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2005년도 임금, 근로시간 및 노동이동 동향
주요 결과 및 특징
'05년도 근로자 1인당 월평균임금은 6.6%의 안정적 상승
'05년도 상용근로자 5인이상 사업체의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2,404천원으로 전년대비 6.6% 상승하여 '04년의 6.0%에 이어 최근 2년간 안정적 상승세 유지
-'02년이후 한자리수에 진입하여 낮아지던 상승률이 '05년에는 전년에 비해 다소 높아졌는데(0.6%포인트) 이는 정액 및 초과급여액의 상승률이 전년에 비해 높아진데 기인
< 참고 : 매월노동통계조사란 ? > 상용근로자 5인 이상을 고용한 7,438개 표본사업체를 대상으로 매월 임금, 근로일수·시간, 노동이동 등의 변동추이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
정액급여는 사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정액급여의 구성비가 높아지는 가운데 연봉제, 임금체계 간소화(정액화) 추세에 따라 임금상승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정액급여를 상승하게 하는 현상도 함께 발생
초과급여는 최근 근로시간 단축을 위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고용의 증가는 없이 기존 업무량 달성을 위해 초과근로시간이 증가하면서 상승세로 진입
다만, 상여금 및 성과급 등으로 구성된 특별급여 상승률이 ‘02년 이후 매년 낮아지면서 안정적 임금상승에 기여
특별급여는 300인이상 대규모 사업체에서 연말 성과상여금 등이 일부 업종(사무기기, 운송장비 제조, 전기·가스업, 금융업 등)을 중심으로 높게 지급되면서 상승률이 높은(정액 6.2%, 특별 7.1%) 반면, 300인미만 사업체는 정액급여 위주(정액 8.0%, 특별 0.5%)로 상승하였음
월평균 근로시간은 전년대비 2.1시간 감소
월평균 근로시간은 195.1시간(연간2,341, 주당44.9)으로 전년의 197.2시간(연간2,366, 주당45.4)대비 1.1%(연간25, 월간2.1, 주당0.5) 감소
조사결과 분석
'05년도 상용근로자 5인이상 사업체의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2,404천원으로 전년동기(2,255천원) 대비 6.6% 상승
-정액급여는 1,756천원으로 전년(1,636천원)대비 7.4% 상승
-초과급여는 149천원으로 전년(137천원)대비 8.7% 상승
-특별급여는 499천원으로 전년(482천원) 대비 3.5% 상승
연령, 직종 등의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전체 남녀별 임금수준을 비교(남자 임금 = 100기준)해 보면 여자의 임금수준이 62.4%이며, 제조업은 56.2%로 전체평균보다 다소 낮고, 비제조업은 65.9%로 높음
'04년까지는 대규모 사업체가 중소 사업체보다 임금상승률이 높아 사업체 규모간 임금격차가 확대되었으나, '05년에는 중소 사업체의 임금이 더 크게 올라 사업체 규모간 임금격차 완화 현상
그러나,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경영성과 등을 반영하여 지급하는 상여금, 성과급 등 특별급여 구성비가 높고 지급액의 격차가 커 규모간 임금격차 완화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하기는 어려움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95.1시간(주당44.9시간)으로 전년의 197.2시간(주당 45.4시간)대비 1.1%(월 2.1시간, 주당 0.5시간) 감소
※ '05년도 근로자 1인당 연간 총근로시간은 2,341시간으로 전년의 2,366시간에 비해 연간 25시간 감소
-정상근로는 177.5시간(주당 40.9)으로 전년(180.5시간, 주당 41.6시간)대비 1.7%(월3.0시간, 주당 0.7시간) 감소한 반면,
-초과근로는 17.6시간(주당4.1)으로 전년(16.7시간 주당 3.8시간)대비 5.4%(월 0.9시간, 주당 0.2시간) 증가
주40시간 근로시간제도 도입시기('04.7.1이후 사업체규모별로 연차적 도입)를 고려하여 사업체규모별 하반기 근로시간 추이를 보면
'05.7월이후 주40시간 제도의 영향을 받은 300~499인 사업체의 근로시간이 194.2시간으로 전년동기 대비 4.0%(8.0시간) 감소하여 감소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음500인이상 사업체의 월평균 근로시간은 183.6시간으로 전체평균 근로시간(195.1시간)보다 11.5시간이 짧은 가운데 전년대비 3.8%(7.3시간) 감소하였고, 300~499인 사업체는 194.7시간으로 2.9%(5.8시간) 감소
12월중 근로자 채용자수는 121천명이며 퇴직자수는 122천명으로 약 1천명의 퇴직초과
고용노동부 개요
고용노동부는 고용정책의 총괄,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평등과 일 가정의 양립 지원, 근로 조건의 기준, 근로자 복지후생, 노사관계의 조정, 노사협력의 증진, 산업안전보건, 산업재해보상보험 등을 관장하는 정부 부처다. 조직은 장관과 차관 아래에 기획조정실, 고용정책실, 통합고용정책국, 노동정책실, 직업능력정책국, 산재예방보상정책국, 공무직기획이 있다. 소속 기관으로는 6개 지방고용노동청, 40개 지청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el.go.kr
연락처
노동부 홍보관리관 정현옥 02-503-9713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