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3월의 문화재로 ‘봉황각’ 선정
“봉황각”은 독립운동가이며,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인 의암(義庵) 손병희(孫秉熙) 선생이 1911년 현 위치에 27,900여평을 매입하여, 보국안민(報國安民)을 내세우고 일제에 빼앗긴 국권을 찾기 위해 천도교 지도자를 훈련시키는 목적으로 1912년에 세운 건물이다. 건립 당시에는 봉황각 오른편 아래 우이동 버스종점 주변에 12동의 건물이 더 있었다고 하나 3·1운동 후 일제에 의해 철거되었다고 한다.
이 건물은 일견 민가풍의 건물로 보이나 격식은 궁궐의 부속건물 양식이 가미되어 있다. 건물 이름 '봉황각'은 최제우의 시문에 자주 나오는 말인 '봉황'에서 따 왔다. 흰 바탕에 푸른색으로 쓴 봉황각 현판은 3·1운동시 민족대표 33인중 한사람이며 서예가인 오세창(吳世昌)의 글씨인데, '鳳'자는 중국 당나라 명필 안진경(安眞卿)의 서체를, '凰'자는 당나라 명필 회소(懷素)의 서체를, '閣'자는 송나라 명필 미불(米芾)의 서체를 본뜬 것이다.
손병희 선생은 1882년(고종19년) 동학(東學)에 입교하였고, 2년 후 교주 최시형(崔時亨)을 만나 수제자가 되었으며, 1906년 동학을 천도교(天道敎)로 개칭하고 제3대 교주로 취임하였다. 1908년 은퇴한 후 이 곳에서 수도에 힘쓰며 지도자들에게 역사의식을 심어주었다. 3·1운동도 이 곳에서 구상하였으며, 이 곳을 거쳐간 사람들은 후에 3·1운동의 주체가 되어 구국운동의 최선봉에 서게 되었다.
우리시는 3월의 「이달의 서울시 문화재」로 이 곳에서 훈련받은 인물들이 3·1운동의 지도자로 활동한 점을 감안하여 “봉황각”을 선정하였다. “봉황각”의 관람을 희망하시는 시민께서는 지하철 4호선 수유역에 하차하여 우이동(종점행)버스(109, 120, 130, 1166번)를 이용하면 된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문화국 문화재과 담당자 송준성 02-3707-9434
서울시 공보관실 언론담당관 한문철 02-731-6851
신문팀장 김상한 02-731-6736
담당자 한서경 02-731-6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