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수소경제 신재생에너지산업 메카’ 마스터플랜 확정
도는 기본계획용역이 ‘05. 4. 13일부터 1년여 동안 4개용역기관 참여하에 3차례의 에너지, 관광, 경제자문회의를 통한 전문가 의견수렴과 2차례의 주민공청회, 부안현지 주민설명회 등 행정절차를 통한 최종기본계획이 마련되었다고 하였다.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조성계획은 부안군 하서면 장신·백련리 일원에 11만평규모에 총사업비 1,000억원을 투자하여 수소파워파크시설, 체험·테마시설, 산업단지를 조성, 전북의 미래를 담보할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해 나간다는 것이다.
도에 따르면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조성 사업을 본격추진 하기 위해 먼저 부안군과 협의를 통하여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조성에 따른 교통·환경 등 제영향평가와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06. 4월경 착수하고 토지협의매입 등을 통한 공사를 ‘07년 12월경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부안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개발방향은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실증연구단지로 육성하고, 단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 기술 핵심 클러스터화, 교육·홍보·체험형 신재생에너지 테마공원을 지향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테마파크 조성사업은 기획예산처의 KDI 타당성재검증 용역을 거치면서 중앙정부의 수소에너지 정책기조에 중점을 둔 수소파워파크 사업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선정한 전북의 입장에서보면 매우 알찬 성과라고 기대하고 있다.
테마파크 주요 조성은 수소파워파크, 테마시설, 산업단지로 크게 3부문으로 나뉘어져 있고, 수소파워파크 지구는 수소제조/압축/저장시설 등의 수소이용시설과 실증연구동, 수소제조용 태양광발전소 등으로 구성된다.
테마시설 지구는 체험테마동(영상관,전시관, 교육관)과 종합지원센터, 편익시설, 옥외 체험공원(태양,바람,물,바이오) 등으로 구성되며, 산업단지는 신재생에너지 연구소와 기업유치 지구로 운영계획이다.
테마파크 조성을 보다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하여 각종규제가 의제 처리되는 지역특화발전특구로 지정 추진하고자, 현재 관련 절차를 이행중에 있다.
지역특화발전특구 지정에 따른 토지지가 상승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 ‘05. 7.29일에 주변부지 89만평에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기 지정한바 있다.
도에 따르면 수소연료전지 산업분야가 전국 유일하게 특화되면서 앞으로 이분야 산업에 있어서는 전북도가 선진道로서 선점함은 물론 전진기지로서의 위상을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교육인적자원부의 신재생에너지 융합기술 누리사업 및 연료전지 특성화대학원 전북유치, 그리고 산업자원부 국책사업인 수소연료전지 핵심기술연구센터가 완주 첨단과학산업단지 유치 결정으로 전북의 신재생에너지 메카화 전략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가 에너지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외화절감 효과와 함께 관련 산업육성에 부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대효과는 수소파워파크가 수소에너지 공급 및 태양열 발전 시설로서 관련 연구원, 학교, 산업체 등의 실증시험 및 산업화 수요를 유발하여 관련산업 기업유치로 일자리 창출 도모, 테마파크 운영으로 18억원의 소득과 140명의 고용효과, 관광산업으로 579억원의 소득과 694명의 고용효과, 건설산업으로 644억원의 소득과 225명의 고용효과, 산업단지(3만평)내 기업유치에 따른 383억원의 생산액과 204명의고용효과 유발(총 1,624억원, 소득 1,263명 고용 창출) 신재생에너지 기술력 확보로 대기오염 개선 등 환경개선 효과를 준다.
강현욱 도지사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도 전략산업으로 채택된 만큼 테마파크 기본계획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국제 원유가 배럴당 100 달러 시대 대비와, 세계기후변화협약에 의한 2013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의무대상국으로 진입이 불가피할 전망으로 있어, 21C 첨단 신산업인 수소에너지, 연료전지와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확대 보급할 수 있도록 실증연구단지 조성과 기업유치에 박차를 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전라북도청 개요
전라북도청은 186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송하진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송하진 도지사는 한국 속의 한국, 생동하는 전라북도를 토대로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 창의롭고 멋스런 문화, 알뜰하게 커가는 경제, 따뜻하고 정다운 복지, 아름답고 청정한 환경을 도정방침으로 정했다.
웹사이트: http://www.jeonbuk.go.kr
연락처
전라북도청 경제항만정책관 이성수 063-280-2723
공보관실 김종삼 063-280-2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