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 아쿠아로직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대표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가상화 솔루션’ 선정

서울--(뉴스와이어)--세계적인 인프라스트럭처 소프트웨어 선도기업인 BEA 시스템즈 코리아(대표 김형래, www.bea.co.kr)는 오늘, 세계적 시장조사기관인 포레스터의 보고서를 인용, 자사의 '아쿠아로직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BEA AquaLogic Service Platform™)'이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가상화 제품들의 벤치마크 테스트 결과, 최고 등급을 받아 ‘대표적인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가상화 솔루션’으로서 그 우수성을 재 입증 받았다고 밝혔다.

포레스터가 최근 발표한 “정보의 구조(Information Fabric):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가상화” 보고서는, BEA를 포함해 11개사의 ‘데이터 서비스 솔루션’의 성능 평가 기준으로, 월등한 가시성과 데이터 접근성, 비즈니스로의 원활한 적용 등을 위해 △DCD (분산되어 있는 캐시 디렉터리: distributed cache directory) △DMR (분산되어 있는 메타데이터 저장: distributed metadata repository) △IDM (통합 데이터 관리: integrated data management) △DDA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 액세스: distributed data access) 등의 네 가지 기능의 우수성을 주요 평가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포레스터가 테스트한 결과, BEA의 ‘아쿠아로직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의 DCD, DMR 그리고 DDA의 기능이 최고 등급을 받았으며, IDM 기능도 중간 등급(이제까지 어떠한 벤더도 최고 등급을 받은 적이 없음)을 받음으로써,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가상화 솔루션 중 ‘최고의 성능을 제공하는 대표 솔루션’으로 선정되었다.

BEA시스템즈코리아의 김형래 사장은 “현재 기업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간 중 가장 많이 소요되는 부분이 데이터 액세스 메커니즘을 만들고 유지 관리하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SOA(서비스지향 아키텍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번에 데이터 서비스 분야의 선두제품으로 ‘BEA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이 선정됨에 따라, 토털 SOA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BEA의 선도적 기술력을 증명 받았다. BEA는 이러한 앞선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SOA 영역에서 ‘데이터 통합’과 ‘비즈니스 프로세스 통합’, ‘사용자 통합’ 등을 아우르는 진정한 의미의 엔터프라이즈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의의를 밝혔다.

‘BEA 아쿠아로직 데이터서비스 플랫폼’은 BEA 아쿠아로직™ (BEA AquaLogic™) 제품군의 최신 제품으로 처음부터 SOA에 적합하게 새롭게 설계되어, 완벽한 SOA 구현을 위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 ‘BEA 아쿠아로직 데이터서비스 플랫폼’은 ‘선언적(Declarative) 서비스 정의’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 위주의 접근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워크플로우를 개발하거나 자바 코드를 직접 작성할 필요가 없으며, 데이터 서비스 생성 및 유지 관리를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선언적 접근법(declarative approach)’을 통해 데이터 액세스를 최적화하고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데이터 서비스를 비즈니스 엔티티(실체/본체: entity)로서 범주화하는 풍부한 모델링 환경을 제공하여, SOA 설계자가 한 번에 데이터 구조 및 작업, 정책 등을 확인하고 복잡한 데이터를 좀 더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bea.co.kr

연락처

BEA 시스템즈: 송정은, 767-6846
홍보대행 코콤포터노벨리: 정은경 과장, 6366-1516 / 016-790-3607 송창민 AE, 6366-1510 / 017-205-543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