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로굴착·복구 ‘무방문 민원처리’ 한다
서울시내 도로상에서는 시민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상·하수도, 가스, 전기, 통신 등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굴착공사가 연간 10만여건 정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한 빈번한 구청방문과 복잡한 구비서류로 인한 민원불편 등이 제기됨에 따라 서울시에서는 지난해 우선적으로 상수도·가스·전기 등 주요 지하매설물 관리기관을 중심으로 『도로굴착복구온라인시스템 - http://hidig.seoul.go.kr』을 개발, 제한적으로 운영하여 왔으나 금년 3월부터는 『도로굴착복구온라인시스템』의 서비스 기능을 대폭 개선·보완한다.
일반시민을 위한 사이트(http://hidigp.seoul.go.kr)를 별도로 개설하여 누구나 손쉽게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써 시민들은 최소 7회 이상 구청을 방문하여 처리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인터넷으로 일괄처리함으로써 허가신청에서 부담금납부, 준공까지 전 과정을 무방문으로 투명하고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도로굴착공사 정보를 시민과 공유함으로써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굴착공사에 대해 손쉽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 인터넷주소 : 일 반 시 민 http://hidigp.seoul.go.kr
지하매설물 관리기관 http://hidig.seoul.go.kr
【 온라인시스템의 주요 기능 】
허가신청·착공·준공까지 구청 방문없이 처리된다.
방문횟수 단축 : 현행 7회 ⇒ 인터넷상에서 일괄 처리
제한적으로 신청해 온 굴착허가를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다.
시스템 사용자 확대 : 지하매설물 관리기관 ⇒ 일반시민 추가
‘도우미’ 기능 신설 : 자치구 허가담당자가 서류작성 지원 및 대행
우리 동네 굴착공사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온라인 시스템을 통하여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굴착공사에 대한 확인 및 궁금증 해소
업무의 표준화 및 투명한 행정처리로 민원 서비스가 대폭 개선된다.
각종 신청서 수기 작성 횟수 단축 : 4회 ⇒ 1회 작성
수수료, 복구비용 등 납부방법 개선 : 고지서 납부 ⇒ 인터넷 납부
민원인이 원인자부담금 부과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사전에 확인 가능
업무처리 방법 개선 : 자치구별 상이 ⇒ 온라인으로 표준화
도로굴착에 따른 관련기관 협의를 위한 방문절차가 없어진다.
방문 또는 공문 ⇒ 즉시 (인터넷) : 협의기간 단축
중복굴착을 방지로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로굴착사업계획 등 각종 공사정보를 공유·조정하여 병행공사 시행
업무 처리단계별 행정처리 시간이 단축된다.
5개 단위업무 행정정보시스템 사용 (기본 데이터 중복 입력) 단일 「도로굴착복구온라인시스템」 사용
※ 시군구민원행정, 세외수입, 전자결재, 세입종합(e-tax), 민원처리공개시스템
각종 대장 및 통계 작성 : 수기 ⇒ 전산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건설기획국 도로관리과 담당자 김형석 02-3707-8155
서울시 공보관실 언론담당관 한문철 02-731-6851
신문팀장 김상한 02-731-6736
담당자 한서경 02-731-6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