준으로 다양한 소비 제품에서 끊김 없이 DRM이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 에코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길을 열어가고 있다” 며 “ARM TrustZone 보안 소프트웨어는 DRM 솔루션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 준다. 또한, 빕 사이언스사와 협력을 통하여 우리는 TrustZone 기술 기반의 뛰어난 보안과 첨단의 디지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TrustZone 보안 소프트웨어는 ARM으로부터 라이센스 승인을 받아야 한다. TrustZone 소프트웨어는 업계의 주요 이해 당사자들과 함께 정의한 TrustZone 소프트웨어 API를 실행한다. API의 추가 개발에 파트너 사들의 참여를 환영한다. 상호 운용이 가능한 보안 표준의 증진을 위해 규격은 무료의 공공 개방형 표준으로 출시될 것이다. 관련 추가 정보는 http://www.arm.com/trustzone에서 확인 할 수 있다.

TrustZone 하드웨어 확장은 수상 경력이 있는 Cortex™-A8 프로세서는 물론 ARM1176JZ-S™ 프로세서에서도 찾을 수 있다. 또한, ARM은 모델, 소프트웨어 개발 툴, 시스템 레벨의 하드웨어 IP를 포함한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한 완전한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추가 정보는 http://www.arm.com/trustzone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 'Digital Rights Management'의 약자로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의미한다. 콘텐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불법복제를 막고 사용료 부과와 결제대행 등 콘텐츠의 생성에서 유통·관리까지를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기술이다. 여기에는 적법한 사용자만 콘텐츠를 사용하고 적절한 요금을 지불하도록 만드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기술, 저작권 승인과 집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보안기술, 지불·결제기술이 모두 포함된다. 음악공유서비스로 유명한 냅스터가 2001년 MP3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채택한 것이 시초이며, 온라인 콘텐츠가 유료화되며 중요한 기술로 떠올라 미국 메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는 미래 10대 핵심정보기술로 선정하였다. 콘텐츠 식별자인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인덱스(INDECS), 불법복제와 변조방지를 위한 워터마킹 기술을 뒷받침으로 하고 있다. DOI는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하는 식별번호이며, 워터마킹은 기밀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에 숨긴 후 저작권 분쟁이 발생했을 때 디지털 저작권자가 누구인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콘텐츠마다 보안인증시스템을 장착하여 일정한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으면 그 콘텐츠를 이용하지 못하게 한다.

가상사설망 [假想私設網, virtual private network] :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public network)을 사용하여 사설망(private network)을 구축하게 해주는 기술 혹은 통신망의 통칭. 지금까지의 기업들은 지사나 영업소 또는 이동근무자가 지역적 제한없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 사업자에게 전용회선을 임대하여 원격지까지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설망을 확대했다. 이렇게 구성하는 사설망은 각종 통신망 장비와 소프트웨어 투자에 초기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통신회선 요금도 비싸고 통신망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데에도 많은 인적 ·물적 자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기존 사설망의 고비용과 비효율적인 관리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터넷망을 마치 전용선으로 사설망을 구축한 것처럼 사용하는 방식이 대두하게 되었는데 이를 가상사설망이라 한다.



웹사이트: http://www.arm.com

연락처

ARM코리아 오문정 대리 031-712-8234 017-233-2695
홍보대행사 써니릴레이션 손혜경 팀장 02-587-3308 010-6281-1537 이해진 02-587-3308 011-9898-640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